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와 정신장애의 이해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저술출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6A4018499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문근
연구수행기관 대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첫째, 본 저술은 국내에서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심층적으로 소개, 적용되어지지 않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은 그 풍부한 학술적, 실천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그다지 소개되어 있지 않고, 연구나 실천에서도 활용도가 낮아 이론에 대한 보다 접근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안내할 수 있는 도서가 필요한 것이 국내의 현실이다. 1990년 이후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주요 저서들이 일부 번역되어 소개되었지만 이 이론의 실용적 적용사례를 풍부히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이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적용은 지체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을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라는 구체적인 분야에 적용하여 소개하고자 본 저술을 기획하였다.
    둘째, 본 저술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을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 분야에 구체적으로 적용하여 검토, 논의함으로써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신질환이나 정신장애는 사회구성원과 정신질환자(또는 정신장애인) 사이의 일상적인 상호작용, 전문적인 서비스, 국가차원의 정책 등 제 수준에서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에 부여되는 상징적 의미의 영향이 크므로 이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위해서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적용이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 기대효과
  • 첫째, 본 저술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대한 이해증진을 통 연구 및 실천에서 이 이론의 활용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을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라는 구체적인 영역에 적용하여 이론의 추상적 측면이 실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연구자들이나 실천가, 정책담당자 등 독자들의 이해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본 저술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근거하여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를 지닌 사람들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술은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를 지닌 사람들의 경험을 사회적 상호작용과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의미가 정신장애인과 전문가, 지역주민 등에 대해 끼치는 영향과 효과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저술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근거하여 임상적, 정책적 수준에서 정신보건개입 방안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치료, 재활, 지역사회생활과정에서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의 향상을 통해 정신장애인의 치료, 재활, 사회통합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정신장애인과 전문가 사이의 상호작용, 정신장애인을 위한 치료 및 재활기관의 전체적 상호작용, 지역사회나 정부수준에서 정책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등에 개입할 수 있는 바람직한 대안들을 제안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저술은 (1)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대한 이해, (2) 정신장애에 대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적 이해, (3) 정신장애에 대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적 접근 등 세 부분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본 저술의 제 1부에서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주요 내용과 개념을 소개하고 전통적인 연구방법과 최근의 연구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의 연구방법 중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작화 하여 실증적 연구를 촉진하고 있는 구조적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접근(Social Structural Symbolic Interactionism)을 소개하려 한다. 구조적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접근 중 Stryker(1980, 2000), Burke 등(2009)이 주도하고 있는 역할정체성이론(Identity Theory)을 소개함으로써 사회적 상호작용이 사회적 역할을 통해 정체성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체성형성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저술의 제 2부에서는 1부에서 소개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주요 개념과 이론에 근거하여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의 주관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형성과 그 영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치료환경에 대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적 이해를 토대로 치료 및 재활서비스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정신장애인의 정체성 등 자기개념과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저술의 제 2부에서는 다양한 연구와 저술들에 산발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를 지닌 사람과 그들을 둘러싼 전문가, 보호자, 지역주민 등에 미치는 효과를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조망하여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이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보여줄 것이다.
    본 저술의 제 3부에서는 1부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대한 기초적 이해, 2부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근거한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에 대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적 개입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그 동안 단편적으로 제시되었던 역할정상화이론(Social Role Valorization), 역량강화접근(Empowerment Approach)을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근거하여 재해석하고, 실천적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아울러 최근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대안적 서비스 접근으로 각광받고 있는 공동체 중심의 재활모형인 클럽하우스모델(Clubhouse Model)에 대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적 분석과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클럽하우스모델을 실천하는 전문가나 정신장애인당사자, 정책 담당자에게 실용적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정신질환이나 정신장애에 대한 사회정책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의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수준에서 정신장애인의 회복, 재활,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상징적 상호작용 전략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