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대학 학장의 직무수행 및 분산적 지도성 실행 설계 및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zing and Designing the Deans' Job Performance and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in the Universit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2A01018508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석열
연구수행기관 남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제 단과대학이나 학과 운영이 대학 경쟁력 확보의 출발점이 되고 있고, 대학 내 학장이 중요한 핵심 인물(key person)이 되고 있다. 각 단과대학의 혁신과 구조 개편이 곧 학장이 직무를 어떻게 인식하고 지도성을 발휘하느냐에 달려 있다. 앞으로 대학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대학특성화의 추진은 타 대학에 비해 비교우위가 있는 학문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과대학 단위가 강조될 수 밖에 없다. 결국 학장의 역할이 그 만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대학 자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단과대학을 특성화를 시키기 위해서 학장의 직무가 무엇이고, 직무수행과정에서 지도성 실행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장의 직무를 분석하고, 학장이 실제 대학행정조직에서 사용하는 분산적 지도성 형태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을 진술하면 다음과 같다.
    ◦ 연구목적 1 : 학장의 직무분석을 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직무수행 척도를 개발한다.
    -학장의 직무에 대한 개념적 토대를 탐구하여 학장의 직무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장의 직무수행 준거를 설정한다.
    ◦연구목적 2 : 학장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발휘하는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분석한다.
    -학장이 주어진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발휘하는 지도성 실행에 관해서 논의하고, 최근 강조되고 있는 분산적 지도성 척도를 개발하여 학장의 직무수행에 적용한다.
  • 기대효과
  • 가. 학술연구 차원
    1) 학장에 대한 학술적 접근의 기회
    - 본 연구는 학장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시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학의 학장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연구에 있어 아직 심층적으로 탐구되지 않은 분야 중의 하나이다.
    2) 대학교육 정책수립과 집행에 필요한 기초 연구
    - 본 연구 결과는 학장을 중심으로 정책입안과 집행과정을 추진하면서 대학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바탕을 둔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3) 대학 거버넌스의 분권화와 특성화에 대한 학술적 외연 확대
    - 본 연구는 대학이 작동하는 분권적 특성의 일면을 밝히고, 나아가 대학경쟁력을 높이고 대학특성화를 주도하는 단과대학의 역할에 대한 이해의 외연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나. 대학행정 및 교육과 연계 차원
    1) 학장 중심의 교육 및 학사 운영 체제 구축
    -앞으로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장에 대한 연구와 학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새롭게 하는 행정체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들이 다양해지고 확대되는 고등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학장 중심의 행정 체제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2) 단과대학 리더로서의 학장의 지도성 확대
    본 연구는 학장의 직무수행의 장해요인을 추출할 수 있고, 학장의 지도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추론된 학장의 직무수행 준거에 맞는 지도성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3) 학장의 소진 현상 예방 및 직무능력 강화
    -학장이 되기 전에는 교수로서 가르치고 연구하는 일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학장이 되면서 더욱 다양한 일을 원하고 있다. 다양한 일을 원하는 시대적 변화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바로 학장의 소진현상(burn out)을 초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장의 소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학행정의 거시적․미시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 학장의 전문성 계발 프로그램 개발
    -학장 역할 수행에 필요한 지도성 개발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장을 대상으로 보직자들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직무성과의 내용이 교육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학장의 직무수행과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분석하고 설계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학장의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직무 준거를 도출한다.
    - 우리나라의 위임전결 규정은 물론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학장의 직무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여 우리나라 학장의 직무 준거를 도출한다.
    ◦ 분산적 지도성의 영역 및 준거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 분산적 지도성의 척도를 개발한다.
    -지도성 실행에 관한 연구동향과 최근 강조되고 있는 분산적 지도성에 문헌고찰을 하여 분산적 지도성 영역과 내용을 진단하기 위한 측정 준거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학장의 분산적 지도성을 진단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한다.
    ◦ 실제 우리나라 학장의 직무수행에서 분산적 지도성 실행 정도를 분석한다.
    - 개발된 분산적 지도성 척도를 적용하여 학장의 직무수행에서 분산적 지도성을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학장의 직무수행 준거 개발>
    ① 델파이 조사
    - 학장의 직무수행의 영역 및 준거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 대상을 매 차례 10명의 전문가 집단(고등교육 전문가 5명, 학장 15명)을 구성하여 총 3차례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② 심층면담
    - 연구대상자의 관점에서 학장의 직무수행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목적으로 심층면담을 사용하고자 한다. 심층면담은 델파이 결과로 도출된 학장의 직무수행를 바탕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해서 학장의 직무수행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출하고자 한다. 대학은 고등교육전문가, 학장, 교수, 직원 5명씩 총 20명을 대상으로 한다.

    <학장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 척도 개발 및 적용>
    ① 척도개발 설문지
    - 두 차례의 예비문항 적합도 검증을 고등교육전문가 5명, 학장 30명, 교수 30명, 직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최종 척도의 개발을 위해 학장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산적 지도성 척도를 개발한다.
    ② 적용 설문지
    - 실제 학장의 직무수행을 알아보기 위해 최종 척도를 사용하여 학장의 직무수행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학장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다. 특히 대학의 특성화 분야의 학장과 그렇지 않은 학장의 직무수행과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학장, 직무수행, 지도성, 분산적 지도성, 지도성 실행, 대학행정
  • 영문키워드
  • Dean, Job Performance, Distributed Leadership , Leadership Practice, University Administr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우리나라는 외국과 달리 학장의 직무에 대한 연구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써 직무수행의 진단척도를 개발하고, 직무수행 정도에 따른 분석적 지도성 실행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예비문항 검토 작업과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확정된 학장의 직무수행과 분산적 지도성 진단 척도를 103명(학장 58명, 교수 45명)에게 적용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해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장의 직무는 발전계획 수립 및 시행, 교육과정 및 학습환경, 교직원 인사, 학생업무, 대내외 활동, 재정 및 사무관리 등 6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진단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예비 문항 작업과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과정을 거쳐 총 32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확정된 학장의 직무수행 진단 척도에 대한 신뢰도는 하위요인별 Cronbach α계수가 .82~.91 범위에 걸쳐 있고, 척도 전체의 Cronbach α계수는 .95로 나타나 본 척도의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진단하기 위한 척도 개발은 선행연구를 통해서 하위요인을 지도자, 구성원, 상황, 의사소통 등 4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이에 대한 예비 문항 작업과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과정을 거쳐 총 4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확정된 분산적 지도성 진단 척도에 대한 신뢰도는 하위요인별 Cronbach α계수가 .89~.95 범위에 걸쳐 있고, 전체의 Cronbach α계수는 .96으로 나타나 본 척도의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학장의 직무수행 정도와 분산적 지도성 실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학장 58명과 교수 45명 총 103명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학장의 직무수행은 대체로 적절하게 추출되었으며, 학장들은 대내외활동과 재정 및 사무관리에 대한 직무수행 정도가 높았다. 분산적 지도성의 경우도 대체로 적절하게 실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지도자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았다.
    넷째, 개인배경 변인에 따라 학장의 직무수행과 분산적 지도성 실행 정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사립보다 국립이, 소규모 대학보다 대규모 대학이 학장의 직무수행이나 분산적 리더십 실행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 만큼 대학의 자율권이 부여되어 있고, 학장의 직무에 대한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섯째, 학장의 직무수행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해서 분산적 지도성 실행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수행이 높은 집단이 직무수행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분산적 지도성 실행이 더 높았다. 이는 학장이 직무수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 분산적 지도성이 중요한 준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llege deans' job performance and distributed leadership.
    For the completion of survey items, Delphi method was used. A total of 103 participants(58 of college deans and 45 of professor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followings' findings were drawn from the study:
    First, the variables of deans' job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planning, academic affairs, faculty & staff, student affairs, external affairs, and finance & facilities. The finalized survey form was composed of 32 items. The Cronbach alpha of the survey form ranged from .82 to .91.
    Second, the variables of distributed leadership were investigated of leader, follower, situation, and communication. The finalized survey form was composed of 46 items. The Cronbach alpha of the survey form ranged from .91 and .95.
    Third, the survey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ns' job performance and distributed leadership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Fourth,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quality of college deans is, the better the quality of distributed leadership i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는 외국과 달리 학장의 직무에 대한 연구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써 직무수행의 진단척도를 개발하고, 직무수행 정도에 따른 분석적 지도성 실행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예비문항 검토 작업과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확정된 학장의 직무수행과 분산적 지도성 진단 척도를 103명(학장 58명, 교수 45명)에게 적용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해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장의 직무수행을 측정할 수 있는 변인을 교육계획수립, 교육과정 및 학습환경 조성, 교직원 인사, 학생업무, 대내외활동, 재정 및 사무관리 등 6개 하위요인에 총 32개 문항으로 구성된 ‘학장 직무수행 진단 척도’를 개발했다. 확정된 학장의 직무수행 진단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95로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측정할 수 있는 변인을 지도자, 구성원, 상황, 의사소통 등 4가지 하위 요인에 총 46개 문항으로 구성된 ‘분산적 지도성 진단 척도’를 개발하였다. 분산적 지도성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96으로 나타났다. 셋째, 확정된 학장의 직무수행과 분산적 지도성 진단 척도를 103명(학장 58명, 교수 45명)에게 적용한 결과, 직급별, 설립별, 규모별 등 배경변인에 따라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립대학보다 국립대학이 , 소규모 대학보다 대규모 대학에서 학장의 직무수행과 분산적 지도성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학장의 직무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분산적 지도성 실행이 더 이루어지고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장은 대학의 사명인 교육, 연구, 봉사 활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단과대학 목표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고,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확보․배분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또한 대학 내외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해소시키는 정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학장은 단순한 행정적 권위만으로 관리할 수 없는 특수성이 혼재해 있어서 단과대학의 행정을 통합․조정․관리하기 위한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장의 직무수행 척도를 개발하고, 실제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설계한다면 다음과 같은 점에서 유용성이 있을 것이다.

    가. 학술연구 차원

    1) 학장의 조직행동 이론에 대한 학술적 접근의 기회
    - 본 연구는 학장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시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 고등교육연구에서 대학의 학장은 아직 심층적으로 탐구되지 않은 분야 중의 하나이다. 그 동안 총장에 대해서는 일부 연구되었지만 대학 학장에 대한 학술적 접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 본 연구는 대학행정과 관련한 학장의 직무수행에 대한 방향 제시를 할 것이다. 학장에 관한 이론적인 탐구를 토대로 대학행정과 관련한 조직행동 차원에서 직무분석을 하고 이를 설명함으로써 학장에 대한 학술적 접근의 기회가 될 것이다.

    2) 대학교육 정책수립과 집행에 필요한 기초 연구
    - 본 연구는 대학교육 정책수립과 집행에 필요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대학행정이 점차 분권화되고, 학문분야의 특성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학장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학장이 대학의 사명인 교수, 연구, 봉사를 주도하고 실천하는 주체가 되고 있다.
    - 결국 본 연구 결과는 학장을 중심으로 정책입안과 집행과정을 추진하면서 대학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바탕을 둔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학장에 대한 이해는 대학교육 정책이 대학에서 현실적으로 어떻게 전개되고 기능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 대학 거버넌스의 분권화와 특성화에 대한 학술적 외연 확대
    - 이번 학장에 관한 연구는 대학이 작동하는 분권적 특성의 일면을 밝히고, 나아가 대학경쟁력을 높이고 대학특성화를 주도하는 단과대학의 역할에 대한 이해의 외연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적어도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행동 차원에서 학장에 관한 연구가 정립되어서 대학행정에서 학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이해가 확대될 것이다.

    나. 대학 및 사회적 기여도 차원
    1) 대학 학장의 직무의 중요성 강조
    - 학장 직무수행 척도를 개발하다면 학장의 직무에 대해 분명하게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 동안 대학에서 학장의 중요성이 제대로 강조되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서 학장의 직무에 대한 합리적인 타당화 작업을 시작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점차 학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장 중심의 교육 및 학사 운영 체제가 구축될 것이다.

    2) 대학의 분권화와 행정 지원체제 강화
    본 연구는 대학의 분권화 및 다양화 행정 지원체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연구내용은 학장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장의 권한이 확대되고 이에 대한 책임있는 단위행정이 이루어져 행정 지원체제가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들이 다양해지고 확대되는 고등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학장 중심의 행정 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다. 교육과 연계 차원
    1) 학장의 전문성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정보 제공
    학장에게 필요한 전문적 자질을 신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학장들도 보직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적 전문성이 필요하다. 전문성은 업무의 독자성과 고도의 지적, 기술적 우월성을 필수 요건으로 한다. 따라서 직무수행 척도는 학장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명확히 하는 정보 제공의 역할을 할 것이다.

    2) 학장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학장 역할 수행에 필요한 리더립 개발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장을 대상으로 보직자들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리더십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분산적 리더십의 내용이 교육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학장, 직무수행, 분산적 리더십, 단과대학, 대학행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