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마트 TV의 가치사슬 구조에 따른 제작의 유연전문화, 온오프라인 유통 그리고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ization of flexible production based on value chain structure of smart TV, onoff distributuon and user's experie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2025435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7월 01일 ~ 2015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옥기
연구수행기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스마트TV를 가치사슬 구조로 파악하고 1차년도에는 스마트 미디어의 제작과 관련한 연구를 2차년도에는 스마트 미디어의 글로벌 유통과 관련한 연구를 3차년도에는 스마트 미디어를 수용하는 시청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방송의 디지털화와 브로드밴드의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고도화한 스마트 TV, 시청자가 TV를 시청하면서 TV 속 상황을 실재처럼 감각적으로 느끼거나 경험할 수 있는 3DTV 등 새로운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는 스마트 콘텐츠의 중요성을 부각 시키고 있고, 스마트 TV를 가능케 하였다. 이에 향후 미래방송의 제작변화는 크로스미디어 전략이 예상된다. 또한, 국내 방송시장은 공급자 시장에서 수요자 시장으로 변화할 것이며, 저작권/매체전략/유통전략 전문가들이 기획 단계에 참여하게 되고 TV에도 프로그램ID를 이용한 신 편성정책이 펼쳐 질 것이다. 유통에 있어서도 스마트TV에 적용되는 표준 변환기술에 대한 검토와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통해 스마트콘텐츠의 다양한 유통을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스마트 환경에서 스마트콘텐츠를 유통하기 위해서는 변환기술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유통의 활성화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TV의 유통을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유통이 가능한 표준 전환기술의 개발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고 유통의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단순히 스마트 TV의 콘텐츠 유통 활성화 방안만을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컨버터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전략 및 모델을 개발하고 글로벌 유통을 위한 방송콘텐츠 글로벌 마켓플레이스 구축 방안을 모색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스마트TV는 방송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방송 시청행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스마트TV의 사용의 편리성은 방송시청 행태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TV를 뉴미디어 형태(DMB, 스마트폰)가 더 오래된 미디어 형태(TV, 영화등)를 나타내는 매체로 보고 즉 스마트TV를 방송과 통신의 재매개화로 보고 사용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에 대한 사용성의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사용자의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기대하는 효과는 제작자에게는 제작환경의 개선을, 방송사에게는 유통 환경 개선을 위한 표준화기술의 개발과 관련한 자료를 제공하는 효과와 함께 시청자들의 경험을 중시하는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TV의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TV는 기존의 방송과는 차별화된 콘텐츠의 공급이 요구된다. 즉 스마트콘텐츠의 국내 프로그램의 수요량을 현재의 생산조건에서 얼마만큼 해결할 수 있느냐와 개방화에 따른 유통과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된다. 이는 전문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야 할 제작사들의 제작 여건 개선과 관련된 문제이기도 하다. 특히 스마트 TV에 공급되어야 콘텐츠의 제작 시스템 개선은 필수 이다. 즉 공급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콘텐츠 제작 인프라가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스마트TV의 현실화는 무리이다. 이러한 제작여건의 개선을 유연한 전문화를 기반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시청자 중심 스마트TV 콘텐츠 서비스 제공만이 진정한 손안의 TV의 개발과 보급에 영향을 주는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콘텐츠의 공급이 스마트TV의 존립과 밀접한 현실이 될ㅊ것인데 이때 온오프라인을 통한 콘텐츠의 수용와 공급을 제공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동시에 유통이 가져오는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의 기술도 파악하도록 한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스마트 콘텐츠를 활용하도록 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것이다. 또한, 수용자들은 제공되는 채널의 형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에 있어서 변화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는 시청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필요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선택적으로 접근하여 시청하는 단계에서 자신의 욕구에 더욱 부합되는 내용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로 발전하게 되고, 방통 융합이 진행되면 특정 콘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만들 수 있거나 창조적인 내용을 보다 쉽게 즐길 수 있는 단계로 시청자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치사슬 구조로 논리적인 파악을 통해 스마트 TV 제작을 체계화하고 유통 방안을 표준화하며, 시청자 경험을 파악하여 보다 진보한 스마트 TV시대를 열도록 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스마트 TV는 전혀 새로운 미디어가 아니라 기존의 미디어들이 결합하거나 기기가 융합하는 현상으로 볼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이 요구되며, 스마트 TV에 걸맞는 서비스는 어떠한 것들이 요구되는지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매체와 기기간 융합이 만들어내고 있는 스마트TV는 제공되는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작과 유통 그리고 소비의 전방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기존의 방송 과는 차별화되는 제작의 전문화와 글로벌한 유통 그리고 시청자들의 경험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제작에 있어서는 유연 전문화를 중심으로 지역적인 집적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필요한 시설 설비와 제작 방향을 델파이 전문가 조사로 진행하고자 한다. 유통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기호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소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소비환경에 맞는 콘텐츠 서비스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시각으로 예를들면, 3스크린 플레이와 같은 유통을 위해서 필요한 표준화된 전환기술등 유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소비에 있어서는 스마트TV가 가져올 시청자 변화와 관련해서 ‘수동적 시청 행태에서 능동적 시청 행태로의 변화’, ‘TV에서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 ‘SNS를 기반으로 한 소셜TV’, ‘시청자 참여형 양방향 콘텐츠’ 등의 변화가 에측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스마트 TV를 시청하는데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고 사용자들은 느끼는지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이 중요하게 대두될 것이므로 스마트TV 사용자들은 어떻게 이용행태를 보이는지,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성의 정도는 어떠한지, 만족의 정도는 어떠한지를 사용자 경험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사용자가 목표를 완수할 수 있도록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 용이함을 나타내는 사용성을 사용자 경험(UX)으로 파악하고 시청자들이 스마트TV에 대해 인식하는 미디어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심리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 대해 사용자 경험의 요인을 파악하여 사용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성의 정도는 어떠한지, 만족의 정도는 어떠한지를 사용성 테스트를 실증조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차 년도에는 기존의 방송과 차별화되는 스마트TV의 가치 사슬 구조를 파악하고, 콘텐츠를 제작 하는데 있어서 제작의 유연화를 방안으로 한 제작 기법과 제작 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TV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는 방송형은 다른 TV프로와 동시 시청이 가능한 형태로, 통신형은 앱을 TV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제공이 되고 있으며, 맞춤형은 스마트TV 콘텐츠의 미래를 주도하는 다양한 방식의 개인 콘텐츠가 제공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제작의 변화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와 웹 기반 콘텐츠 제작 그리고 홈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맞춤형 콘텐츠 제작이라는 콘텐츠 유형을 도출 할 것이며, 제작 유연화를 통한 통합과 분화 시스템으로 변모하면서 제작 품질의 고도화되고, 인터넷 기반의 제작 소프트 웨어들의 기술 발달로 개인미디어 콘텐츠를 양산하는 사용자 참여제작이라는 제작시스템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2차 년도에는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영상처리를 통해 화면에 유통하는 기존의 TV와 달리 스마트TV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인터넷 기반의 플랫폼을 통해 유통하는 가치사슬의 통합구조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TV용 콘텐츠를 매체에 상관없이 유통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고찰하기 위하여 스마트TV 콘텐츠의 유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문제점은 스마트TV 앱의 유료화가 어렵다는 것이었고, 지상파 컨텐츠의 폐쇄적 유통 정책, 통신사의 망중립성 원칙의 훼손, 앱 개발사의 영세성, 신규 스마트TV 구입 부담, TV 제조사 중심의 스마트TV 생태계순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일반 TV에서도 앱을 구현할 수 있도록 OTT 기기 보급 촉진 및 OTT 사업자의 사업 활성화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부터, 통신사업자의 망 중립성을 준수하도록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고, 앱 개발사가 앱에 대한 과금 여부 및 과금액에 대한 의사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앱의 글로벌 보급을 위해 앱스토어 운영사의 네트워크 품질 보장 방안이 필요하고, 스마트TV 앱 개발 촉진을 위한 정부의 기술 개발 지원 제도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3차 년도에는 본 연구는 스마트TV의 활성화를 위해서 사용자 경험이 편리성을 주는 것이라는데 주목하고,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의 능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 서비스의 이용이 얼마나 편리한지와 같은 사용자경험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TV의 사용성은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그리고 감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스마트TV는 방송 스마트 콘텐츠를 방송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은 방송시청 행태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는 사실도 파악되었다. 특히 시나리오 설계 방법으로 사용성 테스트 실험처치를 실시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스마트TV 프로그램의 세부적인 정밀 검증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스마트TV가 진화된 TV라는 긍정적인 생각과는 달리, 실제 이용의 편리성은 실험자 특성 별로 차이를 나타내 향후 사용용이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공과 기기 제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year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value chain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mart TV broadcasting and the flexibility of production according to production content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duction systems into the room.As a result, and content services delivered via Smart TV is a broadcast type to another TV program and simultaneously watch two possible forms, the communication type is provided as a service that can use the app on your TV, it customized the future of Smart TV content Personal content of the various ways to lead a to be provided has been identified.This will change in production is to derive the change and Web-based content creation and tailor-made content, content type of production that connects the home network interface, and the sophistication of production quality and transformed into an integrated and differentiated system with production flexibility, Internet-based It was investigated as to cause a change in the production of user participation personal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s fo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기존의 방송과 차별화되는 스마트TV의 가치 사슬 구조를 파악하고, 콘텐츠를 제작 하는데 있어서 제작의 유연화를 방안으로 한 제작 기법과 제작 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TV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는 방송형은 다른 TV프로와 동시 시청이 가능한 형태로, 통신형은 앱을 TV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제공이 되고 있으며, 맞춤형은 스마트TV 콘텐츠의 미래를 주도하는 다양한 방식의 개인 콘텐츠가 제공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제작의 변화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와 웹 기반 콘텐츠 제작 그리고 홈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맞춤형 콘텐츠 제작이라는 콘텐츠 유형을 도출 할 것이며, 제작 유연화를 통한 통합과 분화 시스템으로 변모하면서 제작 품질의 고도화되고, 인터넷 기반의 제작 소프트 웨어들의 기술 발달로 개인미디어 콘텐츠를 양산하는 사용자 참여제작이라는 제작시스템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스마트TV 방송서비스가 활성화 되어야할 시점에서 콘텐츠의 공급이 활성화의 관건이라는 관점에 주목하고, 제작과 제작 시스템 시장의 변화를 예측을 위한 이론으로 가치사슬 구조를 파악한 후, 제작의 유연전문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스마트TV분야는 플랫폼이 다양한 사업자들에 의해 파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 개발자가 스마트TV 앱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각 플랫폼에 적합하도록 여러 번의 개발 과정 또는 정합 과정을 거쳐야 하는 구조로 인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콘텐츠의 제작환경 개선에 필요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스마트TV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공 이외에도 인터넷 검색과 게임이나 사진보기 등과 같은 확장된 TV 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조사하였다. 둘째, 스마트TV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는 방송형은 다른 TV프로와 동시에 시청이 가능하고, TV와 같은 프로의 다른 앵글 화면 시청등이 제공되며, 통신형은 OTT서비스, TV프로와 동시에 정보 검색, 온라인 게임, 온라인 쇼핑을TV에서 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특히, 맞춤형서비스는 스마트TV 콘텐츠의 미래를 주도하는 서비스로서, 세컨드 스크린, 객체인식, NFC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스마트TV의 가치사슬 구조는, 다양한 개발사들이 TV앱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 구축을 위한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넷째, 스마트TV의 콘텐츠 제작은 영상물을 제작하는 작업에서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기획으로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이다. 궁극적으로 스마트 TV의 제작시스템은 공급자 시장에서 수요자 시장으로 변화하며, 저작권과 매체전략 그리고 유통전략 전문가들이 기획 단계에서부터 참여하는 제작 디자이너 개념이 도입되는 크로스 미디어(cross media)전략 시스템이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TV의 콘텐츠 제작을 가치사슬 구조로 파악하여 제작과 제작 시스템의 변화를 예측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 제작자에게는 스마트 TV 콘텐츠 제작을 위한, 사업자들에게는 콘텐츠를 통한 수익모델을 구상하는, 정책 입안자에게는 제작 활성화 정책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주요어 : 스마트TV, 제작과 제작 시스템, 스마트 생태계, 제작 유연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