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경제의 글로벌화와 상생발전
상생과 혁신 지향적 조직생태계와 기업의 경쟁력: 플랫폼 구조의 공진화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3A2033902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동일
연구수행기관 숙명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상찬(이화여자대학교)
김우식(이화여자대학교)
윤정구(이화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21세기 기업환경은 한 산업 내에서 동일한 고객을 놓고 차별화, 가격전쟁 등의 방식으로 경쟁하던 시대에서, 산업간 경계가 무너지면서 산업과 산업을 연결해주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생태계의 시대로 재편되고 있다. 플랫폼이란 다양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구조적 토대이다. 한 마디로 플랫폼은 다양한 범위의 상호보완적 제품이 공진화할 수 있도록 기술과 서비스를 결합/재결합시키는 기술적, 구조적 토대이다. 좋은 플랫폼은 참여자들에게 협업과 혁신 및 상생기회를 제공해줌으로써 공진화하고 확장된다. 플랫폼이 공진화를 거듭할수록 플랫폼을 깔아 준 리더기업과 보완재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상생 발전한다.
    플랫폼의 가장 큰 특징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과 플랫폼을 이용해 다양한 보완재를 만들어내는 기업, 그리고 고객이 서로 협동할 수 있는 조직생태계라는 연결망을 만들어낸다는 점이다. 공동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직생태계의 참여자들은 공생공멸의 공동운명체이다. 조직생태계는 기업 간 관계를 독립적 제조업과 공급업자의 집합으로 보던 전통적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이 둘을 연동시켜 가치를 창출하는 연결망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조직생태계 연결망의 경쟁력은 플랫폼의 동태적 역량에 의해서 결정된다. 동태적 역량이란 플랫폼을 공유한 모든 참여자들이 개방, 협업, 공유, 혁신을 통해 플랫폼의 공진화를 도울 수 있는 능력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생태학, 제도주의, 연결망 이론 등의 다양한 조직이론들을 통합하여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조직생태계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통합적인 이론적 관점을 개발하고, 그 기반 위에서 생태계 구성원들이 상생과 협력을 통해 플랫폼을 혁신적으로 공진화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플랫폼은 조직생태환경에 네트워크의 배태성을 접합시킨 새로운 형태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는 조직생태학이나 연결망 이론, 제도주의 등 어느 하나의 이론적 관점에서는 달성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조직이론이나 연결망 이론들은 네트워크가 배태된 조직생태환경에서 리더기업이나 보완재 참여자들의 주도적 에이전시 역할을 통해서 생태계가 공진화한다는 점을 파악하는 데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 때문에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연구들이 플랫폼의 기술적 아키텍처에 연구를 집중해왔다. 본 연구는 아마도 플랫폼의 기술적 측면과 조직이론 차원의 측면을 통합하는 최초의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플랫폼은 지금까지 자동차나 IT 내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스마트화가 진행될수록 TV, 생활가전, 로봇, 금융, 서비스 산업 등 타 산업에 보편적으로 확산될 전망이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시점이다. 또한 플랫폼 전략의 키워드는 협력, 공유, 개방, 상생, 혁신이라는 점에서 지금 한국에서 가장 해결해야 할 이슈인 기업들 간의 동반성장의 문제에 대한 현실적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다. 플랫폼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기존의 경쟁자를 이기기 위한 고전적 경영전략에 의존하는 회사들은 그 생존가능성이 점점 희박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많은 기업들은 아직도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정부에서 제시하는 해결책은 상생과 협력을 규범적으로만 강조하고 있기에 대기업들의 반발만을 사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어떤 조건에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조직생태계가 공진화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함으로써 기업들이 자신의 경쟁력을 위해서 자발적으로 협력하고 상생하고 혁신하도록 하는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국가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진화를 촉진시키는 조건을 성숙시키는 데 정책적 자원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기존의 규범적 강요에서 생기는 반발이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애플과 구글은 TV 시장에서 강자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기업에 큰 위협으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단기과제에서는 지금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는 TV, 전자 산업의 조직생태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이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할 것이다. 장기과제를 통해서는 금융이나 서비스, 자동차 산업에서의 조직생태계를 연구함으로써 국가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기과제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공급망 사슬을 운영하고 있는 의류업체 리앤펑 (Li & Fung)과 같이 국가와 국가를 어우르는 글로벌 플랫폼 회사의 프로토콜을 연구하여 한국에도 이와 같은 리더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의 글로벌 경쟁력을 드높일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 회사에 대한 모형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
  • 기대효과
  • 이 연구의 기대효과를 학문적, 사회적, 교육적 차원 등으로 나누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 차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조직 연구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직간 협력에 대해서는 그동안 적지 않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플랫폼의 맥락에서 이를 연구한 학술적 업적은 많지 않다. 산업과 시장의 경계를 넘어 형성되어 있는 플랫폼 내에서 기업 간 관계의 구조는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에 독립적으로 발전되어 온 다양한 조직이론들을 결합하여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과정은 조직이론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장기적으로 이 연구는 글로벌 사회를 아우르는 플랫폼도 다룰 예정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화와 제도에 뿌리를 둔 기업들이 어떻게 상호 연계하며, 복잡한 환경을 통제하고, 제도적 연결을 이루어내는지에 대해서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상생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라는 ‘운동장’ 위에서 형성된 협력적 연결망의 구조와 이를 통한 혁신적 속성의 발현을 탐구하고 프랫폼에의 배태성이 어떻게 경제적 행위자들의 연결 행위, 협력 행위를 매개하는지를 밝힌다는 점에서 연결망 이론에 새로운 시각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플랫폼의 공진화를 다루는 이 연구는 최근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연결망의 진화에 대한 연구에 좋은 디딤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시장 이론의 정립에도 기여할 수 있다. 플랫폼은 다양한 시장 영역을 연결하기도 하고, 동일한 시장이 복수의 플랫폼에 걸쳐 있기도 하기 때문에 그 역동성과 복잡성이 매우 높다. 플랫폼생태계가 현대 경영의 유력한 패러다임으로 떠오르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단일 시장을 가정하거나, 복수의 시장 간에 형성된 연결망에 대해 충분한 검토가 없었던 기존 시장 이론의 한계와 이론적 지체를 극복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이 연구는 복잡한 조직플랫폼생태계에 대한 분석적 이해를 위해 시뮬레이션 방법을 도임함으로써 방법론적 측면에서도 국내 사회과학의 발전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원하청 관계나 중소기업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화로운 협력과 공생, 나아가 이를 통한 국가경쟁력의 향상에 대한 정부와 사회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플랫폼이라는 장을 통한 공존과 번영의 해법을 모색하고 실현가능한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점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제안되고 있는 대부분의 정책적 방안이 상생과 동반성장에 대한 규범적 호소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실현가능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혁신이 기업 경쟁력의 가장 강력한 지표로 떠오르는 현대 기업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미래지향적 경쟁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혁신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적 역량으로는 부족하다. 이에 더하여 협력과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관계적 역량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두 가지 요구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배경적 조건으로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현재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플랫폼은 상생을 위한 규범뿐만 아니라 그 경제적 유인기제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방의 희생이 아닌 공동 번영의 터가 될 수 있다. 넷째, 이 연구는 기업들 간의 협조와 상생뿐만 아니라 이것이 구성원의 심리적 자원이나 역량, 직무 수행, 협력에 대한 인식, 리더십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때문에 소위 ‘근로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대안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현대 경영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의 원천인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과 관련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새롭게 떠오르는 플랫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촉발하고, 이들이 미래의 사회과학자로 성장하도록 다양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연구보조원뿐만 아니라, 신진연구자들, 각 대학의 젊은 사회과학자, 석박사과정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이 연구가 플랫폼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차세대 사회과학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강의개발, 대학교재 집필, 대중적인 교양서적 출간 등의 방법으로 사회과학 교육의 현실적합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글로벌 시대가 가져온 혼란과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한국 경제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기업들 간의 협력과 상생이 필요하며, 이를 달성할 수 있는 키워드가 바로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하에 이 연구는 각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정한다. 소형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 연구와 삼성, 엘지, 하이닉스 등 세 개 전자 플랫폼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협력과 상생을 촉진하는 플랫폼 생태계의 구조와 그 공진화 과정, 그리고 이것이 기업의 경쟁력과 기업 구성원의 직무역량과 근로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중형단계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서비스 산업과 자동차 산업으로 확장하여 연구함과 동시에, 플랫폼 간의 상호의존성 및 연계, 시장과 산업을 매개로 한 플랫폼의 경계 확장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 대형 단계에서는 한국 경제가 글로벌 경제의 진정한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플랫폼에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관점을 제시하고, 글로벌로 확장된 플랫폼 하에서 이질적인 문화를 조율하고,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이러한 장기적인 연구계획 아래, 소형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제에 대해 연구한다. 첫째, 조직플랫폼 생태계를 연결망 구조와 시장 구조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플랫폼은 이에 참여하는 기업에 기회와 더불어 부담을 제공한다. 지속적인 협력과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협력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기적 행위로 인해 촉발될 수 있는 공공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부담을 줄이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내에서 부정적 사회자본을 억제하고 긍정적 사회자본을 확대해야 하는데, 그 중심에 연결망의 구조와 시장 구조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플랫폼 참여 기업의 연결이 누구에게 집중되는지와 관련된 연결의 방향성, 기업 간 다양한 종류의 연결이 공존하는 다중성, 각 종류별로 형성된 연결망들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중복성, 새로운 연결이 창출될 가능성을 의미하는 잠재성 등의 개념을 활용하여 플랫폼 생태계 내의 연결망 구조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결망 구조 분석을 토대로 플랫폼 연결망의 형태를 두 가지로 분류한다. 하나는 상황에 따라 집중형과 분산형, 공백기반형과 고밀도 기반형, 등가기반형과 결속 기반형 사이를 오갈 수 있는 유기적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일정한 형태로 고착되어 쉽게 변하지 않는 기계적 구조이다. 둘 중 어떤 형태의 연결망 구조가 상생과 혁신에 더 유리한지를 탐구한다. 나아가 시장 구조와 연결망 구조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플랫폼 생태계를 쌍대와 등가구조의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두 번째 주제는 플랫폼 생태계가 더 건강한 생태계로 공진화하는 구조적 조건과 이를 촉진하는 요인, 그리고 그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플랫폼 생태계의 공진화는 거시적이고 구조적인 조건과 이러한 조건 속에서 기회를 찾아 새로운 규범과 관행을 실천하고 확산하는 제도적 기업가 간의 상호작용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플랫폼 생태계가 공진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플랫폼 리더십의 속성, 연결망의 구조, 시장 구조 등을 설정하고, 이 조건들이 공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아울러 이 조건 속에서 기회를 포착하고 활용함으로써 제도적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은 어떤 특징을 갖는지, 그리고 제도적 변화가 플랫폼 내에 확산되는 과정은 어떠한지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협업의 관행이 제도화되고 공동체의식이 뿌리 내리는 방향으로 공진화하는 플랫폼 생태계와 그렇지 못한 생태계를 비교하여, 그에 속한 구성 기업들의 객관적 효과성과 주관적 효과성, 특히 혁신과 관련된 성과 등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본다. 또한 생태계에서 협력과 상생을 위한 관행이 제도화되면, 이러한 관행이 기업 내부로 전이되어 팀 간, 구성원 간 협력과 협업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전이가 기업의 성과와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거시적인 공진화 과정과 조직 내부로의 전이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구성원의 심리적 자본 축적, 진성리더의 육성 등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이러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과 경험적 연구 등 두 가지 방법론을 활용한다. 우선 삼성, 엘지, 하이닉스 등 세 개의 플랫폼에 참여하는 기업과 그 구성원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종단적 자료를 구축하고 분석한다. 플랫폼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거의 없는 현 상황을 고려하여 이론 적합성과 현실 적합성을 두루 갖춘 분석틀을 구축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연구를 병행한다. 이 두 방법은 연구 과정에서 유기적이고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재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토대를 의미하는 플랫폼은 이미 현대 글로벌 경제의 핵심 요소로 급부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랫폼을 학술적으로 다룬 진지한 사회과학 연구는 사실상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기업들의 집합을 플랫폼 기반의 조직생태계라고 개념화하고, 이 생태계가 상생과 혁신, 나아가 한국 경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는지, 그렇다면 그에 적합한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구조는 어떠하며, 그 공진화를 이끄는 기제는 무엇인지를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과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개념을 정립하고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구조와 작동원리, 그 출현과 공진화 과정에 대한 분석틀을 구축했다. 이 분석틀에 따라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출현, 성장, 상생과 혁신을 향한 공진화 과정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했다. 또한 전자플랫폼, 문화상품 생산플랫폼, 사회적 경제조직 플랫폼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플랫폼 조직생태계의 특성과 작동원리를 연구했다. 마지막으로 텍스트 분석, 특허 네트워크 연구, 지식생산기관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공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문화적, 제도적, 조직적 지원시스템을 규명함으로써 플랫폼 조직생태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했다.
  • 영문
  • The modern global economy has witnessed the fast rise of a novel concept, platform, which is defined as the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that enables combination and recombination of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Nonetheless, little social scientific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new phenomenon. Proposing a new concept, “platform-based organizational ecosystem” defined as a group of organizations linked through a platform,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platform-based organizational ecosystem can make contribution to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economy. To this end, the research focuses on the structure and co-evolution of the ecosystem. On the basis of initial theoretical models, the research team developed simulation models regarding the structural configurations and the co-evolutionary processes of platform-based organizational ecosystems. Then, the team carried out empirical studies by applying the models to various areas such as electronic product markets, cultural product markets, and social economy network. Also, the team explored technical, cultural,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facilitate the co-evolution of the eco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재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토대를 의미하는 플랫폼은 이미 현대 글로벌 경제의 핵심 요소로 급부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랫폼을 학술적으로 다룬 진지한 사회과학 연구는 사실상 전무하다. 또한 플랫폼을 제공하거나 활용하는 기업들 사이에서는 전통적인 형태의 공급사슬이나 지배-종속 관계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들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소형단계의 연구에서 본 연구진은 플랫폼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기업들의 집합을 플랫폼 기반의 조직생태계라고 개념화하고, 이 생태계가 상생과 혁신, 나아가 한국 경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는지, 그렇다면 그에 적합한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구조는 어떠하며, 그 공진화를 이끄는 기제는 무엇인지를 연구했다.
    초기단계의 핵심 연구 활동은 플랫폼과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틀과 분석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매월 세미나를 개최하여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발전되어 온 관련 이론들을 검토하는 동시에 플랫폼 사례들을 수집‧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구조와 작동원리, 그 출현과 공진화 과정에 대한 분석틀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분석틀에 따라 시뮬레이션 연구와 경험적 연구를 수행했다. 시뮬레이션 워크샾 개최‧참여를 통해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출현, 성장, 상생과 혁신을 향한 공진화 과정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했다. 또한 전자플랫폼 참여기업에 대한 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실에서 관찰되는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구조와 그 작동원리를 규명하였다. 또한 경험 연구의 범위를 문화상품 생산 플랫폼(영화와 음악), 사회적 경제조직 플랫폼으로 확대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플랫폼 조직생태계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의 공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문화적, 제도적, 조직적 지원시스템을 규명함으로써 플랫폼 조직생태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전자플랫폼 참여기업의 비전과 미션에 대한 텍스트 분석, 플랫폼 참여 기업 간의 특허 네트워크 연구, 조직생태계 공진화에 있어서 대학의 교량역할에 대한 연구 등의 연구 활동은 플랫폼 기반 조직생태계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우선 조직 연구에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양한 산업과 시장이 교차하는 플랫폼 내에서 기업 간 관계의 구조는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에 독립적으로 발전되어 온 다양한 조직이론들을 결합하여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과정은 조직이론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경쟁과 협력이 공존하면서 다양한 역동성을 만들어내는 플랫폼 생태계는 조직생태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사회연결망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학문적 토양을 보면, 상생이라는 화두와 연결망이라는 화두가 상호 독립적으로 다루어져 왔거나, 그 관련성이 매우 모호하게 설정되어 왔다. 이 연구는 상생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라는 운동장 위에서 기업들이 연결망을 형성하여 상생하고 혁신을 이루는지를 다룬다는 점에서 상생과 혁신에 도움이 되는 기업 연결망 지배구조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연결망의 진화 과정에 대한 연구에 좋은 디딤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시장 이론의 정립에도 기여할 수 있다. 지금까지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에서 발전되어 온 시장 이론들은 플랫폼 연결망이 존재하는 시장을 본격적으로 다루지 못했다. 하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시장은 시장 내에서, 그리고 시장을 가로지르는 연결 관계를 갖고 있다. 특히 플랫폼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연결 관계가 더욱 복잡한 형태를 띠고, 이에 따라 시장의 역동성이 매우 크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연구는 시장 이론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다.
    넷째, 이 연구는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고 활용함으로써 플랫폼 연구에서 방법론적 발전을 기할 수 있다. 이 연구 활동을 통해 한국에서 사회적 시뮬레이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측면에서 사회적으로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첫째,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원하청 관계나 중소기업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화로운 협력과 공생, 나아가 이를 통한 국가경쟁력의 향상에 대한 정부와 사회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플랫폼이라는 장을 통한 공존과 번영의 해법을 모색하고 실현가능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과 다른 기업 간에 상생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구조적, 제도적 조건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서로가 동반성장할 수 있는 상호 호혜적 상황을 성숙시켜서 모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혁신이 기업 경쟁력의 가장 강력한 지표로 떠오르는 현대 기업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미래지향적 경쟁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지난 10년, 20년 간 세계적인 기업 판도의 변화를 보면 혁신이 주는 파괴력과 기회는 앞으로 더욱 증가하리라 예상된다.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고, 인력을 교류하는 등 신뢰와 호혜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의 토대가 마련되지 않고는 가속화하는 시장의 변화를 따라갈 수 있을 만한 혁신을 이루어내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기술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협력과 공유의 토대를 제공해 주는 플랫폼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미래지향적 경쟁력의 패러다임이 무엇인지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현재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적 차원에서나 학술적 차원에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점차로 증가하고는 있지만, 이들 대부분이 도덕적, 규범적 차원에서 그 정당성을 주장할 뿐 실질적인 효과를 거의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규범적 강제와 더불어 경제적 유인의 제공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대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을 일방적 희생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플랫폼은 상생과 더불어 혁신과 기업 효과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제가 된다는 점에서 대기업 입장에서 외면하기 어려운 대안이라고 판단된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플랫폼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연계하여 살펴보는 이 연구는 대단히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색인어
  • 상생, 혁신, 플랫폼, 조직생태계, 공진화, 기업경쟁력, 연결망, 시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리더십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