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literacy practices) 종단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2A03034589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혜승
연구수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정현선(경인교육대학교)
손원숙(경북대학교)
민병곤(경인교육대학교)
김정자(경인교육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을 종·횡단적으로 조사하고 그 양상을 살펴서 초등학생들의 언어 발달과 국어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학교 교육과의 실제적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3년간에 걸쳐 다음과 같은 과제목표를 수립하였다.

    <1차년도 과제목표>
    • 학교 밖 문식 활동의 개념 및 의의 분석
    • 학교 밖 문식 활동 조사 도구의 개발 및 검증
    • 학교 밖 문식 활동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Ⅰ)

    <2차년도 과제목표>
    • 학교 밖 문식 활동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Ⅱ)
    • 학교 안과 밖 문식 활동 연계 방안 제시

    <3차년도 과제목표>
    • 학교 밖 문식 활동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Ⅲ)
    • 학교 밖 문식 활동 종단적 변화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 학교 밖 문식 활동 지원 방안 제시

    이상의 3년간에 걸친 과제목표는 다음 여섯 개의 중심 연구 문제와 하위 문제 해결을 통해 달성할 것이다.

    1. 학교 밖 문식 활동의 개념과 의의는 무엇인가?
    1.1. 학교 밖 문식 활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2.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의의는 무엇인가?
    1.3. 학교 밖 문식 활동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의 의의와 한계는 무엇인가?
    1.4.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비추어 문식성을 어떻게 정의내릴 것인가?

    2. 초등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어떤 문식 활동을 하는가?
    2.1. 초등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무엇을 읽고 쓰는가?
    2.2. 초등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어떻게 읽고 쓰는가?
    2.3. 초등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왜 문식 활동을 하는가?
    2.4. 초등학생들은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대하여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가?

    3.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은 어떠한 발달적 특성을 보이는가?
    3.1. 초등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읽고 쓰는 대상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3.2. 초등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읽고 쓰는 방법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3.3.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이유와 동인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3.4. 초등학생들이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대하여 가치를 부여하는 데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4. 초등학생의 문식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4.1. 성(性), 지역, 가정환경, 학교(교사) 등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문식 활동에 차이가 있는가?
    4.2. 성(性), 지역, 가정환경, 학교(교사) 등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문식 활동 발달에 차이가 있는가?

    5. 학교 안과 학교 밖 문식 활동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5.1.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은 학교 안 문식 활동과 어떻게 같고 다른가?
    5.2. 초등학생들은 학교 안과 밖의 문식 활동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하는가?
    5.3.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의의는 무엇인가?
    5.4. 초등학생들의 학교 안과 밖의 문식 활동을 연계할 가능성이 있는가?
    5.5. 학교 밖 문식 활동과 학교 교육의 연계에 대한 외국의 사례는 어떠한가?
    5.6. 초등학생들의 학교 안과 밖의 문식 활동을 연계할 방안은 무엇인가?

    6.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6.1.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특징과 문제는 무엇인가?
    6.2.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에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가?
    6.3.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지원의 범위와 방법은 무엇인가?
  • 기대효과
  • 1) 학문적 측면
    • 언어 발달 연구의 확대: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대한 종단 연구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는 언어 발달 연구의 확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문식성 개념의 재정립: 학습자가 처한 변화된 문식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문식 활동의 실체를 규명함으로써, 외국의 이론이나 개별 연구자들의 관점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실제 언어 현상을 근거로 하여 문식성 교육 연구의 바탕이 되는 문식성 개념을 재정립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문식성 연구 분야의 다양한 연구 주제 파생 및 활성화: 어린이들의 문식 활동에 영향을 주는 가정과 지역 사회 요인 등 ‘문식 활동 후원자들’의 실체를 밝힘으로써, 문식성 학습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 주제를 파생시키고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제적 연구를 촉진: 학령기 이전의 유아 단계의 교육 및 중등교육 단계와의 연계 및 다양한 내용 교과에서 다루는 지식·경험과의 연계가 필요하고, 발달심리학, 학습심리학, 교육사회학 등의 연구 주제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문식성 및 국어교육 연구에 있어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학제적 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합 모델 및 비언어적 연구 방법 사용을 통한 새로운 연구 방법 제시: 학생들의 문식 활동을 조사하기 위해 양적, 질적 연구 방법들을 활용함으로써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합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문식성과 국어교육 분야는 물론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에서 보다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논의를 촉발할 수 있다.

    2) 교육적 측면
    • 실효성 있는 문식성 교육 정책 개발: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증거 기반 정책 개발과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한 교육 정책 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실효성 있는 교육 정책을 마련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학교 밖 문식 활동 측정 도구 개발: 정부는 물론 학교, 교사와 같은 잠재적 문식성 후원자들에게 정책 개발 및 교육과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도구와 준거를 제공할 수 있다.
    • 학교 안팎의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개선 방안 마련: 공식적인 학교 교육 이외의 방과 후 학교, 문화센터,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센터와 복지관, 대안학교 등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비형식적 문식성 교육에 있어서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개선 방안의 마련에 활용할 수 있다.
    • 문식성 교육 정책,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의 전문성 개발: 초등학생들의 문식성 발달을 위한 교과서 및 민간 출판사의 다양한 출판물과 교재 개발을 담당하는 인력들의 인식 전환 및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 문식성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 간의 협업: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보다 학습자 중심적이고 효율적인 문식성 교육 방안의 개발과 운영, 평가를 위해 협업할 수 있는 근거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3) 사회적 측면
    • 보다 나은 문식 환경 제공을 위한 사회적 제도 보완에 대한 관심 환기: 다양한 학교 밖 요인들을 밝혀냄으로써, 보다 나은 문식 환경 제공을 위한 사회 각 분야의 역할과 제도 마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 학습자 중심적인 문식 환경 조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환기와 제도 개선의 기틀 마련: 학교 안팎에서 보다 학습자 중심적인 문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제도 개선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언어, 독서, 매체, 대중문화 등 문식성 관련 분야 정책 개발의 근거 제공: 이 연구는 국가 수준의 언어 정책, 독서 정책, 매체와 대중문화 정책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실증적인 근거와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보다 나은 문식 환경 조성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와 협조 방안 마련: 가정 내 부모 및 양육자들의 육아에 있어서도 유용한 정보와 판단의 준거를 제공함으로써, 가정과 학교의 원활한 연계와 협조를 통한 문식성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문식성 교육을 위한 공식/비공식 교육 및 형식/비형식 교육 간 연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환기: 비형식 교육과 비공식 교육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문식성 교육을 활성화하고 이들과 학교의 공식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학교 밖 문식 활동을 종·횡단적으로 조사하여 초등학생들의 언어 발달과 국어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학교 교육과의 실제적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교 밖 문식 활동의 개념과 의의는 무엇인가?
    문식 활동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가 관련 분야의 선도적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 공동체와 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이 왜 중요하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소통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그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여 본 연구 수행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한다. 또한 그간 이론적 수준에서만 논의되어 온 문식성의 개념과 성격을 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에 기반하여 재조명하는 문제도 탐구해 볼 가치가 있다. 이 문제는 선행 연구를 폭넓게 검토하는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어떤 문식 활동을 하는가?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어떤 문식 활동을 하는지를 조사한다는 것은 학생들이 어떤 장르, 화제, 주제의 텍스트를 가지고, 어떤 매체를 통하여, 어떤 방법으로 문식 활동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웹 2.0시대 매체의 급격한 변화는 학생들이 학교 밖 문식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이에 대한 조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왜 그러한 문식 활동을 하는지, 문식 활동을 하게 하는 동인(動因)이 무엇인지, 문식 활동의 주체로서 자신과 동료의 문식 활동에 어떤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이 문제는 3년간에 걸쳐 양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탐구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은 어떠한 발달적 특성을 보이는가?
    초등학생 문식 활동의 발달적 양상을 포착하기 위해서 학년이 올라가면서 문식 활동의 내용과 방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문식 활동을 하는 이유와 동인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러한 활동에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와 양상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발달 과정에서 양적이고 질적인 중요한 발달적 변화의 지점(변곡점)이 어디인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 문제는 1차년도의 조사 결과를 2차년도 결과와 비교·분석하고, 1,2차년도 조사 결과와 3차년도의 그것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탐구할 것이다.
    넷째, 초등학생의 문식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문식 활동과 그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을 촉진하거나 가로막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구함으로써 학교 밖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 문제는 2차년도와 3차년도에 걸쳐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을 혼합하여 조사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 안과 학교 밖 문식 활동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초등학생들이 학교 안에서 하는 것과 학교 밖에서 하는 문식 활동에 어떤 차이가 있고, 이러한 차이에 대하여 학생들은 어떤 인식을 하는지를 조사할 것이다. 또한 학교 안 공식적인 문식성 교육과의 연계를 고려하기 위하여 학교 밖 문식 활동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는지, 있다면 어떻게 학교 안 교육과 연계할 수 있을 것인지를 논의한다. 이 문제는 2년간의 조사 결과와 외국의 사례를 종합하여 주로 2차년도에 탐구하고자 한다.
    여섯째,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특징과 문제를 분석하고,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이 문제는 3년간의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는 만큼 연구를 마무리하는 시점인 3차년도에 탐구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을 3년 간 종·횡단적으로 조사하고 그 양상을 살펴서 초등학생들의 언어 발달과 국어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학교교육과의 실제적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3년 간(2012년 9월 1일~2015년 8월 31일) 다음과 같은 연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첫째, 문식성 및 학교 밖 문식 활동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으로 정의되어 온 전통적인 문식성 개념의 의의와 한계를 균형적으로 살펴보면서 사회문화적 실천으로 문식성을 재개념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점을 견지하면서 문식 활동을 ‘텍스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사건(event) 속 행위’로 보고, ‘공간’과 ‘자발성’에 주목하여 학교 밖 문식 활동을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의 밖에서 일어나거나 학교의 공식적인 문식성 교육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문식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문식성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문식 활동 양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3~6학년 약 6,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이 읽기와 쓰기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학교 밖에서 무엇을 얼마나 읽고 쓰는지, 왜 읽고 쓰는지를 조사하여 문식성에 대한 태도,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종류, 빈도, 동인(動因)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 응답자 중 전형적 사례, 특이적 사례라고 판단되는 학생들을 선정, FGI와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문식 활동의 내용과 방식 및 그러한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문식성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문식 활동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학생들에 대한 설문 조사와 함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문식성에 대한 인식, 학교 밖 문식 활동의 내용, 방식, 정도 등의 측면에서 초등학생의 문식 활동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모형을 구안하고 변인을 분석하였다. 넷째,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발달 궤적을 추적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모형을 구안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요인으로 가족 상호작용(대화), 교사 지도, 학생 문식 태도를 추출하고, 요인 간 상관관계 및 각 요인이 학교 밖 문식 활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발달 모형’을 구안한 후, 그 모형이 주는 문식성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섯째, 학교 안과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연결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학교 안과 밖의 문식 활동을 연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변화된 문식 환경 속에서 학교 안 문식 활동의 실제성을 제고하고,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실천하고 있는 문식 활동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문식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이에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과 학교 안 문식 활동을 비교하고, 학교 밖 문식 활동과 학교 교육을 연계하는 외국의 다양한 사례를 수집,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식성과 다양한 문식 활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변화,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즐거움을 학교 안으로 연계할 수 있는 ‘제3공간(The third space)’의 창출, 학교 안과 밖의 문식 활동을 연계하는 매개로 매체의 적극 활용 등의 측면에서 학교 안과 밖 문식 활동의 연계 가능성과 방안을 탐색하였다. 여섯째,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특징과 문제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가정 및 부모 차원, 학교 및 교사 차원의 지원, 지역 사회 차원의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영문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elementary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might be connected to literacy education in schools. In order to do so,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of third to fifth grade students were cross-sectionally and longitudinally examined for three years(September 1st 2012 through August 31st 2015). Firstly, the concept and the nature of literacy and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were theoretically explored. Literacy has traditionally been defined as the ability to decode and encode written texts. This study re-conceptualized literacy as socio-cultural practices. Adhering to this view, the literacy activities were seen as “actions in events arising related to the text.” Focusing on spaces and voluntariness,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were defined as “actions that occurred outside the school which was a physical space or occurred voluntarily without any direct relations with formal literacy education.” Secondly, the literacy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spect of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on about 6,000 students who were in third to sixth grades.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about their attitudes toward reading and writing, what and how much they read and write outside the school, and why they read and write. Genres, frequency, and reasons of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as well as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literacy were extensively examined. In addition, students who were determined to be included in typical and unusual cases were selected among respondents. After that, FGI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aspects of recognizing values of such activities as well a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pecific literacy activities. Thirdl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were examined based on both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data. For the cross-sectional data, differences of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s, teacher and parent variables were examined across grades. In addition, a latent growth modeling strategy was used to examine longitudinal changes in out-of-school literacy for a sample of 4th and 5th graders followed over 3 years, The predictors were divided into four parts: (a) student(gender, attitude toward literacy, time spent for media, literacy difficulty, study time), (b) family (family literacy, family conversation), (c) teacher(teacher guidance), (d) physical environment(number of library books, how often go to libr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linear decrease in out-of-school literacy. The initial status and growth rate of the out-of-school literacy were negatively related. All predictors except for literacy difficulty and study tim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itial status while attitude toward literacy, literacy difficulty, and teacher guida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rowth rat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out-of-school literacy were discussed. Fourthly, we develop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influential factors on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home, teacher and student factors on primary school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were examined. Specifically, we tes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 attitudes toward literacy between home or teacher factors and out-of-school liter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me and students’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out of school literacy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while the teacher factor had on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in terms of students’ attitudes.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literacy were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s between home or teacher factors and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Final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ome, teacher and student factors can contribute to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regardless of students’ grade or gender.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body of literature on the influence that the home and school literacy environment can have on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Fifthly, possible links between literacy activities both in and out-of-school were explored. This study aims to help students do significant literacy activities outside the schoo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and to seek useful implications to design and implement school literacy education by examining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To do this, literacy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th in and out of school were compared and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collected various cases of other countries connecting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and school education, in terms of changes in literacy perceptions, the establishment of the third space, and the use of media as wring spaces,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literacy activities both in and out of school and the measures to do it were studied. Lastly, support measures for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me up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outside-of-school literacy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xplored and the scope of supports regarding this and the methods were specifically suggested. In addition, support plans in the level of other communities beyond school and in the level of education and policy were looked fo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을 3년 간 종·횡단적으로 조사하고 그 양상을 살펴서 초등학생들의 언어 발달과 국어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학교교육과의 실제적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3년 간(2012년 9월 1일~2015년 8월 31일) 다음과 같은 연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첫째, 문식성 및 학교 밖 문식 활동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으로 정의되어 온 전통적인 문식성 개념의 의의와 한계를 균형적으로 살펴보면서 사회문화적 실천으로 문식성을 재개념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점을 견지하면서 문식 활동을 ‘텍스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사건(event) 속 행위’로 보고, ‘공간’과 ‘자발성’에 주목하여 학교 밖 문식 활동을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의 밖에서 일어나거나 학교의 공식적인 문식성 교육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문식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문식성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문식 활동 양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3~6학년 약 6,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이 읽기와 쓰기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학교 밖에서 무엇을 얼마나 읽고 쓰는지, 왜 읽고 쓰는지를 조사하여 문식성에 대한 태도,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종류, 빈도, 동인(動因)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 응답자 중 전형적 사례, 특이적 사례라고 판단되는 학생들을 선정, FGI와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문식 활동의 내용과 방식 및 그러한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문식성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문식 활동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학생들에 대한 설문 조사와 함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문식성에 대한 인식, 학교 밖 문식 활동의 내용, 방식, 정도 등의 측면에서 초등학생의 문식 활동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모형을 구안하고 변인을 분석하였다. 넷째,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발달 궤적을 추적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모형을 구안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요인으로 가족 상호작용(대화), 교사 지도, 학생 문식 태도를 추출하고, 요인 간 상관관계 및 각 요인이 학교 밖 문식 활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발달 모형’을 구안한 후, 그 모형이 주는 문식성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섯째, 학교 안과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연결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학교 안과 밖의 문식 활동을 연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변화된 문식 환경 속에서 학교 안 문식 활동의 실제성을 제고하고,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실천하고 있는 문식 활동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문식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이에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과 학교 안 문식 활동을 비교하고, 학교 밖 문식 활동과 학교 교육을 연계하는 외국의 다양한 사례를 수집,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식성과 다양한 문식 활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변화,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즐거움을 학교 안으로 연계할 수 있는 ‘제3공간(The third space)’의 창출, 학교 안과 밖의 문식 활동을 연계하는 매개로 매체의 적극 활용 등의 측면에서 학교 안과 밖 문식 활동의 연계 가능성과 방안을 탐색하였다. 여섯째,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특징과 문제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가정 및 부모 차원, 학교 및 교사 차원의 지원, 지역 사회 차원의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측면 •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대한 실증적 자료 수집: 이 연구는 총 3년에 걸친 종단 연구를 통해 수집한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실제를 드러낼 수 있는 실증적 자료는 향후 국어교육 분야의 이론적·개념적 연구와 정책적·실천적 연구의 다양한 주제들을 파생시킬 수 있는 기초로 활용이 가능하다. • 언어 발달 연구의 확대: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대한 종단 연구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는 언어 발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바, 이를 토대로 아래로는 유아 단계, 위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물론 대학생을 포함한 성인의 언어 발달까지 시기를 확장한 보다 종합적인 종단 연구의 기틀 마련에 활용할 수 있다. • 문식성 개념의 재정립: 이 연구가 드러내게 될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양상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가 처한 변화된 문식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문식 활동의 실체를 규명함으로써, 문식성 교육 연구의 바탕이 되는 문식성 개념을 재정립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 문식성 연구 분야의 다양한 연구 주제 파생 및 활성화: 문식성 학습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 주제를 파생시키고 활성화할 수 있다. •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제적 연구를 촉진: 이 연구가 발달심리학, 학습심리학, 교육사회학 등의 연구 주제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와 학제적 연구를 할 때 기초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2) 교육적 측면 • 실효성 있는 문식성 교육 정책 개발: 이 연구를 통해 파악된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양상은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증거 기반 정책 개발과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한 교육 정책 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학교 밖 문식 활동 측정 도구 개발: 학교 밖 문식 활동 측정을 위해 개발된 도구는 관련 교육 기관이나 교육 연구자의 조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학교 안팎의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개선 방안 마련: 이 연구의 결과는 국어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문식성 교육뿐 아니라, 국어 수업 이외에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독서 교육과 글쓰기 교육은 물론, 공식적인 학교 교육 이외의 방과 후 학교, 문화센터,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센터와 복지관, 대안학교 등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비형식적 문식성 교육에 있어서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개선 방안의 마련에 활용할 수 있다. • 문식성 교육 정책,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의 전문성 개발에 활용: 이 연구의 결과는 문식성 교육과 관련된 인력들의 인식 전환 및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3) 사회적 측면 • 보다 나은 문식 환경 제공을 위한 관심 환기: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문식 활동의 실체와 문식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학교 밖 요인들을 밝혀낸 바,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보다 개선된 문식 환경 제공을 위한 사회 각 분야의 역할과 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 학습자 중심적인 문식 환경 조성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사회적 관심 환기와 제도 개선의 기틀 마련: 초등학생들이 학교 밖 문식 활동에 있어 얼마나 주도성을 발휘하고, 어떤 활동에 왜 가치를 부여하는지 등에 대하여 조사한 연구 결과는 보다 학습자 중심적인 문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부모 및 교사 인식 개선과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제도 개선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언어, 독서, 매체, 대중문화 등 문식성 관련 분야 정책 개발의 근거 제공: 이 연구 결과는 국가 수준의 언어 정책, 독서 정책, 매체와 대중문화 정책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실증적인 근거와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보다 나은 문식 환경 조성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와 협조 방안 마련: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대한 조사 결과는 가정 내 부모 및 양육자들의 육아에 있어서도 유용한 정보와 판단의 준거를 제공함으로써, 가정과 학교의 원활한 연계와 협조를 통한 문식성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문식성, 문식 활동, 문식 실천, 학교 밖 문식 활동, 자발적 문식 활동, 가족 문식성, 매체 문식 활동, 읽기, 쓰기, 태도, 매체, 교사 지도, 가족 대화, 문식성 후원자들, 제3의 공간, 혼합방법, 종단 연구, 잠재 성장 모형, 구조방정식, 초등학생, 여학생, 남학생, 언어 발달, 즐거움, 연계, 초점그룹면담, 인식, 성, 지역, 학년, 변인, 도서관, 설문조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