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노인 대상 예술통합형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vement Education by Art Integration for Senior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6473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현주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재 노인복지관과 노인대학 등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기관이나 시설에는 이미 노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는 ① 취미활동을 통한 노후생활의 만족, ② 심신의 건강 유지, ③ 새로운 지식의 획득, ④ 대인 관계 능력 향상 등(고아라, 2005)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들의 종류는 상당히 다양하지만 건강, 학습, 흥미 등을 위한 수업의 궁극적인 교육목표는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노인으로서가 아닌 개인으로서 각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과 특성을 살리는 프로그램은 매우 한정적이다.
    한 인간이 가지고 있는 역량은 나이에 따라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을 노인으로서가 아닌 한 인간으로 보면서 그가 가지고 있는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예술적 작업을 이뤄가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을 실천함으로서 무엇보다 삶의 주체로서 자존감과 자기 성취감 등을 이뤄갈 수 있게 하는 교육은 그 대상이 노인이기에 더욱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 중심의 표현활동에 있어서 예술 통합적 방법을 적용하여 개개인의 특성과 체험을 살릴 수 있는 노인 대상의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② 움직임 중심의 예술통합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③ 노인 대상의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며, ④ 보다 넓은 무용시장의 개척으로 무용학문의 가치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또한 ⑤ 소외된 학문 분야의 전공자들이 사회에서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교육 문화의 장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는 거시적으로 ⑥ 21세기가 요구하는 예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예술을 통한 교육'을 실현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무용학 분야는 타 학문, 또는 타 예술 장르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중적이지 않고 교육적 측면에서도 일반화된 접근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무용교육'이라는 전문 분야의 일반화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면서 누구나 손쉽게 다가갈 수 있는 교육(활동)이라는 측면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는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교육 시장의 활로를 개척하고, 각 대상별, 특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무용교육 활성화를 통해 나아가 무용 전공자들의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내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노인 대상의 예술통합적 방법을 적용한 창의적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우선적으로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서 무용학문, 무용 교육학의 활성화와 더불어 무용예술 영역의 일반화 및 상승적 파급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교육적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는 시도는 '무용'이라는 특정 장르에 대한 인식 변화와 무용교육의 가치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나아가 교육현장에서 무용 전공자들의 일자리 창출 확대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다.
    무용교육학에 있어서 세부 전공 대상층을 넓히고 이를 위한 커리큘럼 개발 등 발전적 방안에 따른 후속 연구를 유도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이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폭넓은 예술교육 대상에 대한 예술교육 활성화와 더불어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예술통합형 움직임 교육은 교육 대상자인 노인에게 다양한 예술체험을 통해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② 활발한 움직임 활동 등을 통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③ 다양한 예술체험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긍정적인 사고관은 ④ 노인들에게 삶의 의욕을 고취시키고, ⑤ 나아가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사회 구성원으로서 각 개인의 역할이 강조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활동은 ⑥ 세대간의 소통을 이끌어내면서 노인 연령층의 증가로 빚어질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인 문제 해결방안은 물론 사회 속에서의 예술 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계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를 제공하는 연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연구요약
  • 과학과 의학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초고령 사회를 눈앞에 둔 현 시점에 최근 들어 평생교육을 포함하여 노인교육의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평균수명이 길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노인으로서 살아가야 할 시간이 함께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시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에 대한 문제는 이제 사회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조기 퇴직의 시점이 빨라지면서 이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는 더욱 더 크게 빚어질 수밖에 없다.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존재감 상실과 더불어 이로 인해 파급되는 다양한 개인적인 문제는 나아가 사회적인 문제로 확산될 수밖에 없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 상실과 사회와의 단절과 고립, 노년기의 소극적인 삶 등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서 예술 체험활동을 통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그리고 노인이 필요로 하는 교육으로서 예술 활동 참여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교육의 진정한 역할과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기표현'과 '소통'의 방법을 이끌어내는 수단으로서 예술 통합적 방법을 적용하여 개개인의 특성과 체험을 살릴 수 있는 노인 대상의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현장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연구는 만 60세 이상 약 15명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 1회, 3개월간 12차시 이상의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 과정 분석과 교육 대상자들의 심층면담 등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제 우리는 '노인'과 '노년기', '노후 설계', 그리고 '노인교육'과 관련하여 크게는 사회 저변의 인식 변화와 더불어 작게는 개인 스스로에게 노년기에 필요한 삶의 방향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고민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노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노년기의 바람직한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위한 방법으로 예술 체험활동을 접목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무용교육, 움직임교육, 노인무용교육, 예술통합교육
  • 영문키워드
  • Dance Education, Movement Education, Dance Education for Senior, Education by Art Integr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전문적인 기능교육 중심의 무용교육이 아닌 현재의 사회 속에 형성된 문화예술교육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움직임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함이 일차적인 과제이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통합형 무용교육의 접근방법을 고민하고, 창의적인 움직임 표현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육 안을 구성하여 현장적용 후 사례분석을 통해 창의적 움직임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움직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② 움직임 중심의 예술통합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③ 노인 대상의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며, ④ 보다 넓은 무용시장의 개척으로 무용학문의 가치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⑤ 이를 통해 소외된 예술학 분야의 전공자들이 사회에서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예술교육문화의 장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관찰대상인 학습자는 만 60세 이상 노인 약 20명으로 수업은 서울시 G구에 소재한 N노인종합복지관에서 2013년 2월 22일 1차시를 시작으로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12시, 2시간동안 총 7차시를 진행하였고, 예술통합적 방법을 적용한 창의적 움직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수업은 연구자 1인 외 보조 강사 1인 등 총 2인이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총 7차시의 수업을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전통적인 교육 방법으로 교사의 주도 하에 진행되는 '따라 하기' 식의 수업에 익숙한 노인들에게 창의적인 방법으로 시도된 본 수업은 대부분 무리 없이 진행되었고, 이러한 교수-학습방법은 학습자 스스로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만들어 냈다'는 성취감 등을 심어주는 데 큰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하나의 주제를 표현함에 있어서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내도록 단계별로 과정이 제시되고,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진행된 각각의 단계는 창의적인 동작을 만들어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창의적인 수업진행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셋째, 표현활동이 주가 되는 예술교육에 있어서 학습자의 잠재적 능력이나 역량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데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 있어서 신체적, 인지적 특성에 따라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노인이어서 학습의 속도가 늦거나 또는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는 선입견이 수업운영에 있어서 우선적인 제한 요소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연령층의 구분에 따라 '하고자 하는 기회'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예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넷째, 이와 더불어 소통을 중요시하는 예술교육에 있어서 학습 대상자가 다른 세대(연령층)의 기호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습의 대상자가 노인일지라도 젊은 세대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그들의 특정 기호나 문화를 경험해보는 것도 학습자의 사고나 생각을 변화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젊은 세대가 즐기는 문화를 체험해본다는 사실만으로도 대중문화의 소외계층에서 벗어난 것 같은 생각이 들게 되며, 이는 노인에게 있어서 무엇보다 큰 의미가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일깨워주는 것 또한 예술교육이 갖는 중요한 가치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노인'과 '노년기', '노후 설계', 그리고 '노인교육'과 관련하여 크게는 사회 저변의 인식 변화와 더불어 작게는 개인 스스로에게 노년기에 필요한 삶의 방향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고민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노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노년기의 바람직한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위한 방법으로 예술 체험활동을 접목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활동은 노인을 위한 사회적인 문제 해결방안은 물론 사회 속에서의 예술 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계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를 제공하는 연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영문
  • In this study, the various approaches to dance education by art integration were analyzed to assess the potential of creative movement education for older adults. A specific education program was devised and implemented to draw out creative movement expressive activities, and as a result, the potential of such creative movement education was considered through a case analysis.
    The creative movement education program that was conducted applied an art integration method: seven classes were held, each of which lasted two hours, from 10:00 a.m. to 12:00 p.m. every Friday at the N-Senior Center, in G-Gu, Seoul. The first class was held on February 22, 2013, and consisted of 20 participants who were aged 60 or older. The lessons were managed by two instructors, one main instructor and one assistant. Through observing these seven clas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learned that various ideas through especially each phase of the process were really a big help participants in producing creative movements and the importance of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reative-class management was realized.
    Second, in art education, it is essential that the participants are provided with sufficient time to be able to benefit from the program and that it is held in an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Artificially limiting ‘the opportunity to demonstrate’ according to age-group divisions is not desirable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in art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limiting the time devoted to demonstrations is not desirable and contributes towards less effective learning.
    Third, in terms of communication, it was discovered that providing participants with the opportunity of understanding the preferences of participants from other age groups was very important. In addition, it is vital that they are instilled with confidence and a belief in their own ability during this process.
    This study considered in great detail the number of options available to older adults who are distressed psychologically, and proposed ways of encouraging them to active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society through an education program, which incorporates hands-on artistic activities.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it not only presents ways of solving the social problems amongst the elderly but also can serve as an area of study that highlights the tremendous potential of art education and the role that it can play in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움직임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예술통합형 무용교육의 접근방법을 고민하고, 창의적인 움직임 표현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육 안을 구성하여 현장적용 후 사례분석을 통해 창의적 움직임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습자는 만 60세 이상 노인 약 20명으로 수업은 서울시 G구에 소재한 N노인종합복지관에서 2013년 2월 22일 1차시를 시작으로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12시, 2시간동안 총 7차시를 진행하였고, 예술통합적 방법을 적용한 창의적 움직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수업은 연구자 1인 외 보조 강사 1인 등 총 2인이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총 7차시의 수업을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양한 생각과 단계별로 과정 등은 창의적인 동작을 만들어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창의적인 수업진행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둘째, 예술교육에 있어서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연령층의 구분에 따라 '하고자 하는 기회'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예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와 더불어 소통을 중요시하는 예술교육에 있어서 학습 대상자가 다른 세대(연령층)의 기호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일깨워주는 것 또한 예술교육이 갖는 중요한 가치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노년기의 바람직한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위한 방법으로 예술 체험활동을 접목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한 것으로, 이러한 활동은 노인을 위한 사회적인 문제 해결방안은 물론 사회 속에서의 예술 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계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를 제공하는 연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은 2020년에 이르면 남자 78.2세, 여자 84.4세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평균수명의 증가는 국민의 생애 주기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한다는 뜻이 된다. 특히 의학의 발달로 건강하게 보낼 수 있는 노년기가 길어진다는 것이고 인구의 다수층이 될 노년층의 삶의 질이 사회 전체의 삶의 질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이소정 외, 2011:11).
    노인 인구 증가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적 제도 하에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문제와 더불어 '노인'과 '노인의 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 변화를 비롯하여 사회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OECD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 근로자의 평균 은퇴연령이 68세라고 한다(윤태경 외 2011). 평균수명을 고려하였을 때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은퇴한 후, 웰 다잉(well dying)을 고민하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있음에도 우리는 그 사이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하는지에 대한 준비나 고민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특히 조기 퇴직의 시점이 빨라지면서 이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는 더욱 더 크게 빚어질 수밖에 없다. 즉,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존재감 상실과 더불어 이로 인해 파급되는 다양한 개인적인 문제는 나아가 사회적인 문제로 확산될 수밖에 없는데,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인 부분으로 야기되는 문제점들은 제외하고 이외에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 상실과 사회와의 단절과 고립, 노년기의 소극적인 삶 등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서의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제 우리는 '노인'과 '노년기', '노후 설계', 그리고 '노인교육'과 관련하여 크게는 사회 저변의 인식 변화와 더불어 작게는 개인 스스로에게 노년기에 필요한 삶의 방향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고민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노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노년기의 바람직한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위한 방법으로 예술 체험활동을 접목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활동은 노인을 위한 사회적인 문제 해결방안은 물론 사회 속에서의 예술 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계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를 제공하는 연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무용학 분야는 타 학문, 또는 타 예술 장르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중적이지 않고 교육적 측면에서도 일반화된 접근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무용교육'이라는 전문 분야의 일반화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면서 누구나 손쉽게 다가갈 수 있는 교육(활동)이라는 측면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는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교육 시장의 활로를 개척하고, 각 대상별, 특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무용교육 활성화를 통해 나아가 무용 전공자들의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즉, 소외된 학문 분야의 전공자들이 사회에서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교육 문화의 장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 운영되는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현황분석(한정란 외, 2008)에 의하면 노인복지관은 전국에 약 211개소가 설치되어 있고, 노인대학, 노인 학교와 같은 일반 노인교육 기관이 약 1,082개가 지자체에 등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민간으로 운영하는 노인대학과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을 합하면 그 수는 더욱 늘어난다. 이는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교육적 여건과 환경이 그다지 나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화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노인 대상의 구체적인 무용교육의 모형이 제시된다면 무용교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크게는 무용학의 학문적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술 교육의 확산을 통해 세대 계층 간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세대 격차를 줄이고, 세대 간의 소통을 통한 사회문제 해소와 더불어 노인들의 사회 참여 확산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문화 시민으로서 역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심리적으로 위축된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삶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은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로 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색인어
  • 노인무용교육, 움직임 교육, 창의적 움직임교육, 예술통합교육, 문화예술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