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도봉구(2011)의 사회지표조사에서는 주거·생활, 교육, 경제, 여성·가족, 복지, 보건·위생, 문화·레저, 행정서비스 등 10개 분야 57문항 79항목을 조사하고 있다. 조사는 표본 추출된 지역 내 1,7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조사하며, 구민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2011)의 사회지표조사에서는 주거·생활, 교육, 경제, 여성·가족, 복지, 보건·위생, 문화·레저, 행정서비스 등 10개 분야 57문항 79항목을 조사하고 있다. 조사는 표본 추출된 지역 내 1,7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조사하며, 구민의 삶의 질과 복지정도, 주관적 의식에 대한 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지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부산광역시(2012)는 가구·가족, 교육, 주거·교통, 문화·여가, 환경, 정보·통신의 6개 부문에 대하여 부산내 17,784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5세 이상 가구원 38,661명을 대상으로 사회지표 조사를 실시하였다. 울산광역시(2011)는 인구·주택 등 7개 부문, 60개 항목에 대하여 구·군별 인구 비중에 따라 무작위 표본 추출한 191개 조사구 3,820 가구에 대해 조사원이 해당가구를 직접방문하여 사회적 관심에 대한 시민의식과 생활실태 등을 파악하고 지표화하여 각종 사회개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회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상남도(2011)는 소득∙소비, 고용∙노사, 교육, 보건∙체육, 주택, 환경∙교통, 사회, 정보화, 문화․여가, 그리고 안전부문 등 9개 분야에 대하여 조사대상 모집단을 경남 18개 시․군에 거주하는 17세 이상의 모든 도민과 가구로 하였다. 도내 총 가구 수에 대한 표본 수는 시간과 경비를 고려하여 총 가구수의 10%정도로 결정하여 사회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사회지표조사는 주민들이 생각하는 사회 상태를 총체적이고도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변화하는 역사적 흐름 속에서 우리가 처해 있는 사회적 상태를 종합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사회변화를 포착할 수 있는 척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지표조사는 주민들의 생활 수준, 사회의 종합적 상태, 사회변화의 예측, 사회개발정책의 성과 등을 측정하는 데 이용되고 있는 중요한 조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각 지차체에서는 많은 예산과 시간을 들여 사회지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 도봉구(2011), 부산광역시(2012), 울산광역시(2011), 경상남도(2011) 등의 사회지표조사 결과 보고서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분석 결과가 기술통계분석 또는 빈도분석의 기초통계분석 위주로 되어 있다.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조사한 자료에 대하여 실태 파악 수준의 통계 분석만을 적용하므로 실제 사회지표 조사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회지표조사 보고서의 통계 분석을 살펴보면 비율에 대한 응답 문항에는 평균 분석, 범주에 대한 응답 문항에는 범주의 빈도 분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회지표조사의 원래 목적인 주민들의 전반적 생활수준 및 의식, 사회의 종합적 상태, 정책 결정 등의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자료의 분석 수준이 너무 낮은 실정이다.
또한 사회지표조사의 국내연구를 살펴보면 이계민 등(2009)은 사회지표조사에 대한 분석 및 제안점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는데 그 주안점이 사회지표조사의 설문지 설계 및 표본 설계에 대한 내용이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 물론 사회지표조사에 필요한 설문지의 내용이나, 표본의 조사 방법 또한 매우 중요하나,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사회지표조사의 원 목적인 주민들의 생활 수준, 사회의 종합적 상태, 사회변화의 예측, 사회개발정책의 성과 등을 알아볼 수 있는 분석 자료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에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사회의 생활수준 및 의식을 보다 자세하게 파악하고 보다 세분화된 지역여론을 반영한 시책을 수립하며, 한정된 투자재원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해서는 사회지표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을 보다 심층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의 사회 의식을 더욱더 총체적이고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사회지표조사를 분석하고자 하며,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하여 사회지표조사를 분석한 연구는 국, 내외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