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 서사의 담화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Properties of Korean Narrativ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8149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수진 [ NRF 인문사회 연구책임 2회 수행 / 학술논문 12편 게재 / 총 피인용 79회 ]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어 서사의 담화적 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한국인 담화 공동체가 합의한 담화의 양식적 문법적 특성을 밝히고, 한국어 학습자가 구성한 서사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한국어 교육 차원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담화 중심적 교육 연구의 토대가 되며, 문장 차원의 문법적 관점에서 확장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이 될 수 있다. 한국어 화자의 문어, 구어 담화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서사의 담화 특성을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육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어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국어학, 국어교육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문어 서사 담화, 구어 서사 담화에서 나타난 특성을 담화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분석 방법은 Synthesiwed Korean Data Processor 1.6의 언어빈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 빈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양적, 질적 연구의 절충된 방법과 귀납적 연구 방법을 취한다.
  • 한글키워드
  • 한국어 서사 담화
  • 영문키워드
  • Korean Narrative Discours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산출한 한국어 서사 담화에서 담화 유형과 담화 구조에 따라 서사 담화의 특징적 요소가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것이다. 담화 유형을 비개인적 서사와 개인화 서사, 개인적 서사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담화 층위에서 담화 정보 구조, 즉 전경정보와 배경정보, 그리고 신정보와 구정보가 시제와 조사와 같은 주요 문법 요소가 어떻게 결부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세 가지 담화 유형에 따라, 그리고 담화 정보 구조에 따라 시제와 조사의 선택이 확연하게 달라지는 반면에 한국어 학습자는 어느 정보의 차이는 나타났으나 한국어 화자만큼 확연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처럼 서사 담화의 유형에 따라 담화 정보를 구분하여 기술하지 않고, 담화 유형과 담화 정보에 따라 시제와 조사를 다르게 선택하지 않는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발달의 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며,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기존에 있어온 문장 층위의 시제와 조사 교육에서 보다 확장된 담화 층위에서 이를 교육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한국어 모어 화자가 담화 유형과 담화 정보 구조에 따라 시제와 조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처럼 한국어 학습자 또한 이러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시제와 조사 교육 내용을 담화 유형과 담화 구조와 연관하여 제공해야 한다.
  • 영문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Korean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as well as native Korean speakers. The narrative discourses used in this study are divided into personal, impersonal and personalized narratives. I looked into how native Korean speakers and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use past tense, non-past tense and subject markers, topic markers based on information structures and narrative dicourse struct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shown that native Korean speakers use different tenses and markers in the narrative discours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courses and informations. However, Korean learners tended not to alternate tenses and markers significantly as native Korean speakers. This clearly shows the interlanguage discourse pattern of the Korean learners. In other words, the Korean learners could not alternate tenses and markers markedly according to the type of discourses and informations. And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learners need to have sffetive learning tools and educational contents about tenses and markers related with the type of discourse and information structur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산출한 한국어 서사 담화에서 담화 유형과 담화 구조에 따라 서사 담화의 특징적 요소가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것이다. 담화 유형을 비개인적 서사와 개인화 서사, 개인적 서사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담화 층위에서 담화 정보 구조, 즉 전경정보와 배경정보, 그리고 신정보와 구정보가 시제와 조사와 같은 주요 문법 요소가 어떻게 결부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세 가지 담화 유형에 따라, 그리고 담화 정보 구조에 따라 시제와 조사의 선택이 확연하게 달라지는 반면에 한국어 학습자는 어느 정보의 차이는 나타났으나 한국어 화자만큼 확연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발달의 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시제와 조사를 담화 차원에서 교육해야 할 필요성과 문법적, 담화적, 화용적 능력을 고루 향상시킬 수 있는 시제와 조사의 담화문법적 교육 내용의 기초를 제공하며, 담화 활용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어 학습자는 모든 담화 유형에서 전경정보의 비과거형 사용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모어 화자가 담화 유형과 정보 구조에 따라 시제 사용 양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에 반해 한국어 학습자는 모어 화자처럼 담화 유형과 정보 구조에 따라 과거형과 비과거형의 시제를 확연히 구분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알게 해준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는 담화 유형에 관계없이 ‘구정보+{-는}’의 양상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구정보+{-가}’가 많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세 담화 유형 모두 구정보 위주로 기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모어 화자는 담화 유형에 따라 비개인적 서사와 개인적 서사는 구정보 위주로, 개인화 서사는 신정보 위주로 기술하고, 담화 정보에 따라 ‘구정보+{-는}’, ‘신정보+{-가}’의 양상이 분명히 나타나며, 구정보와 {-가}의 결합은 가장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처럼 서사 담화의 유형에 따라 담화 정보를 구분하여 기술하고, 담화 유형과 담화 정보에 따라 시제와 조사를 다르게 선택하지 않는다. 이는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기존에 있어온 문장 층위의 시제와 조사 교육에서 보다 확장된 담화 층위에서 이를 교육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한국어 모어 화자가 담화 유형과 담화 정보 구조에 따라 시제와 조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처럼 한국어 학습자 또한 이러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시제와 조사 교육 내용을 담화 유형과 담화 구조와 연관하여 제공해야 한다.
    이 연구는 담화 맥락과 결부되어 나타나는 시제와 조사의 문법 요소에 주목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차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담화 중심적 교육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으며, 문장 차원의 문법적 관점에서 확장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서사 담화의 특징들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서사의 담화적 특성을 시제와 조사의 문법 요소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인 공동체 담화에 대한 교육 내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 유형에 따른 서사 담화 구조와 담화문법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한국어 학습자가 어떻게 서사 담화를 구성하며, 이것을 인지 체계 내에 형성된 보편적인 서사 체계로 이해할 수 있는가에 대해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서사 담화에 나타난 문법적 양상을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함으로써 서사 담화의 중간언어적 담화문법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담화가설에 대한 검증 연구가 한국어 교육의 일부 논의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담화 유형을 고려한 세부적인 논의가 아니라는 점, 담화 구조의 분석 방법이 일관되지 않으며, 연구 대상자의 언어권과 그 수가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다국적 언어권의 한국어 학습자의 자료를 통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양적 수치 결과를 토대로 해석의 객관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연구의 기초적 논의로서 교수법과 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한국어 담화 양식에 대한 교육과 서사 담화를 활용한 문법 교육의 교수법과 교재 제작의 한 방안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언어 간, 문화 간 담화 장르에 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교수하고, 문법적 교수를 의사소통적 언어 학습에 통합시키고, 담화를 활용한 문법 구조의 구체적 교수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한국어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국어 교육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어 중등 교육 현장에서 문법, 문학 등의 교과 수업 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한국어의 고유한 서사 담화적 특성과 언어 보편적인 서사 담화적 특성을 교수ㆍ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국어학과 국어 교육, 국문학 분야에서 언어학과 문학의 접목된 새로운 연구 방법과 관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외국어 교육론에서도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후속 연구로서 비서사 담화 등에 대한 연구와 담화 구조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다른 문법적 요소에 대한 연구들이 보완된다면 더욱 의미 있는 논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색인어
  • 서사 담화, 담화 구조, 개인적 서사, 비개인적 서사, 개인화 서사, 정보 구조, 전경정보, 배경정보, 신정보, 구정보, 시제, 조사
  • 연구성과물 목록
1. 논문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 조사, 시제 선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한국언어문화학 pp.125~153 한국어교육학
출처연구과제 : 한국어 서사의 담화적 특성 연구
2. 보고서
연구결과물
(결과보고)한국어 서사의 담화적 특성 연구
박수진 | 2014-02-18 | 한국어교육학
출처연구과제 : 한국어 서사의 담화적 특성 연구
PDF(1)
데이터 이용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