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언어표현 양상과 화용적 의미 연구
The Study on the Language Expression Aspect of City brand Slogan and its Pragmatic Meaning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7834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연임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조사․분석하고 여기에 나타난 언어사용상의 특성, 특히 구체적 발화맥락을 바탕으로 한 화용적 의미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지금의 도시는 단순한 주거공간을 넘어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복합적 융합물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각 도시에서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설정하고, 이를 홍보 도구로 적극 활용하여 도시의 위상을 정립하려고 노력한다. 이제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도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불가결한 요소로 언중에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언어사용 양상을 국어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화맥락에 의한 화용적 의미 특성을 도출하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국어사용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도 올바로 정립할 수 있으리라 본다.
    우리는 도시 안에서 생활하면서 많은 것을 공유하고, 느끼고, 함께 채워가면서 살아간다. 이렇듯 ‘도시’의 의미범주가 광범위해지고 정신문화적 공간으로까지 확대되면서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도 많이 달라졌다. 도시는 이제 더 이상 차갑고 메마르며 지친 삶을 담아낸 무채색의 공간이 아니다. 삶의 그림을 그리고, 함께 살아가며 웃음을 나누는 따뜻한 공간으로 이미지가 변하고 있다. 그러한 이미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각 도시에서는 다양한 ‘도시브랜드’를 창안해서 활용하고 있다.
    ‘도시브랜드’는 도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호라 할 수 있다. 각 도시는 다른 도시와의 차별을 위해서, 그리고 개성을 효과적으로 담아내기 위해서 ‘브랜드’와 ‘슬로건’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도시브랜드는 각 도시의 특징을 드러내는 데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리나라의 수도 서울을 나타내는 브랜드 슬로건인 ‘Hi Seoul’은 서울에 대한 이미지를 새로우면서도 고급스럽게 드러내고 있다. 이것이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의도하는 핵심이기도 하다. 이는 간단한 표현이지만, 함축적으로 해당 도시의 특성 및 개성을 피력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언어적 사용 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크게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언어적 표현은 슬로건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언어라 하겠고, 비언어적 표현은 언어적 표현을 가시적인 디자인과 색채, 로고 등으로 시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둘이 자유롭게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로 브랜드 슬로건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표현에 주안점을 두고, 이를 국어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즉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양상을 검토한 다음, 발화맥락 속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화용적 의미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수용․이해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사실 도시브랜드 슬로건 대부분이 외국어인데, 이를 고유어로 만들 수는 없는지, 그리고 외국어로 표현한 기저 의도가 무엇인지, 외국어로 표현했을 때와 고유어로 표현했을 때의 발화의미는 어떻게 다른지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그리고 언중은 외국어로 만들어진 브랜드 슬로건에 대해 어떻게, 어느 정도, 어떤 의미로 수용하는지 고찰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특징을 국어학적으로 짚어냄은 물론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거시적으로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국어사용의 단면을 조망하는 것임은 물론이거니와 올바른 국어사용을 유도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기도 하다. 궁극적으로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갖춰야 할 조건 및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바람직한 방향 설정을 국어학적인 관점에서 정립하는 것이라 하겠다.
  • 기대효과
  • 첫째,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화용적 의미 특징을 살핌으로써 도시브랜드의 자산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시브랜드는 해당 도시를 상징하는 핵심인데, 그러한 상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게 되면 곧 도시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런데 그러한 자산 가치를 높이는 방안 중의 하나가 브랜드 슬로건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대한 화용적 고찰은 바람직하고 유용한 슬로건을 제정하는 데도 일조하고, 궁극적으로는 도시의 자산 가치를 제고하는 데도 도움이 되리라 본다.
    둘째,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대상으로 외국어 사용 양상을 살피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언어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테면 국어학적 관점에서 언중에게 올바른 언어사용을 호소하는 방편으로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활용할 수 있다. 다수의 언중이 각종 광고, 도시 생산품, 축제 등의 행사에서 자연스럽게 접하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통해 올바른 언어사용 문제를 생각하게 하여 국어사용의 관점에서도 유용할 수 있다.
    셋째, 올바른 언어사용은 언중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는 그 화자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반영한다. 그럼 점에서 올바른 언어사용을 바탕으로 한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도시에 거주하는 도시민에게 올바른 정체성을 심어줄 수 있다. 나아가 도시 자체의 정체성도 확립되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리라 본다.
    넷째, 올바른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언중의 의식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그 도시를 대표하는 메시지를 고도의 상징을 통해서 담아내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의미수용이 화용적 발화맥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면,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수용자가 훨씬 더 수월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화용적 관점에서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살피면 수용자에게 메시지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강조하고자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다섯째,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바람직한 사용을 통해 미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 브랜드 슬로건과 함께 제시되는 로고 및 디자인, 색채는 의사전달의 관점에서 비언어적 표현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이 언어적 표현수단과 조화롭게 수용되면, 브랜드 슬로건을 제공받는 수용자에게 메시지 전달의 효과와 함께 도시브랜드의 미적 가치를 함께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것을 파악하거나 새롭게 제정할 때는 본 연구에서 의도한 화용적 접근과 해석이 뒤따라야 가능할 수 있겠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대한 논의가 주로 광고나 이미지 마케팅과 같은 분야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이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겠다. 그래야만 실제 살아있는 언어자료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언어사용의 방향까지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단순히 한 도시를 표현하는 언어표현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그 도시를 총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편으로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용자는 이를 바탕으로 그 도시에 대한 이미지, 정체성, 의미, 수용 정도 등을 결정하기도 한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단순히 도시를 단편적으로 소개하는 문구가 아니라 그 도시를 표현하는 고도의 상징체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적 표현에 대한 언어적 인식이 선행된다면,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전달 및 수용도 훨씬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언어사용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브랜드 슬로건이 전달하고자 하는 발화의미를 화용적 관점에서 살피면 브랜드 슬로건의 발화의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바람직한 언어사용의 방안으로 제시된다면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조사․분석하고 여기에 나타난 언어사용상의 특성, 특히 구체적 발화맥락을 바탕으로 한 화용적 의미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지금의 도시는 단순한 주거공간을 넘어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복합적 융합물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각 도시에서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설정하고, 이를 홍보 도구로 적극 활용하여 도시의 위상을 정립하려고 노력한다. 이제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도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불가결한 요소로 언중에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언어사용 양상을 국어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화맥락에 의한 화용적 의미 특성을 도출하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국어사용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도 올바로 정립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언어적 사용 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크게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언어적 표현은 슬로건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언어라 하겠고, 비언어적 표현은 언어적 표현을 가시적인 디자인과 색채, 로고 등으로 시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둘이 조화롭게 구비되어 하나의 도시브랜드를 형성하게 된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표현에 주안점을 두고, 이를 국어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즉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양상을 검토한 다음, 발화맥락 속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화용적 의미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수용․이해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사실 도시브랜드 슬로건 대부분이 외국어인데, 이를 고유어로 만들 수는 없는지, 그리고 외국어로 표현한 기저 의도가 무엇인지, 외국어로 표현했을 때와 고유어로 표현했을 때의 발화의미는 어떻게 다른지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그리고 언중은 외국어로 만들어진 브랜드 슬로건에 대해 어떻게, 어느 정도, 어떤 의미로 수용하는지 고찰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특징을 국어학적으로 짚어냄은 물론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 방법으로 수집한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대해 화용적 관점에서 일반언중에게 설문하고, 이 통계결과를 바탕으로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화용적 특징을 논의하고자 한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위한 설문조사는 2회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화용적 맥락의 수용 및 의미전달을 위해서 나이․성별․학력 등의 사회언어학적 요인에 따라 대상을 분류하고 설문을 실시하고자 한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대한 언중의 수용양상 및 수렴 여부, 발화맥락을 고려한 의미수용의 범주 및 만족도 등을 설문을 통해 통계화하고 그 결과를 분석․정리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화용적 의미양상 및 특징 등을 보다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리라 본다.
    각 도시의 특성을 함축한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해당 도시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를 담고 있어야 한다. 짧고 간단하면서도 도시가 지향하는 다양한 의미를 담아야 한다. 문제는 그러한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대부분 외국어로 표현된다는 점이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에서 외국어를 사용하는 동인을 국어학 특히 화용적인 측면에서 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그래서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고유어를 활용한 도시브랜드의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러한 작업은 도시브랜드 슬로건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초석이기도 하지만, 올바른 국어사용을 위해, 그리고 국어의 다양한 표현을 위해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이는 고유어와 외국어의 우열을 가리는 것이 아니라, 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해야 할 당위성을 부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도시브랜드, 슬로건, 문맥의미, 발화의미, 화용적, 발화맥락, 의사소통, 국어사용, 외국어, 고유어, 함축, 발화의도, 맥락의존성, 용인가능성, 언어 정체성
  • 영문키워드
  • City brand, Slogan, context meaning, utterance meaning, pragmatic, utterance context, communication, korean usage, foreign language, native tongue, implication, utterance intention, context dependence, acceptability, language ident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개황을 살피고, 여기에 나타나는 언어표현 양상을 화용적 맥락을 바탕으로 고찰한 것이다. 곧 발화맥락과 발화자의 의도를 바탕으로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나는 주제의미에 대한 고찰과 이의 언어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의 시, 도에 분포한 슬로건을 수집․조사하였다. 그 결과 문장구조가 유형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표현 양상이 영어표기와 국어표기, 그리고 국어와 영어의 혼용표기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영어표기는 ‘형용사+명사’, ‘명사+전치사구’의 수식구조와 ‘명사+명사’의 병렬구조, ‘감탄사+명사’ 등의 문장구조로 나눌 수 있다. 수식구조는 ‘~도시, ~땅’의 형태로 제시된 ‘명사+명사’형이 대부분인데, 이들은 발화의미를 쉽고 빠르게 전달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병렬구조는 선행어에 후행 도시의 이미지를 강하게 피력하려는 발화의도가 있다. 그리고 문장구조는 다소 길지만 의도한 의미가 명확하면서도 구체적으로 전달되는 강점이 있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화용적 기능을 크게 기본의미 전달, 확장의미 전달, 신조의미 전달로 유형화할 수 있다. 곧 슬로건 자체의 기본의미에 충실한 전달 기능은 물론, 슬로건에 사용된 어휘의 변형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도 있다. 그리고 신조의미 전달은 지자체의 의도를 반영하여 새로이 만든 어휘로서 대부분 두자어 구성을 취하고 있다. 결국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도시를 대표하면서, 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언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 영문
  • This thesis studied about the language expression aspect of city brand slogan and its Pragmatic Meaning. First, an overall condition of city brand slogan, and considered language expression aspect of that was examined . On the basis of this, its pragmatic meaning is divided into fundamental meaning, expanded meaning, and new meaning. Its function is also studied .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consider the present condition of city brand slogan, our nation’s city slogan was collected and investigated. So there are ninety-one slogans collected and they are examined about its trend mak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e sentence structure is typed as well as language expression is made by English, Korean and English plus Korean etc. Despite this, sometimes silmilar words are used. That is to say, main words are love, hope, life and beautiful etc. And these words have quite cognate meaning.
    Second, the aspect of language expression of city brand slogan was examined. The aspect of language expression is divided into English writing, Korean writing and mixed writing of English plus Korean. The English writing is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modification structure which are adjective plus noun and noun plus prepositional phrase. The second is the parallel structure which is noun plus noun. The last is the sentence structure which is exclamation plus noun. The parallel structure has a strong utterance intention to express the image of city noun. But the modification structure has an advantage to convey utterance meaning easily and fast. And the sentence structure has an advantage to convey intended meaning clearly and specifically.
    Third, pragmatic meaning function of city brand slogan was examined. They perform a function of conveying meaning which is actually basic meaning. The basic meaning conveys slogan’s message based on utterance meaning, and the extension meaning conveys message to make use of background information such as utterance context or local government’s policy. Meanwhile the new meaning is made by blending an initial letters, so it could be inferred as conveying meaning without depending on other information. That is, the listener has no helping information to understand speaker’s utterance meaning, so he could not accept the speaker’s meaning.
    In this thesis, slogan’s analysis is limited to its linguistic expression, because this study emphasize on communication from Korean linguistics. However, communication is not composed of linguistic elements only, so city slogan’s visual elements such as logo or graphic should be studied togeth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개황을 살피고, 여기에 나타나는 언어표현 양상을 화용적 맥락을 바탕으로 고찰한 것이다. 곧 발화맥락과 발화자의 의도를 바탕으로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나는 주제의미에 대한 고찰과 이의 언어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의 시, 도에 분포한 슬로건을 수집․조사하였다. 그 결과 문장구조가 유형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표현 양상이 영어표기와 국어표기, 그리고 국어와 영어의 혼용표기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영어표기는 ‘형용사+명사’, ‘명사+전치사구’의 수식구조와 ‘명사+명사’의 병렬구조, ‘감탄사+명사’ 등의 문장구조로 나눌 수 있다. 수식구조는 ‘~도시, ~땅’의 형태로 제시된 ‘명사+명사’형이 대부분인데, 이들은 발화의미를 쉽고 빠르게 전달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병렬구조는 선행어에 후행 도시의 이미지를 강하게 피력하려는 발화의도가 있다. 그리고 문장구조는 다소 길지만 의도한 의미가 명확하면서도 구체적으로 전달되는 강점이 있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화용적 기능을 크게 기본의미 전달, 확장의미 전달, 신조의미 전달로 유형화할 수 있다. 곧 슬로건 자체의 기본의미에 충실한 전달 기능은 물론, 슬로건에 사용된 어휘의 변형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도 있다. 그리고 신조의미 전달은 지자체의 의도를 반영하여 새로이 만든 어휘로서 대부분 두자어 구성을 취하고 있다. 결국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도시를 대표하면서, 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언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화용적 의미 특징을 살핌으로써 도시브랜드의 자산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시브랜드는 해당 도시를 상징하는 핵심인데, 그러한 상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게 되면 곧 도시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둘째,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대상으로 외국어 사용 양상을 살피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언어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테면 국어학적 관점에서 언중에게 올바른 언어사용을 호소하는 방편으로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올바른 언어사용은 언중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는 그 화자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반영한다. 그럼 점에서 올바른 언어사용을 바탕으로 한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도시에 거주하는 도시민에게 올바른 정체성을 심어줄 수 있다.
    넷째, 올바른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언중의 의식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그 도시를 대표하는 메시지를 고도의 상징을 통해서 담아내고 있다. 따라서 화용적 관점에서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살피면 수용자에게 메시지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강조하고자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다섯째,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바람직한 사용을 통해 미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 브랜드 슬로건과 함께 제시되는 로고 및 디자인, 색채는 의사전달의 관점에서 비언어적 표현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이 언어적 표현수단과 조화롭게 수용되면, 브랜드 슬로건을 제공받는 수용자에게 메시지 전달의 효과와 함께 도시브랜드의 미적 가치를 함께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도시브랜드 슬로건, 발화맥락, 발화의도, 혼용표기, 수식구조, 병렬구조, 문장구조, 화용적 의미, 기본의미, 확장의미, 신조의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