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담화표지 Tu vois의 기능
Function of Tu vois as discourse maker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5951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희경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담화표지 Tu vois의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현대 프랑스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Tu vois의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을 시도하는 이 연구의 성과가 프랑스어를 시작하는 학습자의 이해와 학습에 도움을 주고 아울러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프랑스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담화표지들에 대한 더 커다란 관심과 연구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의 기본적인 목표는 담화표지 Tu vois의 기능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Tu vois의 의미를 단순히 다양한 용법에 따라 분류하여 기술하기보다는 Tu vois가 담화상황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기능을 기술하면서 Tu vois가 지닌 고유한 의미·화용적 기능을 조명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에 주목한다. 우선 Tu vois에서 볼 수 있듯이, 지각동사 voir가 직설법 2인칭 동사변화형태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현재라는 하나의 시간(시제) 즉 말 행위가 이루어지는 발화순간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Il pleut.
    (2) Tu vois, il pleut.

    ‘정보 차원’에서 보았을 때, 예문(1)과 예문(2) 모두 공통적으로 ‘(지금-현재) 비가 온다’는 사실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의미의 차이는 없거나 미미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예문(1)과 비교해 예문(2)는 화자가 발화를 나타내는 방법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발화문 구조<Tu vois Ø, P>를 가진 예문(2)가 상대화자(=tu)에게 어떻게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Tu vois의 사용이 왜 담화의 층위에서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게 하는지 등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질문으로 구체화 된다. 첫째 Tu vois에 반영된 지각 동사 voir의 속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사전적 기술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시각적 인식 perception visuelle의 개념을 지각 동사 voir의 핵심적 의미로 본다면, Tu vois의 다양한 의미를 가능하게 하는 근원적 요인들을 찾아보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Tu vois의 사용으로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Tu vois의 다양한 의미를 단순히 나열하여 분류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화자가 Tu vois의 발화를 통해 발화순간 화자 자신의 시각적 인식의 경험을 근거로 전달하는 발화의 초점이 나타나는 방식을 설명하면서 Tu vois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보여주고 설득하는 담화표지 Tu vois가 함축하는 논증의 힘은 무엇인가? TLF의 사전적 기술에서 알 수 있듯이, 지각동사 voir의 의미에는 우리 인간이 가진 감각의 하나인 시각 vue의 속성이 반영되어 있다. 무언가를 눈으로 지각하고 경험한다는 것은 발화주체인 나(=je), 화자가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화자가 Tu vois를 사용함으로써 눈앞에 보여주는 시각적 증거를 근거로 상대화자(=tu)에게 지시하는 구체적인 방식이 더 나아가 화자의 의식 속에 인지된 것을 지시하는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지시방식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Tu vois가 지닌 고유한 의미·화용적 기능, 즉 논증의 힘을 알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가설이다.
  • 한글키워드
  • 논증의 힘, 담화표지, 담화상황, 시각의 개념, 시각적 인식
  • 영문키워드
  • force of argumentation, discourse maker, situation of discourse, notion of vision, visual percep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기본적인 목표는 담화표지 Tu vois의 기능을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두 단계로 나누어서 진행한다. 첫째는, 시각의 개념을 통해 동사 voir의 속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Tu vois를 통해 담화표지의 특질을 확인한다. 둘재는, 담화표지 Tu vois가 지니는 고유한 속성과 의미를 분석하고 논증의 힘을 강조한다. 결론에서 담화표지 Tu vois의 기능을 요약한다.
  • 영문
  • This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and also describe the functions of Tu vois as a discourse marker. The research proceeds through two stages. First, Il explain the properties of the verb 'voir', trying to understand 'the notion of vision'. And I confirm the distinctive properties of discourse marker from the same instances of Tu vois. Secondly, I analyze the distinctive properties and the meaning of Tu vois and emphasize it's argumentative force. I conclude by insisting upon the function of Tu vois as a discourse mark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표는 담화표지 Tu vois의 기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일상적 담화에서 많이 사용되는 Tu vois는 말 행위가 이루어지는 발화층위에서 보면 그 의미가 단순히 말하는 것으로만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의미를 전하며 발화에 사용되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 말을 할 때, 중요한 것은 화자가 자신의 말 자체에 대한 의도와 입장을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기본적인 목표는 화자의 의도와 입장을 전달하는 담화표지 Tu vois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두 단계로 나누어서 진행한다. 첫째는, 시각의 개념을 통해 동사 voir의 속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Tu vois를 통해서 담화표지의 성격을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는, 담화표지 Tu vois가 지니는 고유한 속성과 의미를 분석하고 논증의 힘을 강조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일상 생활프랑스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담화표지 Tu vois의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을 시도하는 이 연구의 성과가 프랑스어를 처음으로 시작하고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의 이해와 학습에 도움을 주기 바란다. 아울러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현대 프랑스어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담화표지들에 대한 더 커다란 관심과 연구를 이
    끌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더 나아가 프랑스어 담화표지와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담화표지와의 비교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색인어
  • 논증성, 논증의 힘, 담화표지, 시각개념, 정보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