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들이 안고 있는 빈부격차의 문제는 날이 갈수록 심화 및 강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빈부의 격차는 대체로 소득과 재산 및 부의 불공정한 분배로부터 발생한다. 그리고 불공정한 분배의 문제는 어떤 사회가 택하고 있는 경제체제의 근본적인 ...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들이 안고 있는 빈부격차의 문제는 날이 갈수록 심화 및 강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빈부의 격차는 대체로 소득과 재산 및 부의 불공정한 분배로부터 발생한다. 그리고 불공정한 분배의 문제는 어떤 사회가 택하고 있는 경제체제의 근본적인 결함에서 기인한다. 그렇다면, 빈부격차를 근원적으로 해소하는 길은 그 격차를 야기하는 경제체제를 대신할 새로운 경제체제의 개발에 달려 있다고 할 것이다.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여러 가지 형태의 저항들이 있었다. 예컨대, 하버드대 학생들이 『멘큐의 경제학』으로 유명한 멘큐 교수의 강의를 거부한 일이 있었다. 그 이유는 멘큐 교수가 가르치는 경제학이 국민의 99%를 위한 경제학이 아니라 국민의 1%에 해당하는 부자들만을 위한 경제학이라는 이유에서였다. 그리고 맨해튼의 월스트리트 및 워싱턴디씨에서 일어난 부와 재산의 불공정한 분배에 저항하는 시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저항들은 미국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인들이 공감하는 문제가 되었다. 다시 말해서 미국뿐만이 아니라 대다수의 나라들이 택하고 있는 현행의 경제체제, 즉 자본주의적 경제체제를 대신할 대안적 경제체제를 모색해야만 한다는 시대적 요구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인류는 소득 및 부와 재산의 불공정한 분배 문제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써 사회주의를 실천해본 경험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 사회주의를 표방한 대부분의 나라들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참담한 결과를 가져왔고, 급기야 체제 변환을 서둘러 자본주의적 경제체제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들은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결함을 보완하지 않은 채 자본주의를 이식했을 뿐이므로 자본주의가 지니고 있는 결점으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점 및 갈등을 고스란히 물려받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우리가 모색해야 할 경제체제가 자본주의도 사회주의도 아닌 다른 경제체제여야 할 것을 암시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에 대해 경제학자로서 이론적인 천착을 한 제임스 미드(J. E. Meade)와 철학자로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한 존 롤즈(J. Rawls)의 견해를 비교 고찰하는 데 있다. 양자가 지향하고 있는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경계선상에 있는 경제체제로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지닌 결함을 보완하여 그 한계를 넘어서려는 경제체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는 어느 정도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가능성이 있는 경제체제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에 대한 조명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이다. 본 연구는 제임스 미드와 존 롤즈의 견해를 비교해 봄으로써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에 대한 양자 간의 내용상의 차이뿐만 아니라 그 이념에 대한 해석적 경향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밝혀보는데 주력할 것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에 대한 기대효과는 학문적 기대효과와 사회적 기대효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학문적 기대효과 학문적 기대효과는 학문적 가치라는 측면과 학문적 파급 효과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① 학문적 가치의 측면 본 연구는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 ...
본 연구에 대한 기대효과는 학문적 기대효과와 사회적 기대효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학문적 기대효과 학문적 기대효과는 학문적 가치라는 측면과 학문적 파급 효과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① 학문적 가치의 측면 본 연구는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에 관한 미드와 롤즈의 견해를 비교 연구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양자를 비교해 보는 이유는 롤즈가 미드로부터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라는 개념을 차용했다는 그 사실로 인하여,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라는 이념이 곧바로 미드의 그것과 동일한 내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치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견해들은 자연스럽게 미드와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에 대한 비교 연구를 소홀하게 하는 학적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에 관한 미드와 롤즈의 견해를 직접 비교해 볼 경우 양자 간의 차이점이 명확히 드러나게 될 것이고, 더 나아가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라는 이념 안에는 서로 간에 차별화될 수밖에 없는 이념적 스펙트럼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이 본 연구 결과가 지니게 될 학문적 가치들 가운데의 하나일 것이다.
② 학문적 파급 효과의 측면 본 연구는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에 대한 해석이 여러 이념적 스펙트럼 상에서 가능하다는 점을 암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 줌으로써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에 대한 논의를 풍요롭게 할 수 있다. 이런 점이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파급 효과라고 할 수 있다.
2) 사회적 기대효과 현대 한국 사회의 경우, 자유주의를 지향하고 있는 남한과 한때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북한과의 극한 대립 구도는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 그 냉전 체제에서 학습되었던 이데올로기적 유산들이 아직도 건재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해서, 소득과 재산 및 부의 공정한 분배에 관련한 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이른바 보수주의자들은 공정한 분배를 외치는 사람들을 모두‘좌파’ 운운하며 비난하거나, 반대로 좌파로 간주된 사람들은 자신들을 비난한 사람들을 ‘수구’ 운운하며 상호 비방으로 치닫는 극단적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발언은 우리 사회 내부의 분열을 책동하는 잘못된 편집증적 증오심을 부추길 뿐이다. 또한 한국형 신자유주의라고 할 수 있는 뉴라이트(New Right) 운동의 광풍[2008년 전후]은 한국 사회를 조작적으로 우파와 좌파로 나누어 극렬한 정치적 · 이데올로기적 대립 구도를 생성해낸 바 있었다.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에 대한 연구, 그리고 그것에 관련한 미드와 롤즈 간의 견해를비교해 봄으로써, 소득, 재산, 그리고 부의 분배가 어느 정도까지 진행되어야 그것이 자유주의적 틀 안에서의 분배이며, 혹은 사회주의적 구조 내에서의 분배인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분배 문제에 있어서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판가름해 줄 수 있는 기준을 확보할 수있게 된다. 이 기준을 분배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 사회에 적용할 경우, 보수주의나 뉴라이트적 견해, 그리고 좌파 · 우파 등의 구분에 의한 상호 대립은 상당한 부분에서 소모적이며,근거 없는 대립으로 밝혀지게 될 것이다.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는 우리 사회의 오도된 이념적 대립 구도를 넘어선 경제체제의 모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런 점들이 본 연구의 사회적 기대효과일 것이다.
연구요약
미드와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과 정책들에 관한 구체적인 비교 논의를 통해서 주로 양자 간의 차이점을 밝혀 볼 예정이다. 양자 간의 특징적인 차이점들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드는 경험적 ․ 통찰적 입장에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비효율 ...
미드와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과 정책들에 관한 구체적인 비교 논의를 통해서 주로 양자 간의 차이점을 밝혀 볼 예정이다. 양자 간의 특징적인 차이점들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드는 경험적 ․ 통찰적 입장에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비효율성 및 힘과 지위의 불평등한 분배를 결과한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롤즈는, 미드와 유사한 맥락이긴 하나, 규범적 입장에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정의의 원칙을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여기에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에 대한 미드와 롤즈의 비판이 그 전략적 목적에 있어서 서로 일치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는 바와 같이,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에 대한 미드와 롤즈의 비판은 엇비슷한 면모를 유지한다. 그러나 그 전략적 목적에는 아주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미드에 의하면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는 현존하는 복지 국가적 정책들을 대체하려는 이념이 아니라 오히려 보완적인 이념에 해당한다. 미드는 강력한 노동조합 행동과 복지국가의 정책들을 수단으로 사용하고, 이를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로 보완하여, 최종적으로는 사회주의에 도달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반면에 롤즈는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이념으로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를 수용한다. 그리고 롤즈에게 있어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은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때문에 롤즈는 정의의 우선성에 입각하여, 옳음 보다는 좋음을 우선시하는 복지주의에 비판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롤즈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떤 경제체제가 되었든 정의의 원칙에 위배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에 관한 해석에 있어서, 미드는 수정 사회주의적 접근을 하고 있으며, 롤즈는 수정 자유주의적 접근을 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각자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에서 수용할 수 있는 생산구조들의 차이, 다시 말해서, 기업 형태들의 차이를 가져온다. 세금 정책에 있어서, 미드와 롤즈는 상속세와 증여세에 누진세율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소득세에 누진과세를 하는 문제에 대해서 양자는 원칙적으로 반대하나, 롤즈는 제도적으로 심각한 부정의가 있을 경우에는 누진적 소득세를 허용할 수도 있다는 견해를 표명한다. 기본소득 정책에 있어서, 미드는 무조건적인 기본소득을 주장한 반면, 롤즈는 조건적인 기본소득을 강조한다. 우생학적 정책에 있어서, 미드는 가족 규모의 증감 문제를 우생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반면에, 롤즈는 인권의 관점에서 가족 규모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대신에 롤즈는 시민들의 최선의 유전적 자질을 보증하고 심각한 결점이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우생학적 조처들이 사용될 수 있다고 언급한다.
한글키워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 자유주의적 사회주의, 세금 정책, 기본소득 정책, 우생학적 정책
영문키워드
property-owning democracy, welfare-state capitalism. liberal socialism, a policy of tax, a policy of basic income, an eugenic polic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 : 미드와 롤즈의 비교
이 논문의 목적은 미드와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을 비교 고찰하는데 있다. 미드는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비효율성 및 힘과 지위의 불평등한 분배를 결과한다고 비판하며, 롤즈는 그것이 정의의 원칙을 ...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 : 미드와 롤즈의 비교
이 논문의 목적은 미드와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을 비교 고찰하는데 있다. 미드는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비효율성 및 힘과 지위의 불평등한 분배를 결과한다고 비판하며, 롤즈는 그것이 정의의 원칙을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미드는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의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사회주의에 도달하게 하는 전략적 단계로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를 설정한다. 롤즈는 이와는 달리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를 수용한다.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에 관한 해석에 있어서, 미드는 수정 사회주의적 입장에 서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를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롤즈는 수정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적 사회주의를 준별한다. 양자 간의 이러한 차이는 각자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에서 수용할 수 있는 생산구조들의 차이, 다시 말해서, 기업 형태들의 차이를 가져온다. 세금 정책에 있어서, 미드와 롤즈는 상속세와 증여세에 누진세율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소득세에 누진과세를 하는 문제에 대해서 양자는 원칙적으로 반대하나, 롤즈는 제도적으로 심각한 부정의가 있을 경우에는 누진적 소득세를 허용할 수도 있다는 견해를 표명한다. 기본소득 정책에 있어서, 미드는 경제 활동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기본소득이 제공되는 무조건적인 기본소득 정책을 주장한다. 그러나 롤즈는 일하는 사람에게만 기본소득이 보장되는 조건적인 기본소득 정책을 강조한다. 우생학적 정책에 있어서, 미드는 재산 소유권이 가족규모의 우생학적 증감 정책으로 분산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하는 반면에, 롤즈는 우생학적 조처를 통한 재능 수준의 평준화에 기초하여 재산 소유권의 분배 문제에 접근한다.
영문
The Idea of Property-Owning Democracy : A Comparison between Meade and Rawls
This article's aim is a comparison about the idea of property-owning democracy in Meade and Rawls. Meade criticizes that the welfare-state capitalism results in the non- ...
The Idea of Property-Owning Democracy : A Comparison between Meade and Rawls
This article's aim is a comparison about the idea of property-owning democracy in Meade and Rawls. Meade criticizes that the welfare-state capitalism results in the non-efficiency and the unequal distribution in the power and position. Rawls criticizes that the welfare-state capitalism violates his two principles of justice. Meade sets up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as a strategic stage in order to arrive at socialism to complement the weak points of welfare-state capitalism. But, in a different way, Rawls takes in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welfare-state capitalism. In the interpretations about the idea of property-owning democracy, Meade regards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as the liberal socialism from a position of revisionist socialism. On the contrary, Rawls distinguishes between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and the liberal socialism from a viewpoint of revisionist liberalism. This difference in both of them brings about the differences of productive structures, in other words, the ones of enterprise forms, to be able to accept in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In the tax policy, Meade and Rawl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way that an inheritance tax and a gift one have to levy by the progressive tax rate. But they object as a rule to problem which applies the progressive tax rate to the income tax. Nevertheless, when it is deep injustice on the social institutions, Rawls insists that it can allow the progressive income tax. In the basic income policy, Meade suggests that everyone have to receive the basic income unconditionally, independent of the economic activities. But Rawls stresses that only peoples who have jobs acquire qualifications to receive the basic income conditionally. In the eugenic policy, Meade expects that the property-ownership will be dispersed through the eugenic policy of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size of family. On the other hand, Rawls approaches a distributive problem of the property-ownership on the basis of the equalization of level in our talents through the eugenic measur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들이 안고 있는 빈부격차의 문제는 날이 갈수록 심화 및 강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빈부의 격차는 대체로 소득과 재산 및 부의 불공정한 분배로부터 발생한다. 그리고 불공정한 분배의 문제는 어떤 사회가 택하고 있는 경제체제의 근본적인 ...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들이 안고 있는 빈부격차의 문제는 날이 갈수록 심화 및 강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빈부의 격차는 대체로 소득과 재산 및 부의 불공정한 분배로부터 발생한다. 그리고 불공정한 분배의 문제는 어떤 사회가 택하고 있는 경제체제의 근본적인 결함에서 기인한다. 그렇다면, 빈부격차를 근원적으로 해소하는 길은 그 격차를 야기하는 경제체제를 대신할 새로운 경제체제의 개발에 달려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인류는 소득 및 부와 재산의 불공정한 분배 문제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써 사회주의를 실천해본 경험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 사회주의를 표방한 대부분의 나라들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참담한 결과를 가져왔고, 급기야 체제 변환을 서둘러 자본주의적 경제체제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들은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결함을 보완하지 않은 채 자본주의를 이식했을 뿐이므로 자본주의가 지니고 있는 결점으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점 및 갈등을 고스란히 물려받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우리가 모색해야 할 경제체제가 자본주의도 사회주의도 아닌 다른 경제체제여야 할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이 연구는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에 대해 경제학자로서 이론적인 천착을 한 제임스 미드(J. E. Meade)와 철학자로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한 존 롤즈(J. Rawls)의 견해를 비교 고찰한다. 양자가 지향하고 있는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경계선상에 있는 경제체제로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지닌 결함을 보완하여 그 한계를 넘어서려는 경제체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는 어느 정도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가능성이 있는 경제체제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에 대한 조명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이자 그것이 지닌 함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1. 연구결과 미드와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과 정책들에 관한 구체적인 비교 논의를 통해서 주로 양자 간의 차이점을 밝혀 보았다. 양자 간의 특징적인 차이점들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드는 정치 경제학적 입장에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비효 ...
1. 연구결과 미드와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과 정책들에 관한 구체적인 비교 논의를 통해서 주로 양자 간의 차이점을 밝혀 보았다. 양자 간의 특징적인 차이점들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드는 정치 경제학적 입장에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비효율성 및 힘과 지위의 불평등한 분배를 결과한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롤즈는, 미드와 유사한 맥락이긴 하나, 규범적 입장에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정의의 원칙을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아는 바와 같이,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에 대한 미드와 롤즈의 비판은 엇비슷한 면모를 유지한다. 그러나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에 대한 양자의 비판이 그 전략적 목적에서조차 유사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미드에게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는 현존하는 복지 국가적 정책들을 대체하려는 이념이 아니라 오히려 보완적인 이념에 해당한다. 미드는 강력한 노동조합 행동과 복지국가의 정책들을 수단으로 사용하고, 이를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로 보완하여, 최종적으로는 사회주의에 도달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반면에 롤즈는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이념으로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를 수용한다. 그리고 롤즈에게 있어서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은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때문에 롤즈는 정의의 우선성에 입각하여, 옳음 보다는 좋음을 우선시하는 복지주의에 비판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롤즈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떤 경제체제가 되었든 정의의 원칙에 위배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에 관한 해석에 있어서, 미드는 수정 사회주의적 접근을 하고 있으며, 롤즈는 수정 자유주의적 접근을 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각자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에서 수용할 수 있는 생산구조들의 차이, 다시 말해서, 기업 형태들의 차이를 가져온다. 세금 정책에 있어서, 미드와 롤즈는 상속세와 증여세에 누진세율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소득세에 누진과세를 하는 문제에 대해서 양자는 원칙적으로 반대하나, 롤즈는 제도적으로 심각한 부정의가 있을 경우에는 누진적 소득세를 허용할 수도 있다는 견해를 표명한다. 기본소득 정책에 있어서, 미드는 경제활동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원조하는 무조건적인 기본소득 정책을 주장한 반면, 롤즈는 일하는 사람에게만 원조를 해주는 조건적인 기본소득 정책을 강조한다. 우생학적 정책에 있어서, 미드는 재산 소유권이 가족규모의 우생학적 증감 정책으로 분산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하는 반면에, 롤즈는 우생학적 조처를 통한 재능 수준의 평준화에 기초하여 재산 소유권의 분배 문제에 접근한다.
2.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는 대학의 철학 전공 교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에 대한 논의는 특히, 사회 윤리학 및 정치 철학, 그리고 사회 철학에 연관하여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제적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정치 경제학 혹은 정치학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색인어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자유주의적 사회주의,
누진세율, 기본소득, 우생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