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슈퍼히어로 영화에 나타난 영웅의 계보학 - ‘차이’와 ‘사이(in-between)’의 서사 전략을 통한 캐릭터 형성 방식을 중심으로 -
Genealogy of heroism in superhero mov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7451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오현화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캐릭터 형상화 방식이 서사 전략의 큰 축을 구성하고 있는 히어로 판타지의 경우, 영웅 캐릭터에 내재된 의미망을 조망하는 것은 이들 장르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특히 슈퍼맨이나 배트맨과 같이 코믹스에 기반을 둔 히어로 판타지는 캐릭터의 형성 의미를 밝혀내는 작업이 서사 전략 연구와 동의어로 인식될 만큼 중요하다. 기존 히어로 판타지 속 영웅 캐릭터 연구는 전통적인 영웅 서사의 구조 내에서 도식화되거나, 당대성(이데올로기, 시대정신 등)과 결부지어 분석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히어로 판타지에 나타난 영웅의 계보학적 서사 구조를 캐릭터 형상화 방식과 연관 지어 분석할 것이다. 영웅 캐릭터 형상화에 내재된 서사 전략을 분석하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 획득했던 성과 이외에도 영웅 캐릭터의 본질적 스토리텔링의 원리까지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영웅의 서사학적 계보와 캐릭터 형상화의 서사 전략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적 틀을 차용할 것이다. 먼저 기존 연구자들의 원용했던 영웅 신화의 서사 구조를 통해 영웅 캐릭터의 형상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전통적인 서사화 전략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하고 변형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기존의 방법론을 차용할 수밖에 없다. 이를 토대로 ‘차이’와 ‘사이(in-between)’의 서사 전략을 통해 기존 연구와 변별되는 캐릭터 형상화 방식을 도출할 것이다.
  • 기대효과
  • 이 논문은 기존 영웅 서사 연구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히어로 판타지에 나타난 영웅의 계보학적 서사 구조를 캐릭터 형상화 방식과 연관 지어 분석하려고 한다. 히어로 판타지에 나타난 영웅 캐릭터 분석은 디지털영상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학적 환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접근이 이루어질 것이다. 캐릭터의 서사학적 접근은 스토리텔링에 관한 이론적 연구 외에도 실제 현장에서 창작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다. 캐릭터 연구는 서사학의 지평을 확장하는 동시에 실제 캐릭터 창작에 있어 기법적 측면에서 전략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영상콘텐츠 속 캐릭터는 원소스멀티유즈로서 다양한 문화상품으로 재생산되고, 파생될 수 있는 방법적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히어로 판타지가 소시민들의 욕망을 대리만족 시키는 대표적 서사 체계를 지니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권력이나 중심부로부터 소외된 소시민이 중심부로 편입하기 위한 혹은 그러한 욕망을 표현하는 것이 히어로 판타지의 주된 서사이다. 주체(영웅/선)와 타자(악당/악)의 이분법적 대결구도를 통한 ‘차이’의 서사 전략은 히어로 판타지의 오랜 서사 전통이었다. 그러나 최근 히어로 판타지 속 영웅 캐릭터는 ‘차이’의 서사 전략만으로는 해석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그렇다면 주체-타자의 이항구조 속에서 슈퍼맨과 포스트 슈퍼맨으로 도식화되는 영웅 서사 분석은 일부 수정될 필요가 있다. 주체-타자의 이분법적 논리가 ‘차이’로 인해 파생되는 다양한 양태를 논의한 것이라면, 중간자는 ‘차이’가 아닌 ‘사이’ 혹은 ‘가로지르는’ 서사 전략을 통해 캐릭터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영웅 캐릭터의 형상화 방식에 내재된 ‘차이’와 ‘사이’의 서사 전략을 토대로 영웅 캐릭터를 유형화하고 구조적 의미를 살펴 볼 것이다. 먼저 ‘차이’의 서사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영웅 캐릭터 유형은 신화적 영웅-모던한 영웅-반영웅의 계보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할 것이고, ‘사이’의 서사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영웅 캐릭터는 시뮬라크르적인 영웅-경계인(중간자)로서의 영웅으로 나누어 접근할 것이다. ‘차이’의 서사 전략을 택하고 있는 히어로 판타지를 주체(영웅)에 의한 구원 서사와 타자화된 주체의 서사로 나누어 기술할 것이다. ‘사이’의 서사 전략을 택하고 있는 히어로 판타지는 주체와 타자를 가로지르는 경계인으로서 서사와 이미지화된 영웅 서사의 구조로 나눌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도출한 캐릭터 형성 방식을 통해 히어로 판타지의 계보학적 영웅 서사의 구조를 밝혀낼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히어로 판타지, 주체-타자, '차이'의 서사, '사이'의 서사, 신화적 영웅, 모던한 영웅, 반영웅, 시뮬라크르적인 영웅, 중간자로서의 영웅
  • 영문키워드
  • superhero movies, heroism, subject and the others, difference, in-between, mythical hero, modern hero antihero, simulacr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영웅의 서사학적 계보와 캐릭터 형상화의 서사 전략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적 틀을 차용했다. 먼저 기존 연구자들의 원용했던 영웅 신화의 서사 구조를 통해 영웅 캐릭터의 형상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전통적인 서사화 전략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하고 변형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기존의 방법론을 차용할 수밖에 없다. 이를 토대로 ‘차이’와 ‘사이(in-between)’의 서사 전략을 통해 기존 연구와 변별되는 캐릭터 형상화 방식을 도출할 것이다.
    먼저 ‘차이’의 서사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영웅 캐릭터 유형은 신화적 영웅-모던한 영웅-반영웅의 계보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했으며, ‘사이’의 서사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영웅 캐릭터는 시뮬라크르적인 영웅-경계인(중간자)로서의 영웅으로 나누어 접근했다. ‘차이’의 서사 전략을 택하고 있는 히어로 판타지를 주체(영웅)에 의한 구원 서사와 타자화된 주체의 서사로 나누어 기술했으며, ‘사이’의 서사 전략을 택하고 있는 히어로 판타지는 주체와 타자를 가로지르는 경계인으로서 서사와 이미지화된 영웅 서사의 구조로 나누었다.
  • 영문
  • This study is borrowed two methods in order to analyze genealogy of heroism and the structure of character in superhero. First,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studies scholars will use the hero myth.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of hero character should be used traditional narr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this 'difference' and 'in-between' narrative strategies, I will be analyze the distinctive character’s features of the existing research.
    First, hero character of the mythological, modern, and anti-hero have a narrative structure of 'difference'. And hero character of simulacre and the marginal man have a narrative structure of 'in-between'. The epic of hero movie has a narrative structure of 'difference' is story of human’s salvation. Also it's the story to achieve the batter's desire. The epic of hero movie has a narrative structure of 'in-between' is the story of the marginal man to across subjects and batter. In addition, it is the character’s story of having the virtual im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기존 히어로 판타지 속 영웅 캐릭터 연구는 전통적인 영웅 서사의 구조 내에서 도식화되거나, 당대성(이데올로기, 시대정신 등)과 결부지어 분석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히어로 판타지에 나타난 영웅의 계보학적 서사 구조를 캐릭터 형상화 방식과 연관 지어 분석할 것이다. 영웅 캐릭터 형상화에 내재된 서사 전략을 분석하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 획득했던 성과 이외에도 영웅 캐릭터의 본질적 스토리텔링의 원리까지도 밝혀낼 수 있다.
    영웅의 서사학적 계보와 캐릭터 형상화의 서사 전략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적 틀을 차용했다. 먼저 기존 연구자들의 원용했던 영웅 신화의 서사 구조를 통해 영웅 캐릭터의 형상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전통적인 서사화 전략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하고 변형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기존의 방법론을 차용할 수밖에 없다. 이를 토대로 ‘차이’와 ‘사이(in-between)’의 서사 전략을 통해 기존 연구와 변별되는 캐릭터 형상화 방식을 도출할 것이다.
    먼저 ‘차이’의 서사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영웅 캐릭터 유형은 신화적 영웅-모던한 영웅-반영웅의 계보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했으며, ‘사이’의 서사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영웅 캐릭터는 시뮬라크르적인 영웅-경계인(중간자)로서의 영웅으로 나누어 접근했다. ‘차이’의 서사 전략을 택하고 있는 히어로 판타지를 주체(영웅)에 의한 구원 서사와 타자화된 주체의 서사로 나누어 기술했으며, ‘사이’의 서사 전략을 택하고 있는 히어로 판타지는 주체와 타자를 가로지르는 경계인으로서 서사와 이미지화된 영웅 서사의 구조로 나누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논문은 기존 영웅 서사 연구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히어로 판타지에 나타난 영웅의 계보학적 서사 구조를 캐릭터 형상화 방식과 연관 지어 분석하려고 한다. 히어로 판타지에 나타난 영웅 캐릭터 분석은 디지털영상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학적 환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접근이 이루어질 것이다. 캐릭터의 서사학적 접근은 스토리텔링에 관한 이론적 연구 외에도 실제 현장에서 창작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다. 캐릭터 연구는 서사학의 지평을 확장하는 동시에 실제 캐릭터 창작에 있어 기법적 측면에서 전략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영상콘텐츠 속 캐릭터는 원소스멀티유즈로서 다양한 문화상품으로 재생산되고, 파생될 수 있는 방법적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 색인어
  • 히어로 판타지, 주체-타자, '차이'의 서사, '사이'의 서사, 신화적 영웅, 모던한 영웅, 반영웅, 시뮬라크르적인 영웅, 중간자로서의 영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