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폐면용 복식․ 화장의 모방양상 및 상징성 연구
- 양반녀와 기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itated Aspect and Symbolism of Veil and Makeup in Late Josheon
- Focused on Female of Royale and Gisaeng
□ 연구필요성 - 최근 각국의 ‘전통문화’는 국가경쟁력의 화두로 등장하여 자국민에게 민족문화에 대한 긍지를 형성하여 국가경쟁력의 기반을 제공한다. 전통문화가 새로운 문화가치 원류로서 기반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에 대한 다각적 연구가 필 ...
□ 연구필요성 - 최근 각국의 ‘전통문화’는 국가경쟁력의 화두로 등장하여 자국민에게 민족문화에 대한 긍지를 형성하여 국가경쟁력의 기반을 제공한다. 전통문화가 새로운 문화가치 원류로서 기반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에 대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하다. - 문화국가의 기반마련을 위한 인문학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현대 시각적 미디어 매체에 익숙한 수요자의 특성에 맞는 가시적 소재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 한국문화와 역사수출의 관점에서 ‘문화한국의 브랜드화’를 위해서는 전통문화 정립과 자원개발이 요구된다. - 역사연구의 주제별 편중을 막고 지적 관심의 분산을 위해 역사기록의 주요대상에서 제외된 여성, 천민 등의 미시사 연구가 요구된다.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경쟁력의 기반을 제공하는 전통문화의 정립을 위하여 조선후기 양반녀와 기녀, 두 계층 간에 발생한 폐면(閉面)용 복식, 화장문화의 모방양상과 이에 내재된 상징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와 같이 정립된 조선후기 양반녀, 기녀의 폐면용 복식, 화장의 모방특성 및 상징성을 새로운 전통문화소재로 제시하여 ‘문화한국 브랜드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 사회적, 학문적 기대효과 -조선시대 폐면용 복식에 대한 이해는 세계 문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 동시대 타 문화 이해의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다문화시대의 소통을 위한 학문적 근거를 제고할 것이다. - 조선후기 사회상을 근거로 한 복식, 화장의 인문 ...
□ 사회적, 학문적 기대효과 -조선시대 폐면용 복식에 대한 이해는 세계 문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 동시대 타 문화 이해의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다문화시대의 소통을 위한 학문적 근거를 제고할 것이다. - 조선후기 사회상을 근거로 한 복식, 화장의 인문사회과학적 측면에서의 복식사 연구는 주변학문과의 융합연구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조선시대 폐면용 복식에서 제시되는 전세계 베일문화에 대한 ‘문화적 동질감’을 활용하여 한류문화 확산에 기여한다. - 조선후기 복식, 화장의 상징성에 내재된 역사적 주제로 관광산업활성화를 위한 문화 스토리텔링 발굴에 기여한다. - 조선시대 전통화장의 미적 특성을 뷰티산업에 제시하여 ‘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한다. - 세계 각 지역의 베일문화에 대한 문화적 가치태도를 제공하는 조선시대 폐면용 복식에 대한 이해는 우리문화의 세계진출에 기여하게 될 것임.
□ 인력 양성방안 - 전통문화체험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전통복식문화에 관한 스토리는 관광사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문화해설사 및 스토리텔러 양성에 기여한다. - 폐면용 복식, 화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는 전통문화의 대중화에 기여하는 박물관 큐레이터, 교육담당자, 도슨트 양성에 기여한다.
□ 교육적 활용방법 - 조선후기 여성복식의 미적 특성을 현대 패션 디자인 교육에 활용한다. - 뷰티산업에 시대별 전통화장특성을 제시하는 교육자료로 활용한다.
연구요약
□ 연구방법 문헌연구을 기반으로 하여 회화(기록화 및 풍속화)자료와 박물관 유물을 시각자료로 활용하며,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고문헌과 박물관유물 해석을 검증한다.
□ 연구범위 조선후기 양반녀와 기녀, 두 계층간에 나타난 폐면용 복식, 화장의 모방현상을 연구범 ...
□ 연구방법 문헌연구을 기반으로 하여 회화(기록화 및 풍속화)자료와 박물관 유물을 시각자료로 활용하며,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고문헌과 박물관유물 해석을 검증한다.
□ 연구범위 조선후기 양반녀와 기녀, 두 계층간에 나타난 폐면용 복식, 화장의 모방현상을 연구범위로 함.
□ 연구내용 - 첫째, 조선시대는 계급 간의 복식모방이 철저하게 금지된 신분사회로서, 양반의 복식문화에 대한 천민의 모방행동을 연구한다. 계층구조는 유행변화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유행의 변화가 거의 없는 신분 세습의 사회구조에서 발생하는 천민의 양반복식 모방현상을 연구하는 차별성을 지님. - 둘째, 조선후기 기녀의 사대부녀 폐면복식 모방현상과 그 후 제시되는 착용양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한다. 유교적 국가관속에서 내외용으로 착용이 법제화되었던 사대부녀의 내외용 폐면용 복식이 기녀의 복식문화에 편입된 후 제시되는 착용양상의 변화를 연구한다. - 셋째, 조선후기 기녀의 사대부녀에 대한 모방행동으로 나타나는 기녀화장문화의 모방 특성을 제시함. - 넷째, 조선후기 사회상, 여성의식, 여성관의 변화를 바탕으로 기녀, 양반녀의 복식과 화장의 모방상징성을 연구한다. 봉건제도가 붕괴되어가는 조선후기의 도덕, 사회, 정치적 변화와 여성의식 변화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상반되는 두 계층의 관계에서 제시되는 폐면 복식, 화장의 모방현상이 지니고 있는 상징성을 연구함.
한글키워드
조선후기, 여성복식, 폐면복식, 화장, 모방, 상징성, 기생, 양반녀
영문키워드
Late Josheon, Female Costume, Veil, Makeup, Symbolic, Gisaeng, noblewoma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조선시대는 성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내외법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규범의 일환으로 신체를 은폐하기 위한 폐면용 복식의 착용을 법제화 하였다. 조선초기 이후 약 200년간은 여성의 정조의식, 신체의 격리, 은폐에 관한 법령이 지속적으로 발포되었다. 그 이후 조선후기에 ...
조선시대는 성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내외법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규범의 일환으로 신체를 은폐하기 위한 폐면용 복식의 착용을 법제화 하였다. 조선초기 이후 약 200년간은 여성의 정조의식, 신체의 격리, 은폐에 관한 법령이 지속적으로 발포되었다. 그 이후 조선후기에는 양반여성의 열녀의식은 내면화되었고, 양반녀의 폐면용 복식과 정조의식은 양인, 기생 등에 의해 모방되었다. 그에 비하여 화장은 고려시대부터 이미 양반녀와 기생의 신분을 상징하는 장식요소로서 비교적 관습적 윤리적 성향을 나타낸다. 조선후기 양반녀를 상징하는 화장법 역시 기생에 의해 모방되었다. 이와 같은 양상을 보이는 조선후기 폐면용 복식과 화장의 계층 간 모방양상과 상징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양반녀에게 요구된 폐면용 복식은 기생을 비롯한 천민 계층에 의해 모방되어 그들의 삶에 어울리는 새로운 방식으로 착용되었음. □ 폐면용 복식은 양반녀의 열녀의식을 상징하므로 양천민의 폐면용 복식모방 상징성은 양반의 윤리규범을 모방하여 신분상승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함. □ 조선후기의 기녀는 고려시대부터 이미 양반녀의 화장으로 규정되어 있던 반분대 화장을 모방하였음 □ 양반녀의 신분을 상징하는 반분대화장을 기생이 모방하는 상징성은 신분상승의 추구를 의미함
영문
Wearing a concealing face-style costume was legalized to cover up the body which is a kind of behavior rules to keep Courtesy of Avoidance of the Opposite Sex based on Neo-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Over 200 years after the early years of Joseo ...
Wearing a concealing face-style costume was legalized to cover up the body which is a kind of behavior rules to keep Courtesy of Avoidance of the Opposite Sex based on Neo-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Over 200 years after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the particular laws such as the consciousness of the women's chastity, quarantine, concealment, had consistently been announced. In late Joseon Dynasty, then, the consciousness for the virtuous woman of female yangban was internalized, the concealing face-style costum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chastity for female yangban were imitated by a westner and gisaeng. Being compared to it, Make-up already reflected the conventional and moral tendency as an ornament symbolizing the status for female yangban and gisaeng. The way for make-up representing female yangba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lso imitated by gisaeng. The outcome for the research for the imitation aspect and symbolization which a concealing face-style costume and the aspect for the make-up among the classes is as in the following. □ The concealing face-style costume for female yangban has been worn in the new style well matched her life after having been copied by the lowest class. □ The concealing face-style costume representing the consciousness for the virtuous woman of female yangban, the symbolization of the emulating the concealing face-style costume by the middle and the lowest class has pursued to copy ethical standards and be the better social status. □ The gisaeng in late Joseon dynasty has imitatd light make-up which had already been regulated to the make-up for female yangban since the Koryo Dynastry. □ The symbolism that gisaeng copied light make-up which represented the status for female yangban signifies the pursuit of being better social statu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조선시대는 성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내외법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규범의 일환으로 신체를 은폐하기 위한 폐면용 복식의 착용을 법제화 하였다. 조선초기 이후 약 200년간은 여성의 정조의식, 신체의 격리, 은폐에 관한 법령이 지속적으로 발포되었다. 그 이후 조선후기에 ...
조선시대는 성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내외법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규범의 일환으로 신체를 은폐하기 위한 폐면용 복식의 착용을 법제화 하였다. 조선초기 이후 약 200년간은 여성의 정조의식, 신체의 격리, 은폐에 관한 법령이 지속적으로 발포되었다. 그 이후 조선후기에는 양반여성의 열녀의식은 내면화되었고, 양반녀의 폐면용 복식과 정조의식은 양인, 기생 등에 의해 모방되었다. 그에 비하여 화장은 고려시대부터 이미 양반녀와 기생의 신분을 상징하는 장식요소로서 비교적 관습적 윤리적 성향을 나타낸다. 조선후기 양반녀를 상징하는 화장법 역시 기생에 의해 모방되었다. 이와 같이 기생에 의하여 양반녀를 상징하는 폐면용 복식과 화장이 모방된 현상은 조선후기에 사회전체에 나타나고 있는 신분제도 붕괴에 편승한 기녀의 신분상승 추구 의지를 상징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결과
조선후기 폐면용 복식과 화장의 계층 간 모방양상과 상징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양반녀에게 요구된 폐면용 복식은 기생을 비롯한 천민 계층에 의해 모방되어 그들의 삶에 어울리는 새로운 방식으로 착용되었음. □ 폐면용 복식은 양반녀의 열녀의 ...
연구결과
조선후기 폐면용 복식과 화장의 계층 간 모방양상과 상징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양반녀에게 요구된 폐면용 복식은 기생을 비롯한 천민 계층에 의해 모방되어 그들의 삶에 어울리는 새로운 방식으로 착용되었음. □ 폐면용 복식은 양반녀의 열녀의식을 상징하므로 양천민의 폐면용 복식모방 상징성은 양반의 윤리규범을 모방하여 신분상승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함. □ 조선후기의 기녀는 고려시대부터 이미 양반녀의 화장으로 규정되어 있던 반분대 화장을 모방하였음 □ 양반녀의 신분을 상징하는 반분대화장을 기생이 모방하는 상징성은 신분상승의 추구를 의미함
활용방안
1. 인력 양성방안
□ 관광사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문화해설사 및 스토리텔러 양성에 활용 □ 전통문화의 대중화에 기여하는 박물관 큐레이터, 교육담당자, 도슨트 양성에 활용 2. 교육적 활용방법 □ 조선후기 여성복식의 미적 특성을 현대 패션 디자인 교육에 활용 □ 뷰티산업에 시대별 전통화장특성을 제시하는 교육자료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