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Verbo-Tonal Method를 이용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발음 지도 -일본어의 장음을 중심으로-
The pronunciation guidance of Koreans by Verbo-Tonal Method -Around a prolonged sound in Japanes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7201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연화
연구수행기관 대전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일본어는 한국어와 문법 구조가 비슷해서 한국인에게는 다른 언어 보다 습득하기 쉬운 언어라고 인식되어 온 반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의 지각과 생성에 곤란을 느끼는 점 또한 잘 알려져 있다.
    한국의 일본어 교육 현상을 조사한 결과 무엇보다 놀란 것은 학습자의 대부분이 체계적인 음성 교육을 경험하지 못한 것이었다.
    한국의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는 일본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법이 유사함에 중점을 두고 있고 때문에 체계적인 음성 교육을 받지 못한 학습자가 많고, 상급에 도달해서도 곤란을 느끼는 학습자가 많다.
    최근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음성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음성 교육의 문제점 또한 대두되고 있다.
    한국인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문제점은 유성음·무성음의 변별, 「ザ」 행 발음 문제, 악센트, 인토네이션 등 많은 항목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수 음소인 촉음, 장음, 발음의 오용이 현저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는 음절 언어이고, 일본어는 모라 (mora) 언어이다. 한 개의 문자가 거의 같은 길이를 필요로 하는 박의 특징을 가진 일본어에 비교하면 한국어는 2박의 문자를 2박이하의 길이로 발음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있어서 일본어의 지각과 생성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특수 음소의 지각과 생성에 대한 문제점과 오용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지만, 실제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도법의 효과에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기점으로 음성 지도법에 주목해 고찰을 실시한다.
    먼저 한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VT법(Verbo-Tonal Method)에 이용해 특수 음소인 장음 지도를 실시해 지도법의 장·단점과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일본어 음성의 지각과 생성에 있어서 오용의 경향을 분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발음 지도를 실시해서 그 결과를 일본어 모어화자의 청각 인상에 의한 판단과 음성 소프트를 이용한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금후의 일본어 음성 교육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다양하고 적합한 음성 지도법을 개발하여 일본어 교육 현장에 활용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은 VT법(Verbo-Tonal Method)을 널리 알림과 동시에 보다 다양한 음성지도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아직 체계적인 음성 교육이 실시되고 있지 않은 한국에서 실천적인 음성 지도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본어 음성 교과서 작성 및 전문성 있는 교사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VT법은 모든 언어 교육에 응용할 수 있는 음성 지도법이다. 이러한 점에 착목해, 최근 한·일 문화 개방과 한류 붐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지도법으로 활용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발전과 나아가서는 한·일 문화 교류에도 기여할 것이다.
    교육적인 면에서는 음악적 요소와 유희적 요소를 내제한 지도법을 활용함으로써 음성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딱딱하고 어려운 이미지를 개선하고 음성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단시간을 이용한 지도와 연습이 효과적인 점을 이용해서 음성 수업 시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수업과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리듬 감각을 익히고 자연스러운 일본어를 구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문법 수업과 연계하여 관련 음성 항목을 도입함으로써 문법 습득과 발음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동사의 「て·た형」, 형용사의 과거형「あつかった」등의 문법 지도 시 촉음 와라베 (わらべ)노래를 도입해서 지도함으로써 발음 교정과 어휘 습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 강의를 통해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발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지도법을 도입해서 실행하고, 그러한 실천적 결과는 음성 교재 작성에 있어서 증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1. 연구 목적
    최근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음성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음성 교육의 문제점 또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는 일본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법이 유사함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음성 교육을 받지 못한 학습자가 많고, 상급에 도달해서도 곤란을 느끼는 학습자가 많다.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장음의 지각과 생성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이전부터 지적되어 왔지만 실제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도법의 효과에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기점으로 음성 지도법의 하나인 VT법의 신체 리듬 운동과 와라베(わらべ) 노래 리듬을 이용해 장음 지도를 실시하여 지도법의 효과를 밝히고, 일본어 교육 현장에 활용위해 고찰을 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및 내용
    2.1 실험 방법
    본 조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초급 20명(실험군:10명, 통제군:10명)과 중급 20명(실험군:10명, 통제군:10)명을 대상으로 2종류의 테스트 (듣기와 발음 조사1,2)를 실시한다. 또한 일본어 모어화자 10명을 대상으로 발음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비교 분석한다.
    듣기조사 1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초급·중급 40명을 대상으로 아무런 정보를 주지 않고 음성 자료를 들려준 후 쓰게 한다.
    듣기 조사2 는 실험군 20명을 대상으로 와라베(わらべ) 노래 리듬과신체리듬 운동을 이용해 지도와 연습을 (20분) 행한 후, 듣기 조사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발음 조사1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초급·중급 40명을 대상으로 아무런 정보를 주지 않고 음성 자료를 배부해 읽게 하고 녹음한다.
    발음 조사2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실험군 20명을 대상으로 와라베 노래, 신체 리듬운동을 이용해 지도와 연습을 (20분) 행한 후, 발음 조사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발음 조사3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의 비교를 위한 것으로 일본어 모어 화자 10명 (동경 출신)을 대상으로 음성 자료를 배부해 읽게 하고 녹음 한다.

    2.2 분석 방법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발음 자료는 일본인 모어 화자(5명)의 청각 인상에 의한 판단을 실시한다. 발음 자료 분석은 음성 소프트 SUGI Speech Analyzer를 이용해 장음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지도 전후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t검정을 이용한다

    3. 일본어 교육에의 활용 방안
    단시간을 이용한 지도와 연습이 효과적인 점을 고려해 음성 수업 시간이 따로 마련되어있지 않은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수업과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리듬 감각을 익힘과 동시에 어휘 습득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문법 수업과 연계하여 관련 음성 항목을 도입함으로써 문법 습득과 발음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
    음악적 요소와 유희적 요소를 내제한 지도법을 활용함으로써 음성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딱딱하고 어려운 이미지를 개선하고 음성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 한다.
    이상과 같이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적합하고 효율적인 음성 교재 작성을 목표로 한다.
  • 한글키워드
  • 장음, VT법, 신체 리듬 운동, 와라베 노래 리듬, 지각, 생성
  • 영문키워드
  • prolonged sound, Verbo-Tonal Method, Body Movement, Nursery Rhyme Stimulation, perception, gener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음성의 지각과 생성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이전부터 많이 지적되어왔다. 특히 특수 음소인 촉음, 장음, 요음의 지각과 생성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오용의 경향에 대한 연구는 많다. 그러나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성 지도법이나 지도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강(2011)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한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VT법(ヴェルボトナル·メソッド:Verbo-Tonal Method)의 진동기와 신체 리듬 운동을 이용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있어서 오용이 많은 촉음 지도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의 촉음의 지각과 생성에 있어서의 오용이 감소하고 발음이 개선된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조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지각과 생성에 곤란을 느끼는 있는 또 하나의 특수 음소인 장음에 있어서의 오용 경향을 분석하고 VT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초급 5명과 중급 5명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듣기 조사1, 듣기 조사2)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듣기 조사1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초급·중급 각 5명을 대상으로 아무런 정보를 주지 않고 일본어 모어 화자의 음성으로 녹음한 장음과 단음으로 구성된 음성 자료를 들려준 후 쓰게 했다.
    그 결과 초급과 중급 학습자 모두 단음보다 「くろう」를 「くろ」로 판단하는 장음 지각에 오용이 많았고, 「こおり」와 같이 어두에 위치한 장음보다는 어말에 위치한 장음「くろう」 지각에 오용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 번째 음절에서만 장음이 생기고, 두 번째 이후의 음절에서는 장음이 생기는 일이 없는 한국어의 영향, 즉 모어간섭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듣기 조사2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초급·중급 각 5명을 대상으로 VT법(와라베 노래 리듬, 신체 리듬 운동)을 이용해 지도와 연습을 (20분) 행한 후, 듣기 조사 1과 동일하고 단어의 순서만 다른 음성 자료를 들려준 후 쓰게 했다.
    그 결과, 학습자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초급·중급 학습자 전원 장음과 단음의 지각 오용이 감소한 결과에서 VT법을 이용한 음성 지도와 연습의 효과가 밝혀졌다.
    특히 초급의 경우 지각 오용의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초급 단계에서의 음성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본 조사에서는 보다 신빙성 있고 명확한 검증을 위해 예비 조사의 결과를 참고로 하여 장음의 지각을 조사하기 위한 단어 수와 조사 대상자 수를 늘리고, 듣기 조사에 사용할 자료를 수정 보완(어두와 어말 양쪽에 장음이 있는 단어 추가)하여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지도와 연습에 사용할 창작 와라베 노래 리듬과 신체 리듬 운동을 보완하고 다른 음성 지도법과의 비교 조사를 실시하여 VT법의 효과를 명확하게 검증함으로써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음성 지도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영문
  • The problem with perception and generation of Japanese sound of Korean Japanese learners have been pointed out for a long time. Especially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regarding problems and misuse trend of perception and generation of a double consonant, a prolonged sound and a contracted sound which are special phonemes. However, there is less study regarding sound a method of guidance to be utilized at the site or effects of a method of guidance.
    Considering this problem, Kang (2011) conducted a double consonant guidance which Korean Japanese learners have a lot of misuses with, by utilizing vibrator와 rhythm movement of body of VT method(ヴェルボトナル·メソッド:Verbo-Tonal Method) which is not so familiar in Ko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isuse of a double consonant of learners when it comes to perception and generation is reduced and pronunciation was improved.
    Based on this result, this research analyzed trend of misuse when it comes to a prolonged sound which is another special phonemes that Korean Japanese learners have problems with for perception and generation, a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VT method, 2 kinds of preliminary investigations (listening investigation1, listening investigation2) with 5 beginner and 5 intermediate Korean Japanese learners were conducted.
    For listening investigation1, without giving any information, 5 beginner and 5 intermediate Korean Japanese learners listened to sound material which consists of a prolonged sound and monotone which are recorded by Japanese native speaker and let them write.
    As a result, both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have more misuse in perception of a prolonged sound than monotone, and have more misuse in perception of a prolonged sound which is at end of words than at beginning of words. It is thought that this is because of impact of Korean language which has a prolonged sound at the first syllable and doesn't have a prolonged sound from the second syllable, in other words, interference of the mother tongue.
    For listening investigation2, by utilizing VT method (Warabe song rhythm, rhythm movement of body) with 5 beginner and 5intermediate Korean Japanese learners, 20 minutes guidance and practice were conducted and let them listen to the sound materials which are the same as for listening investigation 1 but with different order of words.
    As a result, there has been some differences by learners, but there was an effect of sound guidance and practice utilizing VT method in result of reduced misuse of perception of a prolonged sound and monotone for both beginners · intermediate learners.
    Especially in case of beginners, there was a noticeable decrease in perception misuse and this result suggests an importance of sound education at the beginner step.
    In the future, it is planned to conduct an experiment by increasing number of words and surveyee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a prolonged sou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for reliable and clear verification, and by revising materials to be used for listening investigation (adding words with a prolonged sound on the both sides of beginning and end of the words).
    Also, creative Warabe song rhythm and rhythm movement of body to be used for guidance and practice will be complemented, and by conducting other sound a method of guidance and comparison study, effects of VT method will be clearly verified so that various methods of sound guidance for Japanese education site will be sugges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음성의 지각과 생성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이전부터 많이 지적되어왔다. 특히 특수 음소인 촉음, 장음, 요음의 지각과 생성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오용의 경향에 대한 연구는 많다. 그러나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성 지도법이나 지도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강(2011)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한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VT법(ヴェルボトナル·メソッド:Verbo-Tonal Method)의 진동기와 신체 리듬 운동을 이용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있어서 오용이 많은 촉음 지도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의 촉음의 지각과 생성에 있어서의 오용이 감소하고 발음이 개선된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조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지각과 생성에 곤란을 느끼고 있는 또 하나의 특수 음소인 장음에 있어서의 오용 경향을 분석하고 VT법(와라베 노래 리듬, 신체 리듬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초급 5명과 중급 5명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예비조사(듣기 조사1, 듣기 조사2)를 실시했다.
    그 결과, 초급과 중급 학습자 모두 단음보다 장음 지각에 오용이 많았고, 어두에 위치한 장음보다는 어말에 위치한 장음 지각에 오용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VT법을 이용한 지도와 연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듣기 조사2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초급·중급 학습자 전원 장음과 단음의 지각 오용이 감소한 결과에서 VT법을 이용한 음성 지도와 연습의 효과가 밝혀졌다.
    특히 초급의 경우 지각 오용의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초급 단계에서의 음성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본 조사에서는 보다 신빙성 있고 명확한 검증을 위해 예비 조사의 결과를 참고로 하여 장음의 지각을 조사하기 위한 단어 수와 조사 대상자 수를 늘리고, 듣기 조사에 사용할 자료를 수정 보완하여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지도와 연습에 사용할 창작 와라베 노래 리듬과 신체 리듬 운동을 보완하고 다른 음성 지도법과의 비교 조사를 실시하여 VT법의 효과를 명확하게 검증함으로써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음성 지도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은 VT법을 널리 알리고, 보다 다양한 음성 지도법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아직 체계적인 음성 교육이 실시되고 있지 않은 한국에서 실천적인 음성 지도법으로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일본어 음성 교과서 작성 및 전문성 있는 교사 양성에 기여 할 수 있다.
    VT법은 모든 언어 교육에 응용할 수 있는 음성 지도법이다. 이러한 점에 착목해, 최근 한·일 문화 개방과 한류 붐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지도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강(2009) 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VT법을 이용해 한국어의 농음과 모음[ə]의 지도를 실시해 효과를 밝힌 바 있다.
    또한, 음악적 요소와 유희적 요소를 내제한 지도법을 활용함으로써 음성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딱딱하고 어려운 이미지를 개선하고 음성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음성 교육의 효과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이번 조사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단시간의 지도와 연습에도 불구하고 오용의 감소가 현저하게 감소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단시간을 이용한 지도와 연습이 효과적인 점을 고려해 음성 수업 시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수업과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리듬 감각을 익힘과 동시에 어휘 습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문법 수업과 연계하여 관련 음성 항목을 도입함으로써 문법 습득과 발음 습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예를 들어 동사의 「て·た형」, 형용사의 과거형「あつかった」등의 문법 지도 시 촉음 와라베 (わらべ)노래를 도입해서 지도하면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 강의를 통해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발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지도법을 도입·실시함과 동시에 횡단 연구를 지속함으로써 음성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음성 교재를 작성할 것이다.
  • 색인어
  •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장음과 단음의 지각 - 어두의 장음 - 어말의 장음 - 음성 지도법 - 창작 와라베 노래 리듬과 신체 리듬 운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