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자주 혼동이 일어나는 ‘很’과 ‘真’의 용법을 비교하여 양자의 차이를 밝히고, 나아가 ‘很’은 가능한데 ‘真’은 사용할 수 없는 또는 '真‘은 가능한데 ‘很’은 사용할 수 없는 이유를 화용적·인지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很’과 ‘真’ 용법의 오류원인 ...
본 논문은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자주 혼동이 일어나는 ‘很’과 ‘真’의 용법을 비교하여 양자의 차이를 밝히고, 나아가 ‘很’은 가능한데 ‘真’은 사용할 수 없는 또는 '真‘은 가능한데 ‘很’은 사용할 수 없는 이유를 화용적·인지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很’과 ‘真’ 용법의 오류원인을 분석하고, 양자의 화용·인지적 특징을 고찰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둔다. 초급학습자들은 ‘매우’보다 더 과장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할 때 ‘정말, 정말로’라는 ‘真’을 자주 사용한다. 예컨대 “我们的老师真好!”,“韩国真美丽”등은 “我们的老师很好”,“韩国很美丽”에 대한 과장된 표현으로서 ‘真’으로 표현해도 혹은 ‘很’으로 표현해도 어법상 오류는 없다. 그러나 ‘그녀는 참 좋으신 선생님이다’,‘한국은 아주 아름다운 나라이다’를 중국어로 바꾸는 과정에서 초급학습자들은 종종 “*她是真好的老师”,“*韩国是真美丽的国家”와 같은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또한 회화상황에서 “这是很贵的(이건 매우 비싸네요)”를 “*这是真贵的”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는 “很+형용사(이하 ‘很A’로 기술)”는 문장에서 형용사 술어로 쓰여도 무방하고 관형어나 부사어,그리고 “是……的”문에 쓰여도 상관없으나, “真+형용사(이하 ‘真A’로 기술)”는 형용사 술어로 쓰일 수는 있으나, 문장에서 관형어나 “……地V”형 부사어,“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다는 ‘很’과 ‘真’의 용법차이 때문이다. 즉 “很好的天气”,“很高兴地玩儿”, “他是很聪明的”는 가능하나, “*真好的天气”,“*真高兴地玩儿”, “*他是真聪明的”는 모두 비문이다. 반면 “真漂亮极了(너무 예쁘다)”,“真把我气死了(날 너무 화나게 해)”와 같이 ‘真’은 “……极了”,“……死了”,“……要命”등의 정도보어와 공기할 수 있고 또한 ‘把’자와도 공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很’은 불가능하다(“*很漂亮极了”,“*很把我气死了”). 이에 본고는 ‘真’이 왜 관형어와 부사어, 그리고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와 ‘真’이 왜 “……极了”류의 정도보어 및 ‘把’자와 공기하는가를 화용,인지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원인을 설명하여 ‘很’과 ‘真’의 화용·인지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지금까지 오롯이 ‘很’과 ‘真’을 논제로 하여 양자의 차이점을 기술한 선행연구로는 宋玉柱(1995)〈非修饰性“副+形”结构〉, 来思平(1999)〈现代汉语副词“真”和“很”的用法辨析〉, 吴冬美·王平平(2008)〈“真”、“很”、“太”的多角度分析〉 , 陈颖·蔡峥(2008)〈小议副词“真”和“很”〉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연구는 모두 ‘很’과 ‘真’의 용법차이를 ...
지금까지 오롯이 ‘很’과 ‘真’을 논제로 하여 양자의 차이점을 기술한 선행연구로는 宋玉柱(1995)〈非修饰性“副+形”结构〉, 来思平(1999)〈现代汉语副词“真”和“很”的用法辨析〉, 吴冬美·王平平(2008)〈“真”、“很”、“太”的多角度分析〉 , 陈颖·蔡峥(2008)〈小议副词“真”和“很”〉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연구는 모두 ‘很’과 ‘真’의 용법차이를 비교하여 기술하였을 뿐, 왜 ‘真’이 관형어, 부사어,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에 대한 이유를 명시하지는 않았다. 특히 宋玉柱(1995)는 “真A”가 “很A“,“非常A”와는 달리 문장에서 관형어와 “~地V형” 부사어로 사용될 수 없고,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음을 지적하고, ‘真’과 같이 술어로만 사용되는 부사 ‘的确’,‘实在’,‘确实’,‘果然’,‘当然’,‘肯定’,‘一定’등을 “唯谓性副词”라고 명명하였지만, 이 또한 현상만을 제시할 뿐 왜 이러한 부사들이 술어로만 사용되고 관형어나 “~地V형” 부사어,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真’의 특이한 어법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真’이 왜 관형어와 부사어, 그리고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를 화용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 아울러 ‘真’이 왜 “……极了”류의 정도보어 및 ‘把’자와 공기하는가를 인지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교수자는 양자의 용법상의 차이를 숙지하고 이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전달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현대중국어 어법 연구에 있어서, 통사분석 만으로는 그 차이점을 설명할 수 없는 유사어법항목에 대해, 화용적· 인지적 관점에서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재해석하고 결과를 유추해 나가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중국어 교육과 어법연구의 방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기대해 본다.
연구요약
<목차> 1. 문제의 제기 2. ‘很’과 ‘真’의 의미와 용법 2.1 ‘很’과 ‘真’의 의미 비교 2.2 ‘很’과 ‘真’의 용법 비교 3. ‘很’과 ‘真’의 화용적 특징 3.1 ‘很A’와 ‘真A’의 정보구조 3.2 “很A的N”,“很A地V”,“是……的”의 대비초점 3.3 “*真好的天气”, “*真高兴地玩儿”, “*他是真聪明的”의 ...
<목차> 1. 문제의 제기 2. ‘很’과 ‘真’의 의미와 용법 2.1 ‘很’과 ‘真’의 의미 비교 2.2 ‘很’과 ‘真’의 용법 비교 3. ‘很’과 ‘真’의 화용적 특징 3.1 ‘很A’와 ‘真A’의 정보구조 3.2 “很A的N”,“很A地V”,“是……的”의 대비초점 3.3 “*真好的天气”, “*真高兴地玩儿”, “*他是真聪明的”의 오류 원인 4. ‘很’과 ‘真’의 인지적 특징 4.1 ‘很’의 객관성과 ‘真’의 주관성 4.2 “……极了”의 주관성과 “把”자의 주관성 4.3 “很漂亮极了”와 “*很把我气死了”의 오류 원인 5. 나오는 말
본고는 ‘真’의 특이한 어법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真’이 왜 관형어와 부사어, 그리고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를 화용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 아울러 ‘真’이 왜 “……极了”형의 정도보어 및 ‘把’자와 공기하는가를 인지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现代汉语八百词》와 《现代汉语虚词例释》에 소개되어 있는 ‘很’과 ‘真’의 사전적 의미와 용법을 비교하여 ‘很’과 ‘真’이 互用되는 경우와 互用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真’이 관형어, 부사어,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 이유를 화용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여 “*真好的天气”,“*真高兴地玩儿”,“*他是真聪明的”의 오류 원인을 설명하고, 제4장에서는 ‘很’이 “……极了”형 정도보어와 ‘把’자와 공기할 수 없는 이유를 인지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여 “很漂亮极了”와 “很把我气死了”의 오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양자의 분석을 통해 도출해 낸 결과를 바탕으로 ‘很’과 ‘真’의 화용적 특징과 인지적 특징을 각각 ‘신정보 표지와 구정보 표지’, ‘객관성과 주관성’으로 표명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고는 지금까지 중국어 교실 수업에서 자주 혼동을 일으키는 ‘很’과 ‘真’의용법을 비교하여, 왜 ‘很’은 관형어구조, 부사어구조, “是……的”문의 내부요소로 사용가능한데 ‘真’은 사용할 수 없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화용적 관점에서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
본고는 지금까지 중국어 교실 수업에서 자주 혼동을 일으키는 ‘很’과 ‘真’의용법을 비교하여, 왜 ‘很’은 관형어구조, 부사어구조, “是……的”문의 내부요소로 사용가능한데 ‘真’은 사용할 수 없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화용적 관점에서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신정보 “很A”는 “很A的N”,“很A地V”,“是……很A的”내부구조의 대비초점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구정보 “真A”는 대비초점으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今天是真好的天氣”,“*他們真高興地玩兒”,“*他是真聰明的”의 오류원인은 정보구조와 초점의 불일치현상 때문임을 밝혔다. 또한 ‘真’은 “……極了”류와 ‘把’자문과 공기할 수 있고 ‘很’은 “……極了”류와 ‘把’자문과 공기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인지적 관점에서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주관성을 가지고 있는 ‘真’ 은 주관성을 지니고 있는 “……極了류”,‘把’자문과 공기할 수 있으나, 객관성을 가지고 있는 ‘很’은 ‘상충되는 감정이입 초점 금지’원칙에 위배되어 주관성을 지니는 “……極了류”,‘把’자문과 호응할 수 없으므로 “她真漂亮極了”,“他真把我氣死了"는 성립하지만, “*她很漂亮極了”,“*他很把我氣死了”는 오류임을 밝혔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중국어는 초점자리에는 구정보가 올 수 없다는 것과, 한 문장 내에 객관성과 주관성이라는 두 가지 감정이입이 상충하면 담화문법에 위배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자주 혼동이 일어나는 ‘很’과 ‘真’의 용법을 비교하여 양자의 차이를 밝히고, 나아가 ‘很’은 가능한데 ‘真’은 사용할 수 없는 또는 '真‘은 가능한데 ‘很’은 사용할 수 없는 이유를 화용적·인지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很’과 ‘真’ 용법의 오류원인을 ...
본 논문은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자주 혼동이 일어나는 ‘很’과 ‘真’의 용법을 비교하여 양자의 차이를 밝히고, 나아가 ‘很’은 가능한데 ‘真’은 사용할 수 없는 또는 '真‘은 가능한데 ‘很’은 사용할 수 없는 이유를 화용적·인지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很’과 ‘真’ 용법의 오류원인을 분석하고, 양자의 화용·인지적 특징을 고찰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고는 ‘真’이 왜 관형어와 부사어, 그리고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와 ‘真’이 왜 “……极了”류의 정도보어 및 ‘把’자와 공기하는가를 화용,인지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원인을 설명하여 ‘很’과 ‘真’의 화용·인지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신정보 “很A”는 “很A的N”,“很A地V”,“是……很A的”내부구조의 대비초점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구정보 “真A”는 대비초점으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今天是真好的天氣”,“*他們真高興地玩兒”,“*他是真聰明的”의 오류원인은 정보구조와 초점의 불일치현상 때문임을 밝혔다. 또한 ‘真’은 “……極了”류와 ‘把’자문과 공기할 수 있고 ‘很’은 “……極了”류와 ‘把’자문과 공기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인지적 관점에서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주관성을 가지고 있는 ‘真’ 은 주관성을 지니고 있는 “……極了류”,‘把’자문과 공기할 수 있으나, 객관성을 가지고 있는 ‘很’은 ‘상충되는 감정이입 초점 금지’원칙에 위배되어 주관성을 지니는 “……極了류”,‘把’자문과 호응할 수 없으므로 “她真漂亮極了”,“他真把我氣死了"는 성립하지만, “*她很漂亮極了”,“*他很把我氣死了”는 오류임을 밝혔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중국어는 초점자리에는 구정보가 올 수 없다는 것과, 한 문장 내에 객관성과 주관성이라는 두 가지 감정이입이 상충하면 담화문법에 위배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지금까지 오롯이 ‘很’과 ‘真’을 논제로 하여 양자의 차이점을 기술한 선행연구로는 宋玉柱(1995)〈非修饰性“副+形”结构〉, 来思平(1999)〈现代汉语副词“真”和“很”的用法辨析〉, 吴冬美·王平平(2008)〈“真”、“很”、“太”的多角度分析〉 , 陈颖·蔡峥(2008)〈小议副词“真”和“很”〉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연구는 모두 ‘很’과 ‘真’의 용법차이를 비 ...
지금까지 오롯이 ‘很’과 ‘真’을 논제로 하여 양자의 차이점을 기술한 선행연구로는 宋玉柱(1995)〈非修饰性“副+形”结构〉, 来思平(1999)〈现代汉语副词“真”和“很”的用法辨析〉, 吴冬美·王平平(2008)〈“真”、“很”、“太”的多角度分析〉 , 陈颖·蔡峥(2008)〈小议副词“真”和“很”〉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연구는 모두 ‘很’과 ‘真’의 용법차이를 비교하여 기술하였을 뿐, 왜 ‘真’이 관형어, 부사어,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에 대한 이유를 명시하지는 않았다. 특히 宋玉柱(1995)는 “真A”가 “很A“,“非常A”와는 달리 문장에서 관형어와 “~地V형” 부사어로 사용될 수 없고,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음을 지적하고, ‘真’과 같이 술어로만 사용되는 부사 ‘的确’,‘实在’,‘确实’,‘果然’,‘当然’,‘肯定’,‘一定’등을 “唯谓性副词”라고 명명하였지만, 이 또한 현상만을 제시할 뿐 왜 이러한 부사들이 술어로만 사용되고 관형어나 “~地V형” 부사어,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真’의 특이한 어법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真’이 왜 관형어와 부사어, 그리고 “是……的”문에 사용될 수 없는지를 화용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 아울러 ‘真’이 왜 “……极了”류의 정도보어 및 ‘把’자와 공기하는가를 인지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교수자는 양자의 용법상의 차이를 숙지하고 이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전달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현대중국어 어법 연구에 있어서, 통사분석 만으로는 그 차이점을 설명할 수 없는 유사어법항목에 대해, 화용적· 인지적 관점에서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재해석하고 결과를 유추해 나가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중국어 교육과 어법연구의 방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