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학교폭력사건 처리과정에 개입한 전문상담교사의 경험연구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
Study on Focus Group Interview with School Counselors: Experiences on School Viole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8024724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홍지영
연구수행기관 전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학교폭력사건의 처리과정에 개입한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사건 처리과정에서의 역할 및 대처방식, 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효과적 대안, 학교상담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대안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들을 학교별(초중고)로 나누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보다 심도 깊고 다양한 경험과 대안들을 탐색할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교폭력사건의 효과적인 해결 전략을 제시하고, 아울러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및 학교상담의 효과적 대안 등을 모색하는데 주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사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조망과 대처, 이에 대한 평가 및 대안을 분석함으로서 학교폭력사건의 효과적인 해결과정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초중고등학교에 따라 학생들의 발달단계가 다르고, 학교폭력의 양상도 다르다. 이러한 학교별 학교폭력사건에 대해 학교현장에서 직접 상담뿐 아니라 자문, 조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실무자들의 관점과 평가는 학교별로 차별화된 해결전략을 마련하기에 유용할 것이다. 이는 곧 사회 문제화 된 학교폭력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상담 모형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문상담교사가 학교폭력사건 처리과정에 개입하는 실제상황을 심도 깊게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 학교상담 모형개발과 관련해서 논쟁점으로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들, 즉 전문상담교사의 역할모형, 전문상담교사의 업무환경 및 직위, 전문상담교사의 양성과정 및 자격 등에 대해 국내 학교문화와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시사점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가 정체성을 찾아가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역할 혼란, 불안정한 지위, 학교 및 사회적 지원체계의 협조 부족, 상담에 대한 잘못된 인식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인해 자신들의 직무에 만족하지 못하는 전문상담교사들에게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을 규정하고, 이에 필요한 역량을 제시하며, 학교상담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으로서 궁극적으로는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도록 도와줄 것이다. 또한 자신이 갖춰야 할 자질을 분명히 인지하고 노력함으로써 전문상담자로서의 책임감과 자신감을 가지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연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후속연구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예를 들어 학교 폭력을 경험한 피해 학생과 그 부모, 가해 학생과 그 부모, 학교운영 책임자, 전문기관 종사자 등의 개인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해 볼 필요가 있겠다. 학교폭력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나아가 사회전체의 문제로 보고 개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에(오인수, 2010, pp. 312), 학교폭력사건에 관여하는 모든 구성원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탐색하고 종합적인 관점과 다양한 해결 전략을 가지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학교폭력사건의 처리과정에 개입한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사건 처리과정에서의 역할 및 대처방식, 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효과적 대안, 학교상담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대안 등을 심도 깊게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사건의 처리과정에 개입한 경험이 있으며, 학교상담경험이 3년 이상인 전문상담교사를 학교별(초중고)로 6-10명 정도로 구성하여, 3개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할 것이다.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본 연구자를 포함해서 3명으로 구성된 연구팀과 2명으로 구성된 감수팀이 분석에 참여할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사건을 피해자, 가해자, 교사, 학부모, 학교의 입장을 고려하여 보다 전체적인 조망에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학교 문화와 실정에 맞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을 밝히고, 나아가 전문상담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과 자질이 무엇인지, 전문상담교사가 그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위해 학교와 사회가 지원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해 실제적인 지침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전문상담교사의 경험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학교폭력에 대해 각 학교에 맞는 차별화된 구체적인 전략을 세우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학교폭력 문제의 효과적인 접근방식을 모색하고, 국내 학교상담 모형을 개발하는 후속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문상담교사가 개입했던 학교폭력 사건은 어떤 것이었나?
    2. 학교폭력사건의 처리과정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은 무엇이었나?
    3. 전문상담교사가 학교폭력 사건의 처리과정에서 개입하면서 경험한 어려움은 무엇인가?
    4. 학교폭력 사건의 효과적인 접근을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
    5. 학교상담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가 학교폭력사건의 처리과정에 개입했던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전문상담교사(초등학교 5명, 중학교 5명, 고등학교 4명)들이 참여한 학교별 3개의 포커스그룹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팀과 감수팀이 자료 분석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학교폭력사건, 학교폭력사건의 개입, 학교상담자의 역할, 개입에 대한 효과, 학교폭력사건 해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폭력사건 및 학교상담에 대한 제안의 6개 영역과 23개의 범주, 초등학교 70개, 중학교 74개, 고등학교 8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교상담자의 개입방법은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분리, 상담적 접근, 서로의 입장 이해, 반성적 자기인식, 상황에 대한 현실적 인식, 다른 교사, 외부기관과 협력, 피해학생 일시적 보호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본적인 업무환경의 열악함, 관련 학생 및 학부모의 성격특성 및 태도로 인한 개입의 어려움, 중재역할에 대한 부담, 제도적 개입의 효과가 미비함 등의 어려움을 느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들은 상담가, 자문가, 조정가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효과적인 개입으로는 학생들을 지지해주고, 인지,정서, 행동의 변화를 돕는 상담적 접근, 부모, 교사, 친구, 전문상담기관, 병원 등의 주변의 자원을 활용함, 자발적인 합의를 끌어내는 중재개입이 나타났다. 반면 비효과적인 개입으로는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을 준비없이 대면시킴, 일방적인 가해학생 처벌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폭력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담교사의 인식과 자질, 관련 교사, 학부모의 태도 및 역할, 행정 및 관리제도, 시기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폭력사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고, 전문상담교사의 정체성 확립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나아가 학교폭력 및 학교상담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school counselors who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Fourteen present counseling teachers-5 elementary school, 5 middle school, and 4 high school–were interviewed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ir schools. For more objective analysis, a research team (three researchers including the author) and two observers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drew 6 areas (school violence in which involved by the counseling teachers, involvement of school violence, effectiveness of involvement, factors which effected o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school violence, and suggestions on school violence and school counseling), 23 categories, and 70 concepts for elementary school, 74 for middle school, and 84 for high school. First, the result shows that the counseling teachers' methods of involvement are separation of students, victims and perpetrators, counseling approach, understanding each others, reflective self-awareness, realistic understanding on condition, cooperation with other teachers and institutes, and temporal protection of victims. During the process, they felt difficulties due to their poor job condition, difficult involvement due to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related students and parents, strain due to their coordinating roles, and low effectiveness of institutional involvement. Second, it shows that they executed multi-functions, e.g., counselors, consultants, and coordinators. Third, it shows that the effective methods of involvement are counseling approach, using resources from surroundings, and drawing active agreement; the uneffective methods are one-way punishment and unprepared involvement. Fourth, it shows that school violences were affected by awareness and ability of counseling teachers, attitudes and roles of related teachers and parent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iming factors, and developmental factors, etc. This study could help to find out more effective methods of involvement of school violence, to develop educational system for counseling teachers' identity and careers, and to complement policy and system related to school viol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가 학교폭력사건의 처리과정에 개입했던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전문상담교사(초등학교 5명, 중학교 5명, 고등학교 4명)들이 참여한 학교별 3개의 포커스그룹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팀과 감수팀이 자료 분석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학교폭력사건, 학교폭력사건의 개입, 학교상담자의 역할, 개입에 대한 효과, 학교폭력사건 해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폭력사건 및 학교상담에 대한 제안의 6개 영역과 23개의 범주, 초등학교 70개, 중학교 74개, 고등학교 8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교상담자의 개입방법은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분리, 상담적 접근, 서로의 입장 이해, 반성적 자기인식, 상황에 대한 현실적 인식, 다른 교사, 외부기관과 협력, 피해학생 일시적 보호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본적인 업무환경의 열악함, 관련 학생 및 학부모의 성격특성 및 태도로 인한 개입의 어려움, 중재역할에 대한 부담, 제도적 개입의 효과가 미비함 등의 어려움을 느꼈다. 둘째, 학교상담자들은 상담가, 자문가, 조정가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효과적인 개입으로는 상담적 접근, 주변의 자원을 활용, 자발적인 합의를 끌어냄, 비효과적인 개입으로는 일방적 처벌, 준비되지 않은 개입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폭력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담교사의 인식과 자질, 관련 교사, 학부모의 태도 및 역할, 행정 및 관리제도, 시기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폭력사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고, 학교상담자의 정체성 확립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나아가 학교폭력 및 학교상담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학교폭력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학교폭력은 개인적, 공동체적 불안과 폭력을 쉽게 생각하는 문화에서 발생하는 사건으로서 해결을 위한 개입이 개인적 개입뿐 아니라, 학교 및 사회 공동체를 대상으로하는 총체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유형(초⦁중⦁고)별로 학교폭력의 유형이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했고, SNS를 통한 사이버 폭력 등은 공통적인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폭력의 구체적인 특성 및 실태는 상담교사 교육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폭력사건 개입과정의 어려움으로는 관련학생과 학부모의 취약한 성격특성이나 갈등으로 인해 깊이 있는 개입을 못함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기상황에 노출된 학생과 학부모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학교상담자는 상담가, 자문가, 조정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특히 중재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역할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상담자 교육 내용에 적극 반영되어야하며, 나아가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지위의 보장 등이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개입의 효과성을 살펴보면, 효과적인 개입은 학생들을 믿고 지지해줌, 인지, 정서, 행동의 변화를 돕는 상담적 접근, 자발적인 합의를 이끌어내는 중재적 개입, 다양한 인적 자원(부모, 다른 교사, 또래친구) 및 전문기관(상담센터, 병원 등)과의 연계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효과적인 개입은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을 준비없이 섣부르게 대면시켜 중재하거나 일벙적으로 개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해자에 대한 처벌 중심적인 개입은 근본적인 문제해결이나 관계의 회복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입의 효과성에 대한 검토는 전문상담교사들에게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학교폭력 사건, 전문상담교사, 포커스그룹 인터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