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청소년 개인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의 활용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과 경험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unselors on the Use of Adolescent Clients’ Strengths and Assets in Individual Counseling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8022402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장유진
연구수행기관 원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상담학의 태동기부터 내담자의 강점(strengths)과 자원(assets)을 활용하는 것은 상담에서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져 왔다(Meara & Myers, 1999, p. 40; Gelso & Woodhouse, 2003, p. 171). 특히 발달적으로 중대한 시기에 놓여져 있는 청소년들을 상담하는데 있어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은 상담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고 그들의 잠재가능성을 실현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 여겨져 왔다(Keyes & Lopez, 2002, p. 45). 그러나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상담적 개입들에 관한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지금까지 개발되고 실시되어 효과성 검증이 이루어진 강점 중심의 상담적 개입은 대부분 구조화된 프로그램 형태의 집단상담을 기반으로 한 것이어서 개인상담 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개입전략과 방법에 대한 직접적인 시사점을 주지 못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상담을 위해 제안된 강점 중심의 개인상담 모델들(Smith, 2006, pp. 13-79; Whitmarsh & Mullette, 2009, pp. 144-159)은 개념적인 틀만 제공해 줄 뿐 청소년 상담자들이 실제로 참고하고 적용할 만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모델의 실제적 유용성을 검토한 선행연구 역시 수행되지 못했다. 셋째, 청소년상담에서 강점 중심의 접근이 핵심적인 상담과정이라는 점에 대한 인식은 뚜렷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상담자들이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어느 정도로 또한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은 어떤지, 또한 문제 중심적 상담과 강점 중심적 상담이 효과성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다고 지각하는지 등에 대해 선행연구는 아무런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에서는 강점 중심의 상담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맥락적인 요인(contextual factors)에 대한 탐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연구문제 1. 상담자들은 개인상담에서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어떤 인식(의미와 중요성)을 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상담자들은 개인상담에서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어떻게 파악하는가?

    연구문제 3. 상담자들은 개인상담에서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연구문제 4. 상담자들은 개인상담에서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 관계형성, 상담과정, 상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가?

    연구문제 5. 상담자들은 개인상담에서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파악하고 활용하는데 있어 어떤 맥락적인 요인(예, 호소문제 유형, 자발성/비자발성, 내담자 특징, 외적 장애요인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 기대효과
  •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개인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 기존의 국외 상담모델(Smith, 2006, pp. 13-79; Whitmarsh & Mullette, 2009, pp. 144-159))이 한국 문화와 청소년 상담의 실제를 고려할 때 실용적 타당성이 있는지를 검증하는 자료를 제공하고, 수정, 보완을 위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강점 기반의 한국적 청소년상담 모델이 부재하여 상담자 훈련 과정에서 외국의 상담모델들이 문화적 타당성의 증거 없이 교육되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실증자료는 한국 청소년에 적합한 상담전략과 기법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청소년상담 경험을 통해 형성된 상담자의 인식과 그들의 실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줄여 나가야 한다는 상담분야 전반의 요구(Rourke, 1995, p. 260)에 대한 반응이기도 하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상담에 종사하고 있는 청소년 상담자, 전문상담교사, 일반 교사 등에게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을 진행할 때 그들의 강점과 자원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다. 청소년상담은 대부분 부모나 교사의 의뢰에 의해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현장에 있는 청소년상담자들이 참고할 만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해 주는 연구물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더구나 청소년상담 이론이나 모델들이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징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성인상담 이론과 모델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상담자들은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자신의 경험을 통해 스스로 상담의 방법을 수정해 나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을 진행하는 상담자들에게 자신의 상담방법을 성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경험이 풍부한 상담자들로부터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접함으로써 자신의 상담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는 강점 기반 상담(strength-oriented counseling)과 상담의 효과성 혹은 성과의 관계를 검토하는 후속 연구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는 강점 기반의 상담과정에 대한 범주(categories)나 코딩 체계(coding systems)를 만드는 내용적 토대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담자의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 활용 정도를 평가하는 측정도구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대단위 표집의 양적 연구를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즉, 강점 기반의 상담이 희망이나 긍정적 정서와 같은 청소년 내담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지, 작업동맹이나 상담에 대한 동기를 높여주는지 등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연구문제 5)를 고려해 볼 때 강점 기반의 상담이 어떤 상황 혹은 어떤 종류의 청소년 내담자에게 효과적인지를 보여주는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긍정심리학적 상담개입에서 조절(moderating) 혹은 맥락(contextual) 요인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를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 및 보급을 통해 청소년상담 현장에서 청소년들의 강점과 자원을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분위기가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담에서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핵심적인 치료 과정이라는 점은 증상이나 병리 위주의 치료를 진행하는 유사 조력분야(예, 임상심리, 정신의학)와는 구별되는 상담 고유의 정체성이라는 점은 상담학의 초기부터 상담학자들이 동의해 온 명제이다(Kaczmarek, 2005, p. 91). 더구나 최근 긍정심리학 운동의 영향으로 증상이나 병리보다는 강점이나 자원에 초점을 두어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내담자의 안녕감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내담자가 제시한 호소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점 중심의 상담에 대한 실증연구와 그 결과로 도출될 수 있는 실제적 지침이 부재하여 문제초점적인 상담이 상담자 훈련과 상담실제에서 매우 지배적이었다(Gelso & Woodhouse, 2003, p. 184).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보급됨으로써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의 활용이 갖는 치료적 효용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될 것이라 생각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풍부한 청소년 상담경험을 토대로 주제에 대해 통찰력 있는 안목을 제시할 수 있는 12명의 전문가급의 상담자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할 것이다. 연구문제와 동일하게 인터뷰에서는 (a)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의 활용에 대한 인식, (b)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파악하는 방법, (c)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 (d)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의 활용이 상담관계, 과정,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e)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의 활용 시 고려해야 하는 맥락적 요인 등 5가지 주제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질 것이다.

    청소년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상담실제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어느 정도로,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또한 이러한 활용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검토한 선행연구가 없으므로 주제들을 도출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이하 CQR)을 사용하고자 한다. CQR은 개방형 질문과 반구조화된 (semistructured) 인터뷰로 참가자들의 반응을 유도하고, 자료분석 및 해석 과정에서 여러 사람의 관점을 반영하며, 연구자들 간의 합의(consensus)를 중시하는 질적 분석 기법이다(Hill et al., 2005, pp. 196-197).

    인터뷰는 전화로 진행되며 모든 인터뷰 내용은 녹음되어 분석에 활용될 것이다. 분석은 (a) 영역 부호화, (b) 핵심개념 구성, (c) 교차분석 등의 주요과정을 거쳐 진행되며, 분석 과정에는 감수팀이 개입되어 연구팀의 분석결과가 원자료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토론을 통한 합의과정을 중시하는 CQR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팀과 감수팀은 비슷한 수준의 전문성을 가진 상담전문가들로 구성될 것이다. 인터뷰 내용의 심층성을 감안하여 인터뷰 참여자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결과보고서에 들어갈 인터뷰 내용에 대해 인터뷰 대상자가 직접 검토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이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상담자들이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 활용에 대해 어떤 인식과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었다. 12명의 전문상담자들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전화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여덟 가지 영역에 대한 범주와 주제가 도출되었다: (a) 강점과 자원 활용의 이유, (b) 강점과 자원을 중시하게 된 계기, (c) 강점과 자원 파악 방법, (d) 강점과 자원의 활용방법, (e) 관계형성 및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f)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g) 효과성 결정 요인, (h) 어려움 혹은 장애요인.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강점과 자원 활용이 내담자의 내적인 힘을 강화하고, 상담동기를 향상시키며,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적합하다는 측면에서 중요하고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상담자들은 상담에서 강점과 자원을 중시하게 된 계기에 대해 성공적인 상담경험, 학습을 통한 상담관점의 변화, 기존 상담접근 방법의 한계 직면, 외적 자원의 한계로 내적 강점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는 상황을 꼽았다.

    참여자들은 관찰, 면담 및 사전자료, 심리검사, 내담자와 협동작업, 상담자 개인의 노하우, 내담자를 향한 직접 질문, 내담자의 주변 인적자원 등의 경로를 이용하여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이렇게 파악된 강점과 자원을 상담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내담자의 내적 자원을 지지하며 내담자 및 주변인들의 시각을 변화시키는 데 주로 활용한다고 보고하였다.

    강점과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상담자의 입장에서는 상담관계 형성이 촉진되고 상담전략 구축이 수월해지는 이득이 있고, 내담자의 입장에서는 상담동기가 강화되고 자신에 대한 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긍정적 관계를 경험하는 기회를 부여받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강점과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내담자의 긍정적인 자아상이 형성되고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되며, 상담자 역시 자긍심이 향상되고 소진을 막을 수 있는 등 긍정적인 상담성과를 얻는다고 진술하였다.

    강점과 자원 활용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조건으로는 상담자의 긍정적인 인간관과 전문적인 상담역량 및 내담자의 상담 준비도와 자원 정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데 있어 전문상담자들은 다양한 어려움이나 장애요인을 경험하였는데, 그들은 내담자가 심각한 무기력 상태에 있거나 상담참여 의지가 부족하거나 부정적 자기상이 강하거나 심각한 정신병리를 가지고 있거나 진로성숙도가 낮거나 환경조건이 지나치게 열악한 경우에는 강점과 자원 중심의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위기상담과 같이 강점 중심 접근이 효과적이지 않거나, 내담자의 강점 발견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강점과 자원 활용이 제한적이며, 성과 위주의 상담환경과 강점 중심 상담에 대한 교육의 부재도 강점과 자원 활용에 있어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의견이 개진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who had been working with adolescents in individual counseling, using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Semi-structured, telephone interviews with 12 professional counselors revealed the categories and themes concerning the following eight domains: (a) why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was important, (b) what experience(s) stimulated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c) how strengths and assets were identified, (d) how strengths and assets were utilized, (e) how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affected counseling relationship and process, (f) how it affected counseling outcomes, (g) what determined its effectiveness, and (h) what difficulties and obstacles were encountered.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solidified a client’s ego-strength and his(her) willingness to engage in counseling, and asserted that it was a proper intervention give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m,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was facilitated through successful prior counseling experience, change in perspectives on counseling, awareness of problems in existing counseling approaches, and circumstances requiring the focus on internal strengths.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identified the adolescent client’s strengths and assets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and available data, direct questions, and significant others’ reports. They used the identified strengths and assets to establish counseling goals and develop strategies,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encouragement to the client, and to change the client’s own and his(her) significant others’ perspectives on the client.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was found to be beneficial for both counselor and client in that it facilitated alliance formation, helped the counselor develop counseling strategies, strengthened the client’s involvement in counseling process, positively changed the client’s self-concept, and provided the client with a positive relationship. Participants also witnessed that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brought about positive counseling outcomes, including the client’s positive self-image and improved problem solving skills, the counselor’s increased self-efficacy, and his(her) enhanced ability to avoid burnout.

    Responses from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 conditions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adolescent client’s strengths and assets included the counselor’s positive viewpoint on human nature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the client’s readiness for counseling and richness of his(her) social resources.

    Finally, professional counselors pointed out that the strength-based counseling did not work for certain types of clients; those who felt extreme helplessness, showed the lack of willingness to engage in counseling, had negative self-image, struggled with sever symptoms of psychopathology, had a low level of career maturity, or had severe environmental barriers. In addition, they mentioned that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should be cautioned in case of crisis counseling and for the clients whose strengths and assets are hardly identified. They also perceived pressure to produce immediate outcomes and lack of counselor training in strength-based counseling approaches as the important barriers to the use of a client’s strengths and asse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이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상담자들이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 활용에 대해 어떤 인식과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전화 인터뷰는 상담관련 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하면서 최소 3년 이상의 청소년 상담 경력을 가지고 있는 12명의 전문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참여자들은 강점과 자원 활용이 내담자의 내적인 힘을 강화하고, 상담동기를 향상시키며,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적합하다는 측면에서 중요하고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상담자들은 상담에서 강점과 자원을 중시하게 된 계기에 대해 성공적인 상담경험, 학습을 통한 상담관점의 변화, 기존 상담접근 방법의 한계 직면, 외적 자원의 한계로 내적 강점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는 상황을 꼽았다. 참여자들은 관찰, 면담 및 사전자료, 심리검사, 내담자와 협동작업, 상담자 개인의 노하우, 내담자를 향한 직접 질문, 내담자의 주변 인적자원 등의 경로를 이용하여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이렇게 파악된 강점과 자원을 상담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내담자의 내적 자원을 지지하며 내담자 및 주변인들의 시각을 변화시키는 데 주로 활용한다고 보고하였다. 강점과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상담자의 입장에서는 상담관계 형성이 촉진되고 상담전략 구축이 수월해지는 이득이 있고, 내담자의 입장에서는 상담동기가 강화되고 자신에 대한 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긍정적 관계를 경험하는 기회를 부여받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강점과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내담자의 긍정적인 자아상이 형성되고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되며, 상담자 역시 자긍심이 향상되고 소진을 막을 수 있는 등 긍정적인 상담성과를 얻는다고 진술하였다. 강점과 자원 활용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조건으로는 상담자의 긍정적인 인간관과 전문적인 상담역량 및 내담자의 상담 준비도와 자원 정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데 있어 전문상담자들은 다양한 어려움이나 장애요인을 경험하였는데, 그들은 내담자가 심각한 무기력 상태에 있거나 상담참여 의지가 부족하거나 부정적 자기상이 강하거나 심각한 정신병리를 가지고 있거나 진로성숙도가 낮거나 환경조건이 지나치게 열악한 경우에는 강점과 자원 중심의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위기상담과 같이 강점 중심 접근이 효과적이지 않거나, 내담자의 강점 발견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강점과 자원 활용이 제한적이며, 성과 위주의 상담환경과 강점 중심 상담에 대한 교육의 부재도 강점과 자원 활용에 있어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의견이 개진되었다. 영역과 범주별 보다 상세한 주제는 본문에 요약, 정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다단계에 걸친 CQR 분석을 통해 확인된 연구결과를 영역별 범주들을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 개인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이유에 대한 참여자들의 응답내용에서 (a) 내담자의 내적인 힘 강화, (b) 상담동기 향상, (c) 상담대상의 특성 반영과 같은 세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강점과 자원을 중시하게 된 계기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a) 성공적인 상담성과, (b) 상담자의 상담관점 변화, (c) 기존 상담접근 방법의 한계 직면, (d) 내담자의 외적 상황 고려 등의 네 가지 범주가 확인되었다.

    개인상담 시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참여자들의 응답은 (a) 관찰, 면담 및 자료를 통해 파악, (b) 심리검사 활용, (c) 내담자와 협동작업을 통해 파악, (d) 상담자 개인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파악, (e) 내담자에게 직접 질문하여 파악, (f) 내담자의 주변인을 통해 파악 등의 여섯 가지 범주로 나뉘어졌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파악된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실제 상담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a) 상담목표와 전략에 활용, (b) 내담자의 내적 자원 지지, (c) 내담자 및 주변인들의 관점 변화 유도라는 세 가지 범주가 나타났다.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청소년 내담자와의 관계형성 및 상담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참여자들의 의견에서 (a) 상담관계 형성 촉진, (b) 상담동기 강화, (c) 긍정적 관계경험 제공, (d) 내담자의 시각 변화 유도, (e) 상담전략 구축에 기여와 같은 다섯 가지 범주가 등장하였다.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대한 반응은 (a) 긍정적인 자아상 형성, (b) 상담자의 자긍심 향상, (c) 상담자의 소진 예방, (d) 내담자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같은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상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어떤 조건이나 선행요인이 전제되어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a) 상담자의 긍정적 인간관, (b) 상담자의 전문적 상담역량, (c) 내담자의 상담 준비도, (d) 내담자의 자원 정도와 같이 네 가지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데 있어 부딪히는 어려움이나 장애요인을 묻는 질문에 대해 참여자들은 모든 질문 중 가장 다양한 반응을 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 (a) 심각한 수준의 무기력 상태의 내담자, (b) 상담 참여 의지가 부족한 내담자, (c) 강점 중심 접근이 효과적이지 못한 상황, (d) 환경조건이 열악한 내담자, (e) 정신과적 증상이 심한 내담자, (f) 부정적 자기상이 강한 내담자, (g) 강점 중심 접근에 대한 상담자 교육의 부재, (h) 상담환경의 문제, (i) 강점을 찾기 어려운 내담자, (j) 진로성숙도가 낮은 내담자.

    (2) 활용방안(기대효과)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개인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 기존의 국외 상담모델(Smith, 2006, pp. 13-79; Whitmarsh & Mullette, 2009, pp. 144-159)이 과연 한국의 상담 현장에서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상담에 종사하고 있는 청소년 상담자, 전문상담교사, 일반 교사 등에게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을 진행할 때 그들의 강점과 자원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강점 기반 상담과 상담의 효과성 혹은 성과의 관계를 검토하는 후속 연구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는 강점 기반의 상담과정에 대한 범주나 코딩 체계를 만드는 내용적 토대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 및 보급을 통해 청소년상담 현장에서 청소년들의 강점과 자원을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분위기가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청소년, 개인상담, 강점과 자원, 합의적 질적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