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류 및 한국 이미지 국가별 차이 분석 - 심리적 거리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n Country Differences in Korea Wave and Korean Image with Psychic Dista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1014612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한충민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장르 면에서 다양화되고 있고 있으며, 특히 지리적으로 아시아 지역으로 한정되었던 현상이 글로벌화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한국의 국가이미지도 개선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한류와 한국 이미지의 글로벌화 추세에 따라 새로운 학술적인 관심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즉 한류와 한국 이미지가 국가별로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가에 관한 이론적 설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국가 간의 차이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특히 실증적 연구는 거의 전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 간 차이를 국제경영학 이론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국제경영학 분야에서 국가 간 차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변수로서 심리적 거리 (psychic distance)가 제시될 수 있다. 심리적 거리는 Johanson and Wiedersheim-Paul (1975), Johanson and Vahlne (1977)의 연구 등, Uppsala 학파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이루어져 현대 국제경영학의 주요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Sousa and Lages 2011). 심리적 거리는 그 후 다양한 학자에 의해 문화적 거리, 지리적 거리 그리고 경제적 거리로 구체화되고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문화적 거리, 지리적 거리 그리고 경제적 거리로 조작화된 심리적 거리을 통해 한류 및 한국 이미지의 국가 간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의 가장 큰 기여도는 한류의 글로벌 확산 유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어떤 특성을 가진 국가에서 상대적으로 한류 및 한국 이미지가 좋은가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학문적 영역으로는 국제경영학적 이론을 통해 한류와 국가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마케팅, 인류학 및 광고홍보학 분야에 대한 공헌도도 어느 정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 문헌에 수록된 학문 분야도 다양하여 학제간 지식 확산에도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사회적 기여도>
    한류와 국가 이미지의 국가별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우선 한류의 글로벌화 전략과 국가홍보 전략의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한류 확산과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어떤 국가에 집중해야 하는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으로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국가별 차별화된 한류 및 국가홍보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거리가 해외 소비자들의 한류 선호도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우리나라와의 심리적 거리에 따라 국가별 한류 선호도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론적 근거로서 우선 단순 노출 효과(mere exposure effect,Zajonc 1968; Tom, Nelson, Srzentic and King 2007)와 Tajfel (1982)의 사회 정체성 이론이 활용된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심리적 거리가 낮은 국가와 그 대상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친근감과 유사성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호의적인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검증한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심리적 거리는 선행 연구에서와 같이 문화적 거리, 지리적 거리 및 경제적 거리로 조작화하여 검증할 계획이다. 심리적 거리 측정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다양한 2차 자료를 활용한다. 한편, 결과 변수로 국가별 한류 선호도와 한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 관한 자료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조사 자료를 확보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국제경영학 분야의 국가간 차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인 심리적 거리 이론을 통해 한류 및 한국의 국가이미지가의 국가별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거리를 문화적 거리, 지리적 거리 그리고 경제적 거리로 조작화하였다. 결과 변수인 한류 선호도와 한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표본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의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한편 심리적 거리에 대한 자료는 다양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문화적 거리는 국가별 한국 이미지의 차이를, 그리고 지리적 거리는 국가별 한류 선호도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 거리는 기존 이론과는 달리 경제적 거리가 클수록 한류와 한국 이미지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심리적 거리 이론이 한류와 한국의 국가이미지의 국가별 차이를 설명하는 데에 부분적으로 유용한 이론임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학술적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된다.
  • 영문
  •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cross-country differences in Korean wave and Korean country image with the psychic distance theory. As the antecedents, we draw various factors related to psychic distance with Korea. Specifically, we operationalized the psychic distance with various measures related to cultural,
    geographic, and economic distance from secondary data sources. As for the measurements of Korean wave and country image, we utilized survey data collected by Korean Trade and Investment Promotion Agency. Our findings show that cultural distance was a good predictor for differences in Korean wave across countries and geographic distance was for cross-country differences in Korean country image. As for the economic distance, in contrast to our expectation we found that Korean wave and country image were more favorable in countries with large distance from Korea.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psychic distance theory may be still partially valuable in explaining country differences in Korean wave and country image. Finally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국제경영학 분야의 국가간 차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인 심리적 거리 이론을 통해 한류 및 한국의 국가이미지가의 국가별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거리를 문화적 거리, 지리적 거리 그리고 경제적 거리로 조작화하였다. 결과 변수인 한류 선호도와 한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표본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의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한편 심리적 거리에 대한 자료는 다양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문화적 거리는 국가별 한국 이미지의 차이를, 그리고 지리적 거리는 국가별 한류 선호도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 거리는 기존 이론과는 달리 경제적 거리가 클수록 한류와 한국 이미지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심리적 거리 이론이 한류와 한국의 국가이미지의 국가별 차이를 설명하는 데에 부분적으로 유용한 이론임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학술적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의 가장 큰 기여도는 한류의 글로벌 확산 유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어떤 특성을 가진 국가에서 상대적으로 한류 및 한국 이미지가 좋은가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학문적 영역으로는 국제경영학적 이론을 통해 한류와 국가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마케팅, 인류학 및 광고홍보학 분야에 대한 공헌도도 어느 정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 문헌에 수록된 학문 분야도 다양하여 학제간 지식 확산에도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사회적 기여도>
    한류와 국가 이미지의 국가별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우선 한류의 글로벌화 전략과 국가홍보 전략의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한류 확산과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어떤 국가에 집중해야 하는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으로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국가별 차별화된 한류 및 국가홍보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심리적 거리, 한류, 국가이미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