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 文白異讀字를 통해 본 閩南 漳州方言의 歷史語音層次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ronological Strata of Minnan Zhangzhou Dialect through the Literary and Colloquial Readings in 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
본 연구의 대상인『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은 1832년 영국의 선교사이자 언어학자인 메더스트(Walter Henry Medhurst, 1796∼1857, 中國名 ‘麥都思’)가 지금으로부터 약 180년 전 19세기 초의 福建省 漳州方言을 수록한 字典이다. 저자 ...
본 연구의 대상인『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은 1832년 영국의 선교사이자 언어학자인 메더스트(Walter Henry Medhurst, 1796∼1857, 中國名 ‘麥都思’)가 지금으로부터 약 180년 전 19세기 초의 福建省 漳州方言을 수록한 字典이다. 저자 메더스트(Walter Henry Medhurst)는 19세기초 당시 서양에서 유행했던 비교역사언어학 지식을 바탕으로 민남어 관련 최초의 현대적인 자전을 만들었다. 이 자전은 전통적인 韻書에서 나타나는 漢代부터 약 2천 년간 전승되었던 ‘반절(反切)’의 표음방식에서 벗어나 라틴문자로 漳州 지역에서 사용하는 약 1만 2천 한자를 수록하고 있다. 그리고 여러 문헌에 나타나는 예문을 나열하면서 文讀을 꼼꼼히 모두 제시하였고 해당 글자에 白讀이 존재하면 또한 추가하였다. 당시 중국인이 편찬한『彙集雅俗通十五音』을 참조하여 신뢰성을 기하였듯이 이 자전은 19세기초의 장주방언을 가장 과학적이고 정확하게 기록한 자전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전에 나타난 당시 음운특징을 밝히는 작업을 넘어서 보다 세밀하게 文白異讀에 내재된 19세기초 장주방언의 역사어음층차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어 상고음에서 현대음까지의 음운변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장주방언이 속한 閩語에 대한 폭넓은 지식, 일반언어학의 음운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 등등이 요구되는 녹녹치 않은 작업이다. 본 연구는 중국 방언사에 있어서 19세기 서양인이 남긴 업적의 중요성을 한국 중국어학계에 소개하는 동시에 문백이독의 역사시대층차를 살펴봄으로써 閩語 音韻史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기대효과
한국의 본 연구 결과는 그간 홀시되었던 중국 방언 특히 閩語 연구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중국어 음운사나 방언사 연구에서 단순히 韻書에 나타나는 反切을 분류하고 음운구조를 재구하는 단계를 뛰어넘어 19세기 서양 언어학자가 편찬한『福建 ...
한국의 본 연구 결과는 그간 홀시되었던 중국 방언 특히 閩語 연구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중국어 음운사나 방언사 연구에서 단순히 韻書에 나타나는 反切을 분류하고 음운구조를 재구하는 단계를 뛰어넘어 19세기 서양 언어학자가 편찬한『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 에 나타나는 문백이독의 다양한 역사어음층차를 고찰함으로써 장주방언의 특징을 새로운 각도에서 심층적으로 살피는 계기가 될 것이다. 중국언어학계에서 관심밖에 있었던 19세기 서양인들이 편찬한 중국 방언 관련 자전을 연구한 결과물을 소개함으로써 대학원생과 학자들로 하여금 중국언어학 연구 주제의 폭을 더욱 넓히도록 이끌어주는 장을 마련해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간 한 韻書 연구에서 한 시대 한 지역의 음운체계를 재구한 한계를 넘어서 상고음에서 현대음까지 어음의 변화 층차를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하는 내용과 방법을 한국의 중국언어학계에서 교육하고 운용한다면 중국방언학사 연구에 一助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요약
『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은 각 한자에 대한 의미와 발음 그리고 용례를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字典類에 속한다. 본 자전은 무엇보다도 서양인 독자를 위해 편찬되었기 때문에 주 언어는 영어이며, 다만 표제자와 용례는 ...
『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은 각 한자에 대한 의미와 발음 그리고 용례를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字典類에 속한다. 본 자전은 무엇보다도 서양인 독자를 위해 편찬되었기 때문에 주 언어는 영어이며, 다만 표제자와 용례는 한자가 제시되었다. 본 字典에 열거된 한자의 文讀과 白讀에 대한 라 틴문자 발음기호는 19세기초 閩南方言의 支流인 漳州方言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손색이 없다. 본고는 성모, 운모, 성조 항목으로 나누어 상고음과 중고음 그리고 19세기초 漳州方言을 대표하는『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의 문백이독의 음가에 나타나는 다양한 어음층차 현상을 분석할 예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19세기 閩南 漳州方言의 특징은 물론 중국 방언사에 閩語의 독특한 어음 특징을 한 눈에 살필 수 있을 것이다. 寡聞인지 모르지만『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에 나오는 文白異讀字를 바탕으로 19세기초 당시의 漳州方言의 음운특징이나 역사어음층차에 대해 연구한 논저는 보지 못했다. 본 연구는 자전에 나타난 당시 음운특징을 밝히는 작업을 넘어서 보다 세밀하게 文白異讀에 내재된 19세기초 장주방언의 역사어음층차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어 상고음에서 현대음까지의 음운변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장주방언이 속한 閩語에 대한 폭넓은 지식, 일반언어학의 음운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 등등이 요구되는 녹녹치 않은 작업이다. 본 연구는 중국 방언사에 있어서 19세기 서양인이 남긴 업적의 중요성을 한국 중국어학계에 소개하는 동시에 문백이독의 역사시대층차를 살펴봄으로써 閩語 音韻史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메더스트(Walter Henry Medhurst)가 19세기 초 漳州方言에 관해 묘사한 字典인『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1832년,『福建』로 약칭)에 나오는 文白異讀字를 바탕으로 漳州方言의 歷史語音層次를 분석하였다.『福建』에는 약 1만 2천 개의 한자가 ...
본 연구는 메더스트(Walter Henry Medhurst)가 19세기 초 漳州方言에 관해 묘사한 字典인『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1832년,『福建』로 약칭)에 나오는 文白異讀字를 바탕으로 漳州方言의 歷史語音層次를 분석하였다.『福建』에는 약 1만 2천 개의 한자가 수록되었으며, 그 가운데 文讀과 白讀을 동시에 갖고 있는 한자는 일상생활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약 27%에 해당된다. 白讀은 ‘vulgar(일반 민중이 사용하는)’의 줄임말인 ‘Vulg’로 표기하였고 文讀과 구별하기 위해 이탤릭체로 표기되었다. 『福建』에 나타나는 문백이독자를 바탕으로 역사어음층차를 살펴본 결과 文讀은 대체적으로 중고음을 충실히 반영하지만, 일부 백독은 상고음을 아직도 보존하고 있는 점이 그 가장 주요 특징이다. 성모의 역사적 어음 변천 가운데 非系에 속하는 文讀에 대해 梅縣·南昌·蘇州方言에서는 대부분 순치음인 [f-]와 [v-]로 후기중고음을 반영하지만 閩方言에서는 喉音 [h-]로 나타나는데, 이는 민방언 자체에 순치음 계열이 존재하지 않은 점과 음성학적으로 후설원순음 [u]의 영향으로 喉音 [h-]로 변화도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福建』의 白讀은 상고음의 [p-]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성모의 상고음 유지는 知系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福建』의 白讀은 거의 모두 上古音 [t-] 音系를 그대로 보존하지만 文讀은 일부 구개음화된 [ts-] 音系로 변화하였다. 또한 明母, 日母, 疑母 에 속하는『福建』의 白讀 가운데 일부가 [h-]로 발음되어 상고음 *[hm-], *[hn-], [hng-], *[hngw-]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상고음 歌部 *[-ĭai]는 *[-ĭai] → [-ĭe](中古音) → [-i](近代·現代音)으로 점점 고음화되지만『福建』의 白讀은 상고음의 저모음 [a]를 보존하고, 文讀은 近現代音 [-i]로 발음된다. 梗攝 庚韻에 속하는『福建』의 백독 [-iã]는 상고음 *[-iaŋ] 가운데 [-ŋ]이 탈락하면서 주요모음을 비음화시킨 것으로 *[-iaŋ] → [-iã]의 층차를 밟았다고 볼 수 있다. 상고 북방음 계통은 東部 *[uŋ]와 陽部 *[-aŋ]는 확연히 다르지만 楚語에서는 ‘東陽合韻’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19세기 초의 漳州方言을 반영하는『福建』과 現代 厦門方言의 경우 上古音 東部에 속하는 한자들 가운데 白讀은 [-aŋ]로 발음되고 있어서 原始閩南語도 楚方言과 같이 *[-uaŋ]로 재구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hronological strata in the Zhangzhou(漳州) Dialect reflected in the 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 which was written by Walter Henry Medhurst in 1832. About 12,000 Chinese character ...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hronological strata in the Zhangzhou(漳州) Dialect reflected in the 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 which was written by Walter Henry Medhurst in 1832. About 12,000 Chinese characters are collected in the Dictionary, however, only 27% of the characters has both colloquial and literary readings. The colloquial and literary readings of the dictionary are somewhat various because they have reflected the different chronological strata. While the literary reading substantially has kept the Middle Chinese strata, some of the colloquial readings have preserved the Old Chinese strata, which can be found in Fei serial(非系), Zhi serial(知系), Ming initial(明母), Ri initial(日母) and Yi initial(疑母) in terms of the changes of initials from Old Chinese to the contemporary Zhangzhou dialect. Old Chinese *[-ĭai] has experienced the radical sound change of *[-ĭai] → [-ĭe](Middle Chinese) → [-i](Early Mandarin and contemporary Mandarin), the colloquial reading still has kept the low vowel [a] while the literary reading pronounce as the Early Mandarin [i] in the dictionary. The Dong Rhyming Group(東部)*[uŋ]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Yang Rhyming Group(陽部) *[-aŋ] in the Northern Dialect of Old Chinese, however they are mixed in the Chu(楚) dialect of the southern Old Chinese. The colloquial reading of the dictionary belonging to the Dong Rhyming Group(東部) in Old Chinese is [-aŋ], therefor we can reconstruct its Proto-Sourthern Min as *[-uaŋ] which is the same as the Chu(楚) dialect.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메더스트(Walter Henry Medhurst)가 19세기 초 漳州方言에 관해 묘사한 字典인『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1832년,『福建』로 약칭)에 나오는 文白異讀字를 바탕으로 漳州方言의 歷史語音層次를 분석하였다.『福建』에는 약 1만 2천 개의 한자가 ...
본 연구는 메더스트(Walter Henry Medhurst)가 19세기 초 漳州方言에 관해 묘사한 字典인『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1832년,『福建』로 약칭)에 나오는 文白異讀字를 바탕으로 漳州方言의 歷史語音層次를 분석하였다.『福建』에는 약 1만 2천 개의 한자가 수록되었으며, 그 가운데 文讀과 白讀을 동시에 갖고 있는 한자는 일상생활에 주로 사용되는 약 27%에 해당된다. 白讀은 ‘vulgar(일반 민중이 사용하는)’의 줄임말인 ‘Vulg’로 표기하였고 文讀과 구별하기 위해 이탤릭체로 표기되었다. 非系에 대해 閩方言에서는 [f-]음을 찾을 수 없어 文讀에서 [p-, ph-](상고음, 전기중고음)에서 바로 [h-]로 변화되었고,『字典』과 現代福州方言 白讀 [p-]로 나타난 점은 상고음을 지속적으로 유지했다고 볼 수 있다. 성모의 상고음 유지는 知系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福建』의 白讀은 거의 모두 上古音 [t-] 音系를 그대로 유지하고, 文讀은 대다수 [t-]를 지니고 간혹 [ts-] 音系로 구개음화된 것도 있다. 또한 明母, 日母, 疑母 에 속하는『福建』의 白讀 가운 데 일부가 [h-]로 발음되어 상고음 *[hm-], *[hn-], [hng-], *[hngw-]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歌部 *[-ĭai]의 北方方言은 *[-ĭai] → [-ĭe](中古音) → [-i](近代·現代音)으로 점점 고음화되지만 『福建』의 白讀은 상고음의 저모음 [a]를 보존하고, 文讀은 近現代音 [-i]로 발음된다. 梗攝 庚韻에 속하는『福建』의 백독 [-iã]는 상고음 *[-iaŋ] 가운데 [-ŋ]이 탈락하면서 주요모음을 비음화시킨 것으로 *[-iaŋ] → [-iã]의 층차를 밟았다고 볼 수 있다. 상고 북방음 계통은 東部 *[uŋ]와 陽部 *[-aŋ]는 확연히 다르지만 楚語에서는 ‘東陽合韻’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19세기 초의 漳州方言을 반영하는『福建』과 現代 厦門方言의 경우 上古音 東部에 속하는 한자들 가운데 白讀은 [-aŋ]로 발음되고 있어서 原始閩南語도 楚方言과 같이 *[-uaŋ]로 재구할 수 있다고 본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1832년,『福建』로 약칭)에 나오는 文白異讀字를 바탕으로 漳州方言의 歷史語音層次를 분석함으로써 민남방언을 더욱 정교하게 연구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중국어를 전공자 뿐만이 나이라 중국 언어학에 ...
본 연구는 『福建方言字典(Dictionary of The Hok-Kee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1832년,『福建』로 약칭)에 나오는 文白異讀字를 바탕으로 漳州方言의 歷史語音層次를 분석함으로써 민남방언을 더욱 정교하게 연구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중국어를 전공자 뿐만이 나이라 중국 언어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 언어학도에게도 19세기 장주방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로운 방법과 내용을 제공하는 장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