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폐현수막 재활용 패션용품의 친환경성과 상품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Greenness and Commercial Value of Fashion Products Made from Recycled Bann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1018869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예영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업체와 환경 관련 단체의 사업장에서 폐현수막으로 제작한 용품의 제작 과정을 분석하고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고부가가치의 패션용품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폐현수막을 이용해 제작한 용품의 제작 과정을 조사 및 분석하여 친환경적인 가치를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2) 폐현수막을 이용해 제작한 기존 용품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상품의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3) 친환경적 가치와 상품성을 부가하기 위해 앞서 도출해낸 개선 방안을 반영하여 전문가 자문을 활용해 실제 패션용품을 개발한다. 개발한 용품은 상품성을 검증하여 디자인을 확정한다.
    4) 폐현수막을 이용해 용품을 제작하는 사업장을 방문해 개발한 패션용품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고 함께 만들어보는 워크샵을 실시한다. 워크샵을 통해 실제 사업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용품 제작과정을 수정 및 보완한다.
    5) 연구 과정에서 도출한 결과를 인터넷 블로그를 통해 공개한다. 폐현수막을 이용해 용품을 제작하는 전문업체와 사업장의 이메일 주소를 조사해 블로그를 소개하고 용품 제작 과정에 참고하도록 한다.
  • 기대효과
  • 1) 폐현수막을 이용한 친환경적 용품 제작 과정에 대해 구체적인 이해 제공
    2) 실제 전문업체나 환경 관련 단체의 작업장에 보다 친환경적이고 상품성 있는 상품개발 방안 제공
    3) 학술발표와 논문게재를 통한 학문적 기여
    4) 연구 과정과 결과의 친환경적 디자인과 환경보호 교육 자료로의 활용
    5) 친환경적 패션용품 디자인 전문가 배출에 기여
    6) 상품성 있는 디자인과 품질로 친환경 상품의 대중화에 기여
    7) 사회적 기업과 환경 관련 단체 사업장의 발전 및 확산에 기여
    8) 사회 취약계층의 고용 창출과 경제력 향상
  • 연구요약
  • 1) 폐현수막을 활용한 용품의 제작과정과 친환경적 가치 조사 및 분석
    ● 국내 전문업체인 터치포굿과 에코파티메아리 등 두 곳,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환경 관련 단체의 사업장 두 곳 이상 조사: 직접방문, 인터넷 자료조사, 문헌조사
    ● 용품 종류파악 → 용품별 재료수거, 분류 및 세탁, 디자인, 제작 단계 조사
    ● 해외업체 관련자료 조사를 통한 비교 분석: 인터넷 자료조사, 문헌조사
    ● 조사결과를 분석해 용품 제작 과정에서 친환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제시

    2) 폐현수막을 이용해 제작한 용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 일반 소비자 남녀 각 1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 설문지 구성: 폐현수막을 이용해 제작한 용품에 대한 일반적 인식 조사 & 국내에서 최근 제작된 패션용품 4 종류 이상을 선정하여 인식 조사
    ● 디자인의 심미성, 기능성, 독창성, 경제성을 중심으로 상품성 향상을 위한 방안 제시

    3) 폐현수막을 이용한 패션용품 디자인 및 제작
    ● 1차년도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친환경적이고 고부가가치적 특성을 지닌 패션용품 4종류 이상을 디자인 및 제작.
    ● 용품 개발 단계: 재료수거, 분류 및 세척, 아이디어 발상, 문제 및 개념 도출, 컨셉 결정, 변형 및 정교화, 아이디어의 구체화와 제작, 소통을 통한 평가, 디자인 수정, 제작
    ● 대학원 수업 시간을 활용한 디자인 및 제작 추진
    ● 재료수거 시 인근 현수막 제조업체와 현수막 수거 담당자의 협조 요청
    ● 전문가 자문 활용
    ● 창의적 디자인을 위해 브레인스토밍, 스캠퍼 등 활용
    ● 표현 기법으로 콜라주, 아상블라주, 패치워크, 플리츠 등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
    ● 해외 인기 상품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제작 과정에 반영: 필요에 따라 직접 방문, 워크샵 참여
    ● 잠정적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상품성(심미성, 기능성, 독창성, 경제성) 검증 실시 → 디자인 수정 후 워크샵용 샘플 제작

    4) 사업장 워크샵을 통한 개발 제품의 활용성 검증
    ● 개발한 패션용품을 서울과 경기 지역 환경 관련 단체 작업장 세 곳 이상에서 직접 만들어보는 워크샵을 실시
    ● 워크샵을 통해 상품의 실제 제작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하는지 여부 파악
    ● 워크샵 참여자들의 의견 수렴
    ●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디자인 및 제작 과정 수정

    5) 인터넷을 이용한 연구 결과 공개 및 홍보
    ● 블로그를 통한 연구 과정 및 결과 소개
    ● 폐현수막을 이용해 용품을 제작하는 전문업체와 사업장은 물론 정무 관련 부처의 이메일 주소를 확보해 블로그 홍보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버려지는 현수막을 이용해 생활용품을 만드는 업체나 교육기관이 늘어나고, 폐현수막을 활용해 만든 상품의 친환경적, 경제적 가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폐현수막을 재활용해 제작한 용품을 주제로 그 제작 과정과 상품성을 분석하여, 보다 친환경적이면서도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고부가가치의 패션용품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로 환경보호는 물론 폐현수막으로 제작한 상품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회 취약계층의 고용 및 소득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연구과정은 문헌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한 기존 폐현수막 재활용 용품의 제작과정과 친환경적 가치 조사, 폐현수막 활용 패션 용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1차 폐현수막 재활용 패션용품 디자인 및 제작, 상품성 검증 및 전문가 자문 내용을 참고한 2차 상품 제작, 사업장 워크샵을 통해 개발한 폐현수막 재활용 제품의 활용성 검증, 폐현수막 패션 용품의 블로그 홍보 등의 단계를 거쳤다.
    기존 폐현수막 재활용 용품의 제작 과정과 친환경 가치 조사 결과, 대부분의 업체 및 사업장에서는 재료수거, 분류 및 세탁, 디자인, 제작, 판매의 과정을 거쳤는데, 현수막에 사용된 잉크의 성분 명시, 자투리 천과 부자재의 친환경성 향상 방안, 사업장의 경우 전문적 디자인팀 구성과 미적 제작 과정의 향상이 요구되었다. 기존 용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높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및 표현 기법을 활용해 소비자들의 구매의사를 높일 수 있는 상품을 제작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폐현수막에 사용된 잉크의 이염이나 색바램을 방지하기 위해 폐현수막 이면이 겉으로 나오도록 디자인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 나타난 개선 방향을 반영하여 Aspelund 가 제시한 아이디어 발상, 문제점과 개념 도출, 컨셉 설정, 변형 및 정교화, 아이디어의 구체화와 제작, 대중과의 소통을 통한 평가, 생산이라는 과정에 적용하여 11개의 패션용품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과정에서 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 발상법을 활용하였고 표현 기법으로 콜라주, 패치워크, 플리츠 등을 이용하였다. 대중과의 소통을 통한 평가에서는 49명의 잠정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와 전문가 2인의 자문을 통해 상품성 및 디자인 향상 방안을 조사하여 디자인 수정 및 제작 과정을 거쳤다. 개발한 상품 중 세 점을 세 곳의 사업장에서 워크샵을 통해 함께 만들어 봄으로써 디자인 및 제작 과정에서의 수정 방안을 수렴하였고, 이를 반영한 최종 디자인과 제작 과정을 블로그를 통해 홍보하였다.
  • 영문

  • Due to their low cost, banners are not only more popular than other advertising tools but also often discarded in large quantities after us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have been promoting the recycling of banners. However, despite the substantial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recycling banners, there has hitherto been very little systematic in-depth study of recycled banner produ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nvironment-friendly and aesthetic banner-recycled fashion product design and process by analyzing pre-existing banner-recycled product design process and consumer perception about the products. The result will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 protection and to the income increase of social vulnerable class who works in this field.
    The research process includes analyses of preexisting product design process and the consumer perception, actual banner-recycled fashion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conducting workshops in banner-recycling firms by presenting the developed products, and the introduction of products and the design process in a web site.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recycled-banner product design companies and firm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banner collection, assortment and washing, design, production, and sales. However, the improvement of following issues was needed: The identification of inc properties used in banners, recycling of banner scraps and unclean banners, implementing environment-friendly subsidiary materials to the design process, and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ly trained designers and producers in firms. The survey results of consumer perception about the pre-existing products displaye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s in functionality, practicality, originality. The solution to the discoloration of banner inc would be using the wrong side of banners as right sides in products. Taking these results into consideration, 11 banner-recycled products were designed and produced by implementing Aspelund’s 7 steps of design process – inspiration, identification, conceptualization, exploration/refinement, definition/modeling,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Brain-storming, SCAMPER, and techniques such as collage, patch works, pleats were used to develop creative design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product evaluation was done by surveying 49 subjects, and sought advice from 2 professionals. The design modification was done based on the evaluation and advice results. To further improve the design and the process, workshop was held in banner-recycling firms to receive feedback. The final products and the design process were introduced in a web sit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버려지는 현수막을 이용해 생활용품을 만드는 업체나 교육기관이 늘어나고, 폐현수막을 활용해 만든 상품의 친환경적, 경제적 가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폐현수막을 재활용해 제작한 용품을 주제로 그 제작 과정과 상품성을 분석하여, 보다 친환경적이면서도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고부가가치의 패션용품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로 환경보호는 물론 폐현수막으로 제작한 상품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회 취약계층의 고용 및 소득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연구과정은 문헌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한 기존 폐현수막 재활용 용품의 제작과정과 친환경적 가치 조사, 폐현수막 활용 패션 용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1차 폐현수막 재활용 패션용품 디자인 및 제작, 상품성 검증 및 전문가 자문 내용을 참고한 2차 상품 제작, 사업장 워크샵을 통해 개발한 폐현수막 재활용 제품의 활용성 검증, 폐현수막 패션 용품의 블로그 홍보 등의 단계를 거쳤다.
    기존 폐현수막 재활용 용품의 제작 과정과 친환경 가치 조사 결과, 대부분의 업체 및 사업장에서는 재료수거, 분류 및 세탁, 디자인, 제작, 판매의 과정을 거쳤는데, 현수막에 사용된 잉크의 성분 명시, 자투리 천과 부자재의 친환경성 향상 방안, 사업장의 경우 전문적 디자인팀 구성과 미적 제작 과정의 향상이 요구되었다. 기존 용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높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및 표현 기법을 활용해 소비자들의 구매의사를 높일 수 있는 상품을 제작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폐현수막에 사용된 잉크의 이염이나 색바램을 방지하기 위해 폐현수막 이면이 겉으로 나오도록 디자인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 나타난 개선 방향을 반영하여 Aspelund 가 제시한 아이디어 발상, 문제점과 개념 도출, 컨셉 설정, 변형 및 정교화, 아이디어의 구체화와 제작, 대중과의 소통을 통한 평가, 생산이라는 과정에 적용하여 11개의 패션용품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과정에서 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 발상법을 활용하였고 표현 기법으로 콜라주, 패치워크, 플리츠 등을 이용하였다. 대중과의 소통을 통한 평가에서는 49명의 잠정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와 전문가 2인의 자문을 통해 상품성 및 디자인 향상 방안을 조사하여 디자인 수정 및 제작 과정을 거쳤다. 개발한 상품 중 세 점을 세 곳의 사업장에서 워크샵을 통해 함께 만들어 봄으로써 디자인 및 제작 과정에서의 수정 방안을 수렴하였고, 이를 반영한 최종 디자인과 제작 과정을 블로그를 통해 홍보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보다 친환경적이고 상품성을 지닌 폐현수막 재활용 디자인 과정과 상품의 예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를 활용해 패션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여 기존 블로그에 그 결과물을 추가함으로써 폐현수막 재활용 상품 개발 업체들이 대중에게 호소력을 지닌 다양한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이다. 인터넷 블로그를 이용한 홍보는 업체 뿐 아니라 다양한 잠정 소비자들에게 폐현수막 재활용 상품의 예를 알릴 수 있는 통로가 될 것이다.
    또한 수업을 통해 개발한 다양한 상품을 실제 사업장에 나가 함께 만들어 보는 워크샵의 지속적인 진행을 통해 디자인 과정이나 결과물의 단점을 보완함은 물론 실질적 교육을 실시한다. 이러한 워크샵을 통해 상품의 미적인 가치를 높일 수 있다면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등 소외계층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는 일반인들이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주제로도 적합하다 판단된다. 환경단체나 정부 기관의 도움을 받아 폐현수막 제품을 함께 만들어 보는 기회를 마련한다면 대중의 환경의식 고취와 관련 상품에 대한 관심 고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색인어
  • 현수막, 재활용, 패션용품 디자인, 친환경, 상품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