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 개발 :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특별한 관심과 행동을 중심으로
Developing A Effective Instructional Support Model Focused on the Learning Preferences and Strength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 Using Restricted Circumscribed Interest of ASD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1019205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2 년 (2013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현옥
연구수행기관 백석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의 제한된 반복행동은 핵심적인 자폐진단규준이다.반복적이고 제한된 관심과 행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다른 진단 기준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결함이나 의사소통에서의 질적 결함에 비해 연구자들의 관심을 덜 받아왔다(Militerni, Bravaccio, Falco, Fico, & Palermo, 2002). 오랫동안 제한적 반복 행동은 대부분 의도가 없고 예측하기 어려운 자폐적 문제행동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자들은 제한된 반복행동을 환경 내에서 인과 관계를 구분하기 위한 개별적인 시도(Baron-Cohen & Wheelwright, 1999)로 이해하려하거나 개개인에 따라 다른 기능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교수 상황에서 이러한 행동 특성을 활용한 교수적 시도가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즉 자폐범주성 장애인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을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강점으로 이해하고 그에 따라 결함 중심의 모델에서 벗어나 강점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시도 가능성 등이 언급되기도 한다(Winter-Messiers, 2007).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에 관련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이 특별한 관심에 몰입하는 이유는 즐거움, 이완, 다른 과제 회피, 다른 생각 회피하기, 자기 주장하기,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 등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는 자녀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으며 이러한 특별한 관심이 보모와 상호작용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않는 것이며, 연령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에서 많은 어려움을 나타낸다고 하였다(Winter—Messiers, 2007). 그러나 최근 이러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하여 교수 활동에 적용할 경우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이나 사회적 시작 행동, 가장 놀이 능력 등을 포함한 사회적 능력이 향상되었다(Boyd, Conroy, Mancil, Nakao & Alter, 2007; Koegel, Vernon, Kogel. Koegel, & Paullin, 2012; Porter, 2002)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다시 말해서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을 이해하고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하여 강점과 선호도 중심의 교수를 실행할 경우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South, Ozonoff, & McMahon, 2005).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제한적 반복 행동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이해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요소이지만 국내에서는 제한적 반복 행동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매우 부족하다(박현옥, 2011). 최근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면담을 실시하여 자폐아동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의 유형과 기능 등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 연구가 이루어졌다(박현옥, 2012). 이와 같이 국내에서도 자폐아동의 제한된 반복행동과 관심에 대해 연구가 시작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더욱이 제한된 반복행동의 하위 요소 중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관련된 연구나 이를 활용한 교수적 지원 연구,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선호도나 강점으로 파악한 연구 등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고 둘째, 분석된 기능에 근거하여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한 교수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은 연령, 인지능력, 자폐성향 등과 같은 개인차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
    2-1.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은 연령에 따라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가?
    2-2.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은 인지 능력 및 자폐성향의 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
    셋째,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은 무엇이며 그 영향은 어떠한가?
    3-1.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은 무엇인가?
    3-2. 제한된 특별한 관심이 가족과 교사, 또래 친구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인식과 반응은 어떠한가?
    넷째,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적용한 교수적 모델은 어떠한가?
    4-1.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교수적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어떠한가?
    4-2.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적용한 교수적 지원 모델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는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교육현장과의 연계 활용 측면에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1) 연구 결과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1) 제한적 반복행동 및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대한 이론적 기반 구축

    최근 국내외에서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그동안 실행되었던 대부분의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질적 결함, 의사소통에서의 질적 결함을 밝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중재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자폐범주성 장애의 핵심적 진단 규준 중 세 번째 진단 규준인 제한된 관심과 행동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과정에서 제한된 관심과 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될 것이며 그와 동시에 제한된 관심과 행동의 한 가지 요소인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대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므로 본 연구는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기능은 물론 이에 상호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도 분석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발달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교수적 지원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2) 결함 중심 모델에서 강점 중심의 모델로 자폐범주성장애 개념의 재구조화

    그동안 자폐범주성 장애를 설명하는 모델은 결함 중심의 모델이었으며 이는 지극히 일반인의 시각에서 장애를 정의한 것으로 이해된다. 다시 말해서 자폐범주성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 규준은 일반인의 기준으로 볼 때 사회성과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하고 적절하지 않은 제한된 반복행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점을 개인이 가진 제한점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개별적인 특성으로 이해할 경우 보다 다양한 긍정적 요소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이나 문제 행동의 기능을 이해하고 이러한 기능에 근거하여 보다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 형태를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인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은 물론 이들의 어려움에 초점을 맞춘 결함 중심의 모델로 정의하기보다 강점 중심의 모델로 이해하고 이러한 강점을 활용한 교수적 중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2) 교육현장과의 연계를 통한 기여도

    (1)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에 대한 교수적 지원 방향 제시

    2007년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자폐성 장애가 처음으로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이전에 자폐성 장애 아동은 정서장애 범주에 포함되어 특수교육적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이에 따라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여러 대학에서도 자폐성 장애 교과목을 분리된 교과목으로 지도하지 못한 상황이다. 최근 자폐성 장애가 독립된 장애 영역으로 확보되면서 특수교사 양성 과정에 자폐성 장애 교과목이 포함되었다. 그럼에도 구체적으로 자폐성 장애 아동에 대한 교수적 지원 방안에 대한 이해는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내용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결과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실제적인 교수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2) 학교 및 가정에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촉진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될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은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인정함으로써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선호도와 강점에 대한 주변 사람의 체계적인 이해와 그에 대한 접근은 자폐아동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게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촉진될 것이다.

    (3)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행동 문제 감소

    그동안 제한적 반복행동은 감소시키고 제거해야 할 문제행동으로 인식되었으며 그에 따라 이들 아동들은 행동 문제가 많은 아동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본 모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제한적 반복행동과 특별한 관심의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긍정적 강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행동 문제가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2개년도에 거쳐 실행될 것이다. 먼저 1차년도에는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 및 기능을 연구할 것이다.
    1차년도 연구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분석이 실행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조사 연구 실시하게 될 것이다.
    ① 검사도구(설문지) 개발
    ② 설문 내용 타당도 검증 및 예비조사 실시
    ③ 본 조사 실시
    • 설문 대상자 선정
    설문대상자는 자폐성 장애 아동 및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1년 이상 교육한 경험이 있는 교사와 3세 이상의 자폐범주성 장애 자녀를 둔 부모로 구성될 것이다. 또한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 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도 실시하게 될 것이다. 설문대상자는 총 300명으로 구성된다.

    다) 자료 입력 및 분석
    설문 내용은 특수교육 및 심리학을 전공한 연구보조원에 의해 입력하게 될 것이다. 설문내용은 SPSS를 활용하여 변량분석(ANOVA)과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게 될 것이다. 라)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 및 기능 연구
    앞서 제시한 연구 단계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기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2) 2차년도 :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 개발

    2차 년도에는 1차 년도 연구 결과로 도출된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 및 특성, 기능을 기반으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특별한 관심, 선호도, 강점 중심의 교수 효과 및 교수적 적용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선행연구 분석과 더불어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 담당 교사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특별한 관심, 선호도, 강점 등을 활용한 교수 경험과 양육경험을 살펴볼 것이다. 교사와 학부모 경험은 질적 면담을 통하여 파악하게 될 것이며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게 될 것이다. 개발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은 타당도 검증 및 수정․보완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될 것이다.

    가) 선행연구 분석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선행연구 분석을 위해 적용될 분석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시행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문헌 분석을 위해 사용하게 될 핵심어는 ‘ASD’, ‘circumscribed interest’ ‘intervention’ ‘strength based intervention’, ‘preference’ 등이다. 셋째, 문헌검색을 위한 DB는 ERIC, EBSCO host, RISS, KISS 등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 분석 기준은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연구결과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게 될 것이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강점 기반의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의 효과적 학습을 위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을 제안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구축한다.

    나) 질적 면담 실시

    ① 면담 질문지 개발
    문헌연구 결과와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면담 질문을 개발하고, 특수교사 2인 및 자폐성 장애아 부모 2인과의 시험 면담을 실시한 후, 시험 면담 참여자의 조언을 받아 질문지를 수정한다.

    ② 면담참여자 선정
    질적 면담 참여자는 총 15명으로 구성된다. 면담 참여 대상자는 세 개 군으로 구성되어 각 군별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행하게 될 것이다. 면담 참여자 군은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 등의 세 집단으로 구성될 것이다.
    ③ 면담 실시 및 자료의 전사, 자료 분석
    ④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 지원 모델 구안
    1차년도 연구 결과와 2차년도 선행연구 분석 결과, 포커스 그룹 면담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 지원 모델의 구성 요소를 개발하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수 지원 모델에 필요한 요소는 ‘교수 프로그램의 구조(structure), 교수 과정(process), 교수 내용(content)’ 등과 같은 주요 축을 중심으로 구성될 것이다.
    ⑤ 교수 모델 내용타당도 검토 및 수정․보완
    개발된 선호도 및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에 대해 1차년도와 2차년도 연구에 참여했던 부모, 교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토를 실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내용 타당도 검토를 통해 개발된 모델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이 실행될 것이며 최종 모델을 개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circumscribed special interest)은 강도나 집중도에서 비정상적으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전형적이고 제한된 행동에 몰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행동은 대부분 정상 범주의 지능을 지닌 고기능 자폐아동과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에게서 보다 자주 나타난다.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은 감각자극(예를 들어, 장난감의 색이나 질감에 관련된 것 등)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것에서부터 식물의 학명과 같이 특정 주제에 관련된 것을 모두 습득하는 것 까지 매우 다양하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이 특별한 관심에 몰입하는 이유는 즐거움, 이완, 다른 과제 회피, 다른 생각 회피하기, 자기 주장하기,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이러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하여 교수 활동에 적용할 경우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이나 사회적 시작 행동, 가장 놀이 능력 등을 포함한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을 이해하고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하여 강점과 선호도 중심의 교수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고 분석된 기능에 근거하여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한 교수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1차년도에서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정도,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년도에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정도, 사회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해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관련한 연구 동향을 파악함은 물론 설문 조사를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최종 구성된 설문은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을 묻는 문항(과거의 특별한 관심 3가지, 현재의 특별한 관심 3가지 기술하도록 개방형으로 구성)과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정도, 강도, 빈도, 지속시간 등을 포함한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정도에 관련한 문항,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영향 및 기능에 관련한 문항 등으로 구성하여 최종 19개의 문항과 하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완성된 설문은 교사 3명, 부모 3명, 전문가 4명에게 내용타당도 검토를 받아 수정 보완하였으며, 수정 보완된 설문은 2명의 부모와 2명의 전문가, 2명의 일반인에게 사전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설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설문은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와 교사에게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에 앞서 특별한 관심, 선호도, 강점 중심의 교수 효과 및 교수적 적용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선행연구 분석과 더불어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특별한 관심, 선호도, 강점 등을 활용한 교수 경험을 살펴보았다. 교사들의 경험은 질적 면담을 통하여 파악되었다. 더불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은 타당도 검증 및 수정․보완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circumscribed interests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o accomplish this goal, parents and educators of 284 ASD students of varying age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mprised of free response questions on past and current special interests of ASD students, observed by their parents and educators. In this survey 1063 responses were collected, which were then categorized using the three following steps. 1) Two researchers compared the contents of the responses and separated them into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classification were validated by two experts. 2) Referring to the comments made by the experts in the previous step, researchers tried to refine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circumscribed interests. In this process, seven professors, seventeen special teachers, and four speech pathologist evaluated and commented on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refined classification system. 3) A final class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containing six categories and twenty-seven subcategories, in addition to examples of interests in each subcategories and the three response types of ASD students to the circumscribed intere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a future direction for the use of this system was discuss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nd educate ASD stud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circumscribed special interest)은 강도나 집중도에서 비정상적으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전형적이고 제한된 행동에 몰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행동은 대부분 정상 범주의 지능을 지닌 고기능 자폐아동과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에게서 보다 자주 나타난다.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은 감각자극(예를 들어, 장난감의 색이나 질감에 관련된 것 등)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것에서부터 식물의 학명과 같이 특정 주제에 관련된 것을 모두 습득하는 것 까지 매우 다양하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이 특별한 관심에 몰입하는 이유는 즐거움, 이완, 다른 과제 회피, 다른 생각 회피하기, 자기 주장하기,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이러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하여 교수 활동에 적용할 경우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이나 사회적 시작 행동, 가장 놀이 능력 등을 포함한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을 이해하고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하여 강점과 선호도 중심의 교수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고 분석된 기능에 근거하여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한 교수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1차년도에서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정도,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년도에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정도, 사회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해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관련한 연구 동향을 파악함은 물론 설문 조사를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최종 구성된 설문은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을 묻는 문항(과거의 특별한 관심 3가지, 현재의 특별한 관심 3가지 기술하도록 개방형으로 구성)과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정도, 강도, 빈도, 지속시간 등을 포함한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정도에 관련한 문항,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영향 및 기능에 관련한 문항 등으로 구성하여 최종 19개의 문항과 하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완성된 설문은 교사 3명, 부모 3명, 전문가 4명에게 내용타당도 검토를 받아 수정 보완하였으며, 수정 보완된 설문은 2명의 부모와 2명의 전문가, 2명의 일반인에게 사전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설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설문은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와 교사에게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에 앞서 특별한 관심, 선호도, 강점 중심의 교수 효과 및 교수적 적용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선행연구 분석과 더불어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특별한 관심, 선호도, 강점 등을 활용한 교수 경험을 살펴보았다. 교사들의 경험은 질적 면담을 통하여 파악되었다. 더불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교수적 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은 타당도 검증 및 수정․보완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결과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1) 제한적 반복행동 및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대한 이론적 기반 구축 최근 국내외에서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그동안 실행되었던 대부분의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질적 결함, 의사소통에서의 질적 결함을 밝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중재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자폐범주성 장애의 핵심적 진단 규준 중 세 번째 진단 규준인 제한된 관심과 행동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과정에서 제한된 관심과 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될 것이며 그와 동시에 제한된 관심과 행동의 한 가지 요소인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대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므로 본 연구는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기능은 물론 이에 상호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도 분석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발달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교수적 지원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2) 결함 중심 모델에서 강점 중심의 모델로 자폐범주성장애 개념의 재구조화 그동안 자폐범주성 장애를 설명하는 모델은 결함 중심의 모델이었으며 이는 지극히 일반인의 시각에서 장애를 정의한 것으로 이해된다. 다시 말해서 자폐범주성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 규준은 일반인의 기준으로 볼 때 사회성과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하고 적절하지 않은 제한된 반복행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점을 개인이 가진 제한점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개별적인 특성으로 이해할 경우 보다 다양한 긍정적 요소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이나 문제 행동의 기능을 이해하고 이러한 기능에 근거하여 보다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 형태를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인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은 물론 이들의 어려움에 초점을 맞춘 결함 중심의 모델로 정의하기보다 강점 중심의 모델로 이해하고 이러한 강점을 활용한 교수적 중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2) 교육현장과의 연계를 통한 기여도 (1)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에 대한 교수적 지원 방향 제시 2007년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자폐성 장애가 처음으로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이전에 자폐성 장애 아동은 정서장애 범주에 포함되어 특수교육적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이에 따라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여러 대학에서도 자폐성 장애 교과목을 분리된 교과목으로 지도하지 못한 상황이다. 최근 자폐성 장애가 독립된 장애 영역으로 확보되면서 특수교사 양성 과정에 자폐성 장애 교과목이 포함되었다. 그럼에도 구체적으로 자폐성 장애 아동에 대한 교수적 지원 방안에 대한 이해는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내용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결과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실제적인 교수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2) 학교 및 가정에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촉진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될 선호도와 강점 중심의 교수적 지원 모델은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인정함으로써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선호도와 강점에 대한 주변 사람의 체계적인 이해와 그에 대한 접근은 자폐아동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게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촉진될 것이다. (3)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행동 문제 감소 그동안 제한적 반복행동은 감소시키고 제거해야 할 문제행동으로 인식되었으며 그에 따라 이들 아동들은 행동 문제가 많은 아동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본 모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제한적 반복행동과 특별한 관심의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긍정적 강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행동 문제가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자폐스펙트럼장애, 특별한 관심, 분류체계, 제한된 관심, 강점 중심의 중재, 조사연구, 선호도, 강점, 포커스그룹면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