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인의 제한된 반복행동은 핵심적인 자폐진단규준이다.반복적이고 제한된 관심과 행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다른 진단 기준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결함이나 의사소통에서의 질 ...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의 제한된 반복행동은 핵심적인 자폐진단규준이다.반복적이고 제한된 관심과 행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다른 진단 기준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결함이나 의사소통에서의 질적 결함에 비해 연구자들의 관심을 덜 받아왔다(Militerni, Bravaccio, Falco, Fico, & Palermo, 2002). 오랫동안 제한적 반복 행동은 대부분 의도가 없고 예측하기 어려운 자폐적 문제행동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자들은 제한된 반복행동을 환경 내에서 인과 관계를 구분하기 위한 개별적인 시도(Baron-Cohen & Wheelwright, 1999)로 이해하려하거나 개개인에 따라 다른 기능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교수 상황에서 이러한 행동 특성을 활용한 교수적 시도가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즉 자폐범주성 장애인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을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강점으로 이해하고 그에 따라 결함 중심의 모델에서 벗어나 강점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시도 가능성 등이 언급되기도 한다(Winter-Messiers, 2007).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에 관련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이 특별한 관심에 몰입하는 이유는 즐거움, 이완, 다른 과제 회피, 다른 생각 회피하기, 자기 주장하기,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 등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는 자녀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으며 이러한 특별한 관심이 보모와 상호작용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않는 것이며, 연령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에서 많은 어려움을 나타낸다고 하였다(Winter—Messiers, 2007). 그러나 최근 이러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하여 교수 활동에 적용할 경우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이나 사회적 시작 행동, 가장 놀이 능력 등을 포함한 사회적 능력이 향상되었다(Boyd, Conroy, Mancil, Nakao & Alter, 2007; Koegel, Vernon, Kogel. Koegel, & Paullin, 2012; Porter, 2002)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다시 말해서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을 이해하고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하여 강점과 선호도 중심의 교수를 실행할 경우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South, Ozonoff, & McMahon, 2005).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제한적 반복 행동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이해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요소이지만 국내에서는 제한적 반복 행동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매우 부족하다(박현옥, 2011). 최근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면담을 실시하여 자폐아동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의 유형과 기능 등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 연구가 이루어졌다(박현옥, 2012). 이와 같이 국내에서도 자폐아동의 제한된 반복행동과 관심에 대해 연구가 시작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더욱이 제한된 반복행동의 하위 요소 중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관련된 연구나 이를 활용한 교수적 지원 연구,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선호도나 강점으로 파악한 연구 등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과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고 둘째, 분석된 기능에 근거하여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한 교수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은 연령, 인지능력, 자폐성향 등과 같은 개인차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
2-1.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은 연령에 따라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가?
2-2.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은 인지 능력 및 자폐성향의 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
셋째,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은 무엇이며 그 영향은 어떠한가?
3-1.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기능은 무엇인가?
3-2. 제한된 특별한 관심이 가족과 교사, 또래 친구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인식과 반응은 어떠한가?
넷째,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적용한 교수적 모델은 어떠한가?
4-1. 제한된 특별한 관심의 교수적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어떠한가?
4-2.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적용한 교수적 지원 모델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