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회과 주요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 쿨리의 1차 집단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Account of A Major Concept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Cooley's Concept of Primary Group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논문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2030340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선웅
연구수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차조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사회과 교사들은 개념이 가지는 속성과 함께 예를 활용함으로써 사회과학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고자 하였지만, 단순히 속성이나 예만을 제시할 경우 학생들의 개념에 대한 이해는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거나 왜곡되기 쉽다. 왜냐하면 사회과의 핵심적인 내용 요소인 사회과학 개념들은 성립 및 발전 과정에서 있어 각 시기의 역사적ㆍ사회적 맥락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ㆍ사회적 맥락이 무시된 채 속성이나 예를 중심으로 단순하게 설명될 경우 사회과학 개념은 원래 가지고 있던 사회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잃고 암기의 대상으로 전락할 것이며, 학생들은 개념 학습을 통해 민주 시민의 기본 자질인 사회 현상에 대한 이해력과 통찰력을 갖추는 것이 아니라 사회 현상에 대한 여러 유형의 오개념만을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의 핵심 개념들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오개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념의 성립 및 발전 과정과 관련된 역사적ㆍ사회적 맥락에 대한 역사적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과의 주요 핵심 개념 중의 하나인 쿨리(Cooley, C.)의 ‘1차 집단’ 개념의 성립 및 발전 과정을 검토한 후, 1차 집단 개념이 가지고 있는 맥락들이 한국의 사회과 교육에서 적절하게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쿨리 이론의 기본 전제에 대한 확인을 통해 1차 집단 개념의 성립 배경을 이해한 다음, 1차 집단과 관련된 사회학자들의 논의에 대한 검토를 통해 1차 집단 개념의 특징을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1차 집단의 특징들이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과서에서 적절하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교과서 분석을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사회과의 교육 내용을 이루는 주요 사회과학 개념들은 성립과 발전에 따른 역사적 맥락을 가지고 있다. 사회과학 주요 개념의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없는 기계적 암기는 사회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여러 유형의 오개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쿨리의 1차 집단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1차 집단에 대해 부적절한 기술을 하고 있는 교과서에 대한 수정을 요구한다. 먼저 교과서의 1차 집단 관련 내용을 기능과 속성, 그리고 2차 집단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재검토하여 부적절한 기술을 하고 있는 내용을 수정해야한다.
    둘째, 교과서에서 1차 집단의 위치를 ‘사회 집단 분류’가 아닌 ‘사회화’ 관련 단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퇴니스의 사회 집단 분류는 전통 사회와 근대 사회의 비교를 통해 사회 변동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 것이지만, 쿨리의 1차 집단은 2차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사회 변동의 양상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자아의 형성 즉, 사회화에 대한 설명을 위한 것이다. 1차 집단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 집단이 개인의 사회성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개인이 어떻게 사회적 인성을 갖춘 사회적 존재로 변화해가는 지에 대한 내용들이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1차 집단과 같은 역사적ㆍ사회적 맥락을 가진 사회과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양성 과정에서 사회과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교사들이 사회과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개념들에 대해 오개념 없이 역사적ㆍ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 개론 수준의 개념 이해가 아니라 심화된 수준에서의 내용학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회과 교사 양성 과정에서 그와 같은 교과 내용학 강의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핵심 기제로서 ‘1차 집단’의 성격을 밝혀내고, 그것이 한국 사회과 교과서에서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차 집단과 관련된 쿨리 및 여타 사회학자들의 논의에 대한 역사적 고찰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과 교과서들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1차 집단 개념에서 쿨리의 관심은 단순히 집단 유형의 분류가 아니라,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 변화하는 과정 및 사회 집단의 형성 과정이다. 그는 1차 집단의 사회화 기능이 '우리 의식‘의 형성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1차 집단의 핵심적인 속성은 '우리 의식‘의 형성과 관련되어야 한다. 그는 1차 집단과 대비되는 성격을 가진 집단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2차 집단이라는 명칭도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1차 집단의 본래적 기능이나 결정적 속성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은 채, ‘접촉 방식’을 기준으로 2차 집단과의 구분만이 1차 집단 개념의 핵심 내용 요소인 것처럼 다루어지고 있다. 쿨리에 의해 제시되었던 역사적·사회적 맥락들은 사라지고, 1차 집단의 개념이 왜곡되어 제시된다. 이와 같은 오개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수정이 필요하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