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동양 고전 텍스트를 통한 한·중·일 경영윤리 연구
A Study of Business Ethics Based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nfucian Classic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3045987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오인규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전희경(한양대학교)
박경남(고려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목표
    1.본 연구는 인문학 (고전학)과 사회과학 (경영학)을 융합하여, 한국, 중국, 일본의 고전적 경제사상을 서양의 고전 경제사상과 비교함과 동시에, 동양 3국의 경제사상이 어떻게 달랐으며, 주된 경제사상가들이 가졌던 경영윤리의 개념이 어떻게 차이가 났는지를 분석하여, 서양의 경영윤리와 유사점 및 차이점을 상세히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이 목적에 따라 얻어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연 동양 3국에서는 서양만이 먼저 근대적인 경제사관을 확립했으며, 서양만이 근대적인 경영윤리관을 발전시켰는지를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융합시켜 학문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음
    3. 만약 동양 3국에서도 근대적인 경제사상과 경영윤리관이 발전해 있었다면, 그것은 서양의 경제사상사의 입장에서 볼 때 어는 정도 가치가 있는 학설이며, 왜 현재의 기업 활동에도 의미가 있는지를 소상히 밝힐 경영사학적인 필요성이 높음
    4. 동양 3국 중에서 유일하게 일본만이 근대적 경제사상과 경영윤리관이 있었다는 일본 경영사학계의 정설도 고전을 통한 인문학적 방법론과 해석으로 통하여, 새롭게 중국과 조선의 경제사상과 경영윤리관을 분석하여, 일본의 왜곡된 유일성 주장을 비판할 필요가 있음
    5. 인문학과 경영학이 융합된 연구를 체계적으로 시행하여, 새로운 융합 방법론과 이론적 토대를 제공함으로 써, 미래의 비슷한 융합 연구에 선구적인 사례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6. 고전문헌의 정확한 이해 없이, 경영학자의 2차적 자료에 의한 동양의 경제사상이나 기업윤리의 연구는 더 이상 학문적 가치가 부재한 상황으로,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새로운 연구 결과를 천착해갈 필요가 있음
  • 기대효과
  • 1) 동양 3국의 경제사상과 경영윤리를 비교하고, 그 것을 또 서양의 경제사상과 경영윤리와 비교해 봄으로 써, 세계에서는 최초로 고전에 충실한 해석을 통한 이론적 연구 결과로 인식되어 학문적 기여가 높음
    2) 동양에서는 일본 만이 서양적인 경제사상과 경영윤리를 가지고 있었다는 기존의 오류를 수정하고, 문헌적으로 밝힘으로 써, 학문적 기여도를 높임
    3) 동양 3국의 전통적인 경제사상과 경영윤리를 밝혀냄으로 써,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기업 윤리에 관한 향후 정책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4) 동반성장이나 고용증대를 위한 경영 윤리의 척도를 제시할 수 있음
    5) 기존의 경제사상이나 기업윤리 과목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새로운 동ㆍ서양의 기업윤리관을 학생들에게 교육할 수 있음
    6) 대학원 과정에서 동ㆍ서양 기업윤리관의 비교나 동양3국의 기업윤리관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음
    7) 특히 인문계 대학원 학생들이나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융합 연구 분야를 제공하여 인문계 전문 인력의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연구요약
  • 1.본 연구는 우선 한, 중, 일의 고전을 바탕으로 경영학적 방법론과 경제 사상사적 이론을 접목시켜 근대경제사상과 경영윤리를 동시에 고찰한다는 독창성을 가짐
    2. 기존의 연구는 동양 3국을 비교한 것이 거의 없거나, 자국의 경영사상과 서양의 경영사상을 비교한 것, 혹은 비교 없이 자국의 고전문헌만 분석한 것 밖에 없어서, 서양우월론 (서양만이 근대 경제론과 경영윤리관이 있었다고 주장) 혹은 일본 특수론 (동양에서는 일본만 유일하게 근대적 경제론과 경영윤리관이 있었다고 주장)이 난무하고 있는 상황임
    3. 본 연구는 이러한 사상사적 방법론적 오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인문학 전문가와 경영윤리학 전문가, 그리고 지역 전문가 (서양, 중국, 조선, 일본)가 뭉쳐서, 융합적인 방법론과 이론을 바탕으로 3국의 고전에 충실하면서, 서양의 경영이론의 잣대로 해석해도 문제가 없을 정도로 근ㆍ현대 서양의 이론에도 충실하면서 3국의 차이점과 서양과의 비교를 동시에 해내는 획기적인 연구전략을 채택함
    4. 본 연구의 결과는 세계최초로 한, 중, 일의 고전을 바탕으로 동양 3국의 경제사상과 경영윤리를 서양의 고전적ㆍ현대적 경제사상 및 경영윤리와 비교분석하여, 영어로 미국의 최고 경영학 저널에 출판할 계획이므로, 아주 독창적이라고 할 수 있음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동아사아의 경제적 이데올로기와 경영 윤리의 단계 비교.
    이 논문은 14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의 공공 부분과 사적 부분의 국가적 경제에서 보이는 도덕적 설득의 방법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저자는 논문에서 전근대의 조선, 근대의 한국, 근대의 일본에서 국가 경제 기관을 계획할 때, 어떻게 다른 종류의 도덕적 설득 방식을 사용했고, 왜 그렇게 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의 사례 연구는 먼저 John Lie (1992)에 의해 개발되었던 교환의 방식이라는 개념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것은 Marx의 이론 또는 A. Smith의 자유시장 이론에서 설명하는 것보다 전근대에서 근대로 경제 제도가 변화하는 것을 잘 설명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근대와 근대에는 결정론적이고 유럽 중심적인 경제사의 해석과는 달리, 서로 다른 교환의 방식이 공존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교환의 방식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동아시아의 지도자나 정책 입안자가 장원, 시장, 기업가 그리고 중상주의의 도덕적 설득 방식을 사용했다는 것을 고려할 때, 경영 윤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같은 개념은 전적으로 유럽의 경제적 이데올로기라고 볼 수 없다. 이와 비슷한 관점으로, 21세기에 시장과 기업가적 교환 방식이 우세한 것은 복지와 공공부문의 경제 그리고 보호주의와 같은 여러 교환의 방식들이 경쟁하는 과정에서 나온 보완적 결과물이라 생각할 수 있다.

    2. 영미의 경영 윤리에 영향을 미친 주요 이데올로기와 철학에 대한 논의.
    이 논문은 교환의 방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17세기와 19세기 사이, 영국과 미국의 경제적 합리성과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도덕적 정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표면적으로 볼 때, 각 사회는 사회정치적인 결과로 개인의 부의 축적이나 개인주의 그리고 정치적 자유가 보장이 되는 것 같아 보인다. 이러한 전통적인 이해와는 달리, 초기의 영국 그리고 미국의 시장 경제를 지탱하는 사회경제는 귀족제와 대중을 기반으로 서로 다르게 만들어졌다. 특히나 영국은 토지를 가진 귀족들이 신사적 자본주의와 눈에 띄는 소비 문화를 가진 향유 계급을 만들어 낸 것에 반하여, 초기 미국의 자본가들은 청교도 윤리에 입각하여 근면함과 노동을 중시하는 보습을 보인다. 이와 같이 겉으로 는 서로 매우 비슷해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윤리적 정당성이나 기업 경영에서 매우 다른 양상이 존재한다. 이는 교환 방식의 발전에 있어서 각기 지정학적이고 역사적으로 특별한 도덕적인 또는 윤리적인 정당성이 필요하다는 가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3. 경영 윤리와 정부: 조선 시대의 시장 개입.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왕과 지도층이 채택한 윤리적 경영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대동법의 조세 개혁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개혁을 자본주의 태동의 효시로 해석하는 기존의 시각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개혁을 기존의 장원 그리고 중상주의적 교환 방식을 공고히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대동법 개혁이 유교적 호의를 통해 왕조의 전통적 경제구조를 강화시키는 경제적이고 윤리적인 동기에 대해서도 조명해 보았다. 조세 시스템은 효율성의 측면을 강조한 시장 제도와는 달리, 인도주의적 원리와 유교 이념으로 도덕적 정당화되었다. 예를 들어, 유교의 윤리적 설득은 동아시아에서 조선이 장원과 중상주의 원칙을 19세기까지 고수하도록 만들었다.
  • 영문
  • 1. Comparing State Economic Ideologies and Business Ethics in East Asia, Ingyu Oh
    This special issue deals with modes of ethical persuasion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of the national economy in East Asia from the periods of the 14th century to the modern era. Authors in this volume ask how and why governments in pre-modern Joseon Korea, modern Korea, and modern Japan used moral persuasions of different kinds in designing national economic institutions. Our case studies demonstrate that the concept of modes of exchange first developed by John Lie (1992) provides a more convincing explanation on the evolution of pre-modern and modern economic institutions compared with Marx’s modes of production as historically-specific social relations or Smith’s free market as a terminal stage of human economic development. The pre-modern and modern cases presented in this volume reveal that different modes of exchange have coexisted throughout human history, contrary to deterministic and Eurocentric views of economic history. Furthermore, business ethics 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t a purely European economic ideology, because manorial, market, entrepreneurial, and mercantilist moral persuasions had widely been used by state rulers and policymakers in East Asia for their programs of advancing dissimilar modes of exchange. In a similar vein, the domination of the market and entrepreneurial modes in the 21st century world is also complemented by other competing modes of ex-change, such as state welfarism, public sector economies, and protectionism.

    2. Beneath the Surface: A Discussion of Prominent Ideologies and Philosophical Influences on Anglo-American Business Ethics, Hannah Jun
    This paper examines the economic rationalization and moral justification of capitalist systems in England and America betwee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within the framework of modes of exchange. On the surface, there existed a shared sociopolitical outcome which legitimized personal wealth, individualism, and political liberty. But contrary to conventional understanding, early English and American socioeconomic underpinnings of the market economy created different, if not divergent, motivational bases among the state, aristocracy, and the masses. Specifically, the English landed gentry formed a leisure class that shaped a culture of “gentlemanly” capitalism and enjoyed conspicuous consumption, while early American capitalists championed labor and hard work in tandem with a marked Puritan ethic. Thus, even for seemingly similar modes of exchange, very different patterns of ethical justifications of business practices existed. This supports the broader hypothesis that the evolution of modes of exchange requires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specific moral or ethical justifications.

    3. Business Ethics and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Market in Joseon, Sangsoon Kang, Joohee Choi
    This paper analyzes the Daedongbeop tax reform to under-stand management ethics adopted by the kings and elite of late Joseon. Unlike other interpretations that view such reform as evidence of a linear movement towards a capitalist market system, this paper argues that such tax reform represented efforts at defending manorial and mercantilist modes of exchange and highlights the economic and ethical incentives of the Confucian goodwill that reinforced the traditional economic basis of the dynasty. The moral justification of the tax system was Confucian in nature and emphasized its humanitarian principle in contrast with justifications of efficiency for the market mode. As such, the Confucian ethical persuasion helped Joseon to hold on to firm manorial and mercantile rule in East Asia and maintained its hold going into the 19th centu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Comparing State Economic Ideologies and Business Ethics in East Asia, Ingyu Oh
    This special issue deals with modes of ethical persuasion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of the national economy in East Asia from the periods of the 14th century to the modern era. Authors in this volume ask how and why governments in pre-modern Joseon Korea, modern Korea, and modern Japan used moral persuasions of different kinds in designing national economic institutions. Our case studies demonstrate that the concept of modes of exchange first developed by John Lie (1992) provides a more convincing explanation on the evolution of pre-modern and modern economic institutions compared with Marx’s modes of production as historically-specific social relations or Smith’s free market as a terminal stage of human economic development. The pre-modern and modern cases presented in this volume reveal that different modes of exchange have coexisted throughout human history, contrary to deterministic and Eurocentric views of economic history. Furthermore, business ethics 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t a purely European economic ideology, because manorial, market, entrepreneurial, and mercantilist moral persuasions had widely been used by state rulers and policymakers in East Asia for their programs of advancing dissimilar modes of exchange. In a similar vein, the domination of the market and entrepreneurial modes in the 21st century world is also complemented by other competing modes of ex-change, such as state welfarism, public sector economies, and protectionism.

    2. Beneath the Surface: A Discussion of Prominent Ideologies and Philosophical Influences on Anglo-American Business Ethics, Hannah Jun
    This paper examines the economic rationalization and moral justification of capitalist systems in England and America betwee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within the framework of modes of exchange. On the surface, there existed a shared sociopolitical outcome which legitimized personal wealth, individualism, and political liberty. But contrary to conventional understanding, early English and American socioeconomic underpinnings of the market economy created different, if not divergent, motivational bases among the state, aristocracy, and the masses. Specifically, the English landed gentry formed a leisure class that shaped a culture of “gentlemanly” capitalism and enjoyed conspicuous consumption, while early American capitalists championed labor and hard work in tandem with a marked Puritan ethic. Thus, even for seemingly similar modes of exchange, very different patterns of ethical justifications of business practices existed. This supports the broader hypothesis that the evolution of modes of exchange requires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specific moral or ethical justifications.

    3. Business Ethics and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Market in Joseon, Sangsoon Kang, Joohee Choi
    This paper analyzes the Daedongbeop tax reform to under-stand management ethics adopted by the kings and elite of late Joseon. Unlike other interpretations that view such reform as evidence of a linear movement towards a capitalist market system, this paper argues that such tax reform represented efforts at defending manorial and mercantilist modes of exchange and highlights the economic and ethical incentives of the Confucian goodwill that reinforced the traditional economic basis of the dynasty. The moral justification of the tax system was Confucian in nature and emphasized its humanitarian principle in contrast with justifications of efficiency for the market mode. As such, the Confucian ethical persuasion helped Joseon to hold on to firm manorial and mercantile rule in East Asia and maintained its hold going into the 19th century.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
    첫째, 동양3국의 경제사상과 경영윤리를 비교하고, 그것을 또 서양의 경제사상과 경영윤리와 비교해 봄으로써, 세계에서는 최초로 고전에 충실한 해석을 통한 이론적 연구 결과로 인식되어 학문적 기여를 할 수 있다.
    둘째, 동양에서는 일본 만이 서양적인 경제사상과 경영윤리를 가지고 있었다는 기존의 오류를 수정하고, 문헌적으로 밝힘으로 써, 학문적 기여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동양 3국의 전통적인 경제사상과 경영윤리를 밝혀냄으로써,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기업 윤리에 관한 향후 정책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동반성장이나 고용증대를 위한 경영 윤리의 척도를 제시할 수 있다.
    2. 인력양성 및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첫째, 기존의 경제사상이나 기업윤리 과목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새로운 동ㆍ서양의 기업윤리관을 학생들에게 교육할 수 있다.
    둘째, 대학원 과정에서 동ㆍ서양 기업윤리관의 비교나 동양3국의 기업윤리관 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셋째, 특히 인문계 대학원 학생들이나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융합 연구 분야를 제공하여 인문계 전문 인력의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색인어
  • 1. 동아사아의 경제적 이데올로기와 경영 윤리의 단계 비교. : 경영 윤리, 동아시아, 일본, 조선, 한국, 교환 방법 2. 영미의 경영 윤리에 영향을 미친 주요 이데올로기와 철학에 대한 논의 : 미국, 경영 윤리, 교환 방법, 청교도 윤리, 신사적 자본주의 3. 경영 윤리와 정부: 조선 시대의 시장 개입 : 경영 윤리, 대동법, 조선, 교환 방법, 선혜청, 유교적 호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