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소통과 융합
한글 읽기과학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3A2054928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2 년 (2013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조증열
연구수행기관 경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이광오(영남대학교)
mcbride(香港中文大學)
박순길(남부대학교)
문영주
최영은(중앙대학교)
김영숙(Florida State University)
김지연(영남대학교)
김태훈(경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며 우수한 문자로 인정되고 있다(Defrance, 1989; Ledyard, 1975; Reischauer & Fairbank, 1960). 특히 한글은 알파벳 문자(예, 영어)의 특성과 표의문자(예, 중국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인과 한국아동의 한글 정보처리 및 읽기/쓰기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세계 언어심리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예, Zigler & Goswami, 2005).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란 말처럼,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한글의 읽기/쓰기의 학습과정 대한 학술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가장 세계적인 수준의 사화과학 연구 분야로 집중적으로 키우고자 한다. 중형단계에서는 논문을 발표하고 전문가를 양성하여 학문적으로 기여하고 여러 대상(읽기부진, 다문화가정 등)을 연구하여 한국어 및 한글 학습을 실제적으로 돕고자 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한글읽기과학 연구소 (http://www.krihrs.com)를 운영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한글읽기과학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단에서 수행하는 구체적인 연구의 영역과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아동들이 한글의 읽기와 쓰기 (literacy: 문식성) 발달에 관여하는 정신과정을 밝혀보고, 읽기와 쓰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지각적 및 언어적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다른 문자(예, 영어와 중국어)의 영향변인과 어떻게 다른지를 언어심리학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세계적 수준의 이론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연구영역 1. 한글 읽기 발달의 세계적 수준의 이론적 연구).

    2. 교육환경이 열악한 지역(농어촌)의 아동들, 특정한 인지적 능력에서 결손을 보이는 읽기/쓰기/학습 장애 아동들, 또한 이중언어 및 이중문자 사용자인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한글 읽기와 쓰기 및 영향 변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읽기부진 아동을 위한 실제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연구영역 2. 다문화 가정, 읽기 장애, 소외된 환경의 아동 연구).

    3. 언어 및 읽기 검사의 표준화(연구영역 4)를 하여 문식성 발달 규준을 개발한다. 이것은 후학들이 이론적으로 읽기과학 연구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임상적으로 읽기/쓰기/학습 부진 혹은 장애를 조기에 탐지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실용적으로도 기여한다.

    4. 읽기 부진 아동을 위해서 중재하는 프로그램(연구영역 3. 중재연구)을 마련한다. 궁극적으로 온라인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여러 사람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5. 남북한 성인의 숙달된 문식력의 구조와 과정(연구영역 5)을 연구한다. 남북 간에는 오랜 분단으로 인해 한글의 맞춤법과 사용 어휘 등에서 많은 변화가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국가 통일과 두 체계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언어 및 문자의 통일이 중요하다고 보겠다. 더 나아가 다문화 배경을 가진 성인들의 한국어 및 문자의 사용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밝혀보고 이들의 한국에서의 언어적 및 생활에서의 적응을 실제적으로 돕고자 한다. 또한 일반 성인들의 명사와 용언의 사용에 대한 연구를 추가한다.

    6. 최근의 연구경향인 뇌과학 연구(연구영역 6)를 한다. fMRI(기능성 자기공명 영상장치)와 뇌파(ERP)를 측정하여 한글읽기와 신경가소성에 대한 뇌과학적 증거를 보여주고자 한다.

    종합하면, 궁극적으로 본 연구단은 세계적 수준의 한글 읽기과학 연구를 도모한다. 본 연구단에서는 이미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하여 좋은 연구업적을 내고 논문들은 SCI급과 국내 재단등재지에 출간하게 될 것이다. 또한 국내외 연구자 network를 형성하고자 한다. 연구자 네트워크를 국내의 학자들 (심리학자, 아동학자, 언어학자, 교육학자, 특수교육학자 등), 국외에 거주하는 한국인 혹을 외국 학자들, 미국 중국 등 외국에서 Heritage Language에서 혹은 Korean Studies에서 한국어를 지도하는 교육 전문가, 국내에서 읽기장애를 치료하는 임상전문가(practitioner), 신경학자(neurologist)들로 확대하고자 한다. 또한 해외거주 한민족(재외동포 및 해외거주 한국아동)의 한글 읽기 발달과정을 연구하고, 이들이 한국어와 한글을 유지할 수 있도록 Heritage Language Program을 지원한다. 따라서 국내외의 학회들, 즉 인지과학회, 인지심리학회, 심리언어학회, 세계한국어 학회, 국제 학술대회(Society for Scieitnfic Studies of Reading(SSSR), 동아시아 언어처리학회(ICPEAL)) 등을 통하여 국내외의 한글 읽기 과학자들과 소통하고 융합하여, 학제적 연구를 실현한다.
  • 기대효과
  • 1.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읽기과학 분야에서 이론적이고 학문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1). 한국어 문식성 연구의 세계화: 본 연구 결과들은 한글의 특성을 입증해줄 것이며, 여러 언어와 문자들의 처리 및 읽기 간의 유사성 혹은 특수성에 관한 학문적 기초 자료를 제시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보편적인 읽기 과학(New Universal Science of Reading)의 모형과 한글 읽기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특히 중형 단계에는 미국과 홍콩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학자들이 본 연구팀에 합류하였으므로 최신의 과제와 issue를 다루어 연구의 수준을 높이며 SCI급 국제 학술지에 논문의 출판이 더 많아질 것이다.
    (2). 자료의 수집과 활용 증진: 본 연구과제는 국내에 거주하는 아동(중산층 아동, 저소득층 아동과 다문화가정 아동)뿐만 아니라 해외 한인 아동, 탈북자 및 북한 아동의 문식성 발달과 영향요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한민족의 언어/문식성 발달과 장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국내외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
    (3). 연구 과제의 표준화: 본 연구과제에서는 연구도구들을 표준화하여 후속 연구의 수준을 높이고, 세계 어디에서도 한글 연구를 수월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본 연구 결과는 교육적이고 실제적인 기여를 한다.
    (1) 문식성 장애의 조기 진단과 중재: 미국 등의 선진 국가에서는 아동이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시점에 이들이 학업에 기본적인 인지능력(예, 음운인식 명명속도 등)이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검사한다고 한다. 읽기와 학습 장애의 원인이 되는 결손 유형을 조기에 진단하고 중재하는 것은 개인(아동과 부모)의 고통을 덜어줄 뿐 아니라 막대한 국력의 소모를 줄여준다. 한국이 선진사회가 됨으로서 개인의 인지적 결손 및 장애를 조기에 탐지하고 예방하고 중재하는 프로그램을 국가적으로 실시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팀의 연구들은 이런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2). 한민족 정책입안을 돕는다: 국내 외국인의 수가 100만 명을 육박하고 사상초유의 저출산율에 따라 급격한 인구변화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국가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재외 동포에 대해 참정권을 주는 문제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와 문식성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이들의 교육정책 입안을 돕게 된다. 더 나아가 다문화 가정의 아동과 어머니의 언어 및 문자 사용에 대해 연구하여 이들의 한국생활에의 적응, 언어적 적응, 아동의 학업적 성취를 돕는데 실질적을 기여한다.
    (3).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의 언어적 통일: 연변 출신 이주자 및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글/한국어 문식성의 연구는 남북한 주민의 문식성을 평가하고 향후 남북한의 맞춤법을 개선해나가는 데에 기여할 것이며, 장래에 남북한 통일이 이루어졌을 때 남북한의 신속한 언어적 통일을 위해서도 기여할 것이다. 이는, 명실공히 한글 연구를 통해서 우리 민족의 “소통”과 “융합”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중대형 단계에서는 소형단계의 연구를 계속 진행하면서 연구 영역을 확대하여 계획한다. 중형단계에서 연구영역은 6개이며 각 영역은 세부 연구 과제를 포함한다. 중형에서는 인지 및 행동 측정, 검사의 개발, 소규모 집단 중재 연구, 뇌과학적 측정(ERP, fMRI)등으로 연구의 방법이 다양해지며, 연구의 대상도 중상층 아동, 다문화가정의 아동, 저소득층 아동, 읽기 학습 부진아, 남북한 성인, 다문화가정의 성인 등으로 다양해진다. 소형단계에서 계속되는 과제는 4개이며, 중형에서 새로 시작되는 과제는 7개이다.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어의 문식성 발달에 관여하는 정신과정을 밝혀보고 문식성에 영향을 주는 인지 언어적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연구과제 1-1. 언어심리학적 7년 종단 연구(중산층 아동 연구)), 아동의 종단 연구를 통해 문식성 발달 경로를 확인해보고 (연구과제 I-2. 아동의 성장 경로(growth trajectory) 분석), 다른 언어와 한국어 읽기 발달 간의 비교언어 연구를 하여 언어가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혀본다(연구과제 1-3. 읽기 발달에서의 언어 간(한국어, 인도어, 중국어, 영어) 비교연구). 긍극적으로 세계적 수준의 한글 읽기과학의 연구결과를 얻고 출판한다.

    2. 교육환경이 열악한 다문화 가정의 아동과 저소득층 아동을 연구하여 이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들의 문식성 및 언어발달을 일반아동과 비교해보고 발달과정을 추적한다(연구과제 2-1. 다문화 가정의 아동 7년 종단 연구; 연구과제 2-2. 저소득층 아동의 종단 연구).

    3. 소형연구에서 얻은 종단적 자료로 다문화가정의 아동, 저소득층 아동, 및 읽기 학습 장애 아동들의 문식성 발달을 증진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연구 3: 중재연구).

    4. 언어 및 읽기 검사를 국가적으로 표준화하여(연구영역 4) 정상 수준 이하인 아동을 선별하고 진단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5. 북한의 탈북자 및 연변의 조선족을 대상으로 남북한 맞춤법이 문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보고, 남북한의 언어 및 문자의 사용에 대한 언어심리학적 연구를 실시하여 궁극적으로 남북한의 언어적 통일을 지향하고 대비한다(연구과제 5-1. 표기법이 문식성에 미치는 영향: 언어심리학적 연구). 또한 중다언어사용자(예: 베트남어-한국어 이중언어자)들이 한국어의 문식성을 습득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한국어 독서 수행을 조사하여 궁극적으로 이들이 한국사회에의 적응을 돕고자 한다(연구과제 5-2 다문화-다언어적 맥락 속에서의 문식성 비교 연구). 또한 한국 성인의 명사와 용언의 사용을 연구한다(연구과제 5-3). 특히 한국어 명사와 동사의 중의어 처리 과정을 점화효과, 안구운동 추적, ERP의 측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밝혀보아 한국인의 언어처리과정을 밝혀보고자 한다.

    6. 연구영역 6(뇌과학 연구)에서는 읽기과학에서 뇌과학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과제 6-1에서는 문식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중재효과에 대한 ERP를 측정하여 중재효과에 대한 뇌과학적 증거를 찾아보고자 한다(연구과제 6-1. 문식성 장애 아동에 대한 중재효과에 대한 뇌과학 연구: ERP 연구). 또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처리(예, 한자어)에 관한 뇌과학적 증거를 찾아보고자 한다(연구과제 6-2. 한자어 문식성에 대한 뇌과학 연구: fMRI 연구).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단에서는 한글을 배우고 사용하는 다양한 대상자(아동 및 성인)에게 한글 읽기(문식성 혹은 문해)에 관한 과학적 연구를 실시하여 이 분야의 이론적, 학문적 발전을 이룩하고자 하였고, 한글 읽기 부진아들을 위한 한글 읽기 교육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난독증 진단 검사의 개발 등으로 현실적인 적용을 하려는 두 줄기 큰 목표를 수립하였다. 위 목표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6개의 하위영역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영역1– 한글 읽기 발달의 세계적 수준의 이론적 연구
     연구영역2- 다문화 가정, 읽기장애, 소외된 환경의 아동 연구
     연구영역3– 중재연구 (지도, 훈련하는 방법을 제공)
     연구영역4- 언어 및 읽기 검사의 표준화 (읽기쓰기 학습장애 아동을 선별하고 진단)
     연구영역5- 남북한 성인의 숙달된 문식력의 구조와 과정 연구
     연구영역6- 뇌과학 연구 (한국어 및 한글 사용에 나타나는 신경처리과정 연구)

    위의 영역에서 중형 2년동안 연구한 결과, 본 연구단에서 출판한 논문 및 저서 실적은 26편으로 비교적 많은 편이었다. 이들 중 SSCI급 논문 3편, Scopus급 논문 3편, 학진등재(후보)지 논문 16편, 저서 1편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단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크게 두 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한글 읽기 및 교육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글의 사용에 관한 기초 과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성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물론, 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계층(다문화, 읽기 부진, 저소득층 등)에 대한 연구, 언어적 통일을 위한 남북한의 한글 사용 양상 연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글 읽기 발달 과정에 대한 토대를 구축하고 있는 연구 영역 1을 비롯해, 연구 영역 5에서는 남북한 성인의 읽기 구조 및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미 상당한 성과를 이루어낸 연구 영역 1의 결과를 연구 영역 2, 4로 확장하여 실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둘째, 한국어와 한글의 사용 및 학습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단의 연구 영역 2에서는 연구 성과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용하는 노력을 하였다. 읽기•쓰기 학습에 장애 혹은 곤란을 보이는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읽기•쓰기 학습에 필요한 인지적 능력, 주의집중력, 심리정서적 건강, 효능감 등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 및 학업 부진 아동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직접적으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이유(다문화, 저소득)로 읽기 부진 양상을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이들의 학업적 성취, 심리•정서적 건강 및 학교 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읽기•쓰기 학습 장애 아동의 조기 선별 및 진단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바, 이를 위해 언어 및 읽기 검사를 표준화하고(연구 영역 4), 이들에 대한 지도 및 훈련 방법을 직접적으로 제공하고자 중재연구(연구 영역 3)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단의 연구업적은 다음과 같이 한국의 사회과학 연구에 기여하고 한국 교육과 사회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단의 연구 업적은 한글 사용에 관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로 남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단의 업적은 다양한 한글 사용자들(읽기•쓰기 학습부진, 난독증 아동 및 학부모, 다문화 가정 아동 및 어머니, 저소득층 아동)의 한글 및 한국어 학습을 위해 실질적, 정책적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영문
  • Our research team has been studied in 6 areas related to Hangul reading (literacy) and Korean language in order to pursue two main research purposes. The first purpose was to establish a theoretical development on Hangul research. The second purpose was to practically apply our theoretical research outputs to Korean education and society by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intervention programs, and diagnosis tools for dyslexia and reading difficulties. The six study areas are as follows:
    Study Area 1: Theoretical studies of Hangul literacy development
    Study Area 2: Applied studies for children having high risk of reading disabilit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w income families
    Study Area 3: Intervention studies to train children with reading problem
    Study Area 4: Developing standardized tests of Hangul reading and Korean language
    Study Area 5: Comparisons of Hangul reading process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adults and children)
    Study Area 6: Neuroscience studies on the use of Hangul and Korean language

    During the two years of Intermediate Stage of SSK, we printed 26 publications including 3 papers of SSCI journals, 3 papers of Scopus journals, 16 papers of KCI journals, and 1 book. Our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wo main points as follows.
    First, we performed basic theoretical research regarding Hangul reading, development, and education at the internationally highly qualified level. Note that some of publications were printed in the internationally famous journals. We tested average Korean children to collect basic scientific data (Study Area 1) and also tested children and adults who need special cares for their low performances in literacy and Korean language and who live in underprivileged environments such as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w income families (Study Area 2). We also tested Hangul literacy and word process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in Yeonbeon in China who speak Korean language to compare their Hangul processing with the counterparts of South Korean students (Study Area 5). In particular, methodologies and testing tools of Study Area 1 were applied to Study Areas 2 and 4 because many studies were already conducted and published in the Study Area 1.

    Second, we tested children who need special training and education for Hangul literacy and Korean language. Specifically,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living in rural communities were tested longitudinally in their use of Korean language and Hangul literacy (Study Area 2). In addition, children who have high risk of reading difficultie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children with average reading skills in their cognitive skills, attention, psychosocial and emotional health, learning efficacy, and other aspects. These results would practically help children in need by providing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school achievement and adjustment. Our research encompasses the improvement of school achievement, psychosocial and emotional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in children in need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their literacy skills. In addition, currently, it has been discussed in the Korean society about how to screen and diagnose children with dyslexia and reading disability at an early age such as elementary grade 1 and how to provide them training and intervention at an early and appropriate tim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u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tests on reading and Korean language (Study Area 4) and intervention (Study Area 3) would help children in need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Therefore, our studies could be directly and practically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and Korean society.
    In sum, publications and outputs of our research team would give theoretical impacts to the social science studies in Korea as well as in the world. In addition, our research would give practical impacts to diverse users and learners of Hangul in Korea as well as in the wor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단에서는 한글 읽기의 과학적 연구를 통한 이론적이고 기본적인 연구로 이 분야의 학문적 기초를 다지고자 하였고, 한글 읽기를 위한 진단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현실적인 적용이 가능한 연구를 한다는 두 줄기 큰 목표를 수립하고, 아래와 같이 6개의 하위영역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영역1– 한글 읽기 발달의 세계적 수준의 이론적 연구
    연구영역2- 다문화 가정, 읽기장애, 소외된 환경의 아동 연구
    연구영역3– 중재연구 (지도, 훈련하는 방법을 제공)
    연구영역4- 언어 및 읽기 검사의 표준화 (읽기쓰기 학습장애 아동을 선별하고 진단)
    연구영역5- 남북한 성인의 숙달된 문식력의 구조와 과정 연구
    연구영역6- 뇌과학 연구 (한국어 및 한글 사용에 나타나는 신경처리과정 연구).

    중형 2년동안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연구단에서 출판한 논문 및 저서 실적은 26편으로 비교적 많은 편이었다. 이들 중 SSCI급 논문 3편, Scopus급 논문 3편, 학진등재(후보)지 논문 16편, 저서 1편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단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한글 읽기 및 교육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글의 사용에 관한 기초 과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성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물론, 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계층(다문화, 읽기 부진, 저소득층 등)에 대한 연구, 언어적 통일을 위한 남북한의 한글 사용 양상 연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글 읽기 발달 과정에 대한 토대를 구축하고 있는 연구 영역 1을 비롯해, 연구 영역 5에서는 남북한 성인의 읽기 구조 및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미 상당한 성과를 이루어낸 연구 영역 1의 결과를 연구 영역 2, 4로 확장하여 실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둘째, 한국어와 한글의 사용 및 학습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단의 연구 영역 2에서는 연구 성과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용하는 노력을 하였다. 읽기•쓰기 학습의 장애 혹은 곤란을 보이는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학습 장애 및 부진 아동이 어떤 변인에서 차이를 보이는 지 또한 정상적인 읽기•쓰기 학습에 필요한 인지적 능력, 주의집중력, 심리정서적 건강, 효능감 등의 영향을 총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 및 학업 부진 아동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이유(다문화, 저소득)로 읽기 부진 양상을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들의 학업적 성취, 심리•정서적 건강 및 학교 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읽기•쓰기 학습 장애 아동의 조기 선별 및 진단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바, 이를 위해 언어 및 읽기 검사를 표준화하고(연구 영역 4), 이들에 대한 지도 및 훈련 방법을 직접적으로 제공하고자 중재연구(연구 영역 3)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단의 연구업적은 한국의 사회과학 연구의 세계화에 기여하고 한국 교육, 사회 및 정책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단의 연구 업적은 한글 사용에 관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로 남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단의 SSCI급 논문이 실린 잡지인 Child Development는 impact factor가 4.72인 A+급 국제학술지로 연구 수준이 매우 높은 편이었다. 앞으로 SSCI급 논문이 더 출판될 것이므로, 한글에 관한 연구를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단의 업적은 다양한 한글 사용자들(읽기•쓰기 학습부진, 난독증 아동 및 학부모, 다문화 가정 아동 및 어머니, 저소득층 아동)의 한글 및 한국어 학습을 위해 실질적, 정책적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단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크게 두 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한글 읽기 및 교육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한글의 사용에 관한 기초 과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성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물론, 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계층(다문화, 읽기 부진, 저소득층 등)에 대한 연구, 언어적 통일을 위한 남북한의 한글 사용 양상 연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글 읽기 발달 과정에 대한 토대를 구축하고 있는 연구 영역 1을 비롯해, 연구 영역 5에서는 남북한 성인의 읽기 구조 및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미 상당한 성과를 이루어낸 연구 영역 1의 결과를 연구 영역 2, 4로 확장하여 실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둘째, 한국어와 한글의 사용 및 학습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단의 연구 영역 2에서는 연구 성과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용하는 노력을 하였다. 읽기•쓰기 학습에 장애 혹은 곤란을 보이는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읽기•쓰기 학습에 필요한 인지적 능력, 주의집중력, 심리정서적 건강, 효능감 등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 및 학업 부진 아동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이유(다문화, 저소득)로 읽기 부진 양상을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이들의 학업적 성취, 심리•정서적 건강 및 학교 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읽기•쓰기 학습 장애 아동의 조기 선별 및 진단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바, 이를 위해 언어 및 읽기 검사를 표준화하고(연구 영역 4), 이들에 대한 지도 및 훈련 방법을 직접적으로 제공하고자 중재연구(연구 영역 3)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단의 연구업적은 다음과 같이 한국의 사회과학 연구와 한국 사회에 기여하고 활용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단의 연구 업적은 한글 사용에 관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로 남을 것이다. 본 연구단에서 출판된 논문 및 저서 실적은 26편으로 비교적 많은 편이다. 이들 중 SSCI급 논문 3편, Scopus급 논문 3편, 학진등재(후보)지 논문 16편, 저서 1편이 포함되었다. 특히 SSCI급 논문이 실린 잡지인 Child Development는 impact factor가 4.72인 A+급 국제학술지이며, Reading Research Quarterly의 impact factor는 2.7로 연구 수준이 매우 높은 편이었다. 앞으로 SSCI급 논문이 더 출판될 것이므로, 한글에 관한 연구를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단의 업적은 다양한 한글 사용자들(읽기•쓰기 학습부진, 난독증 아동 및 학부모, 다문화 가정 아동 및 어머니, 저소득층 아동)의 한글 및 한국어 학습을 위해 실질적, 정책적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연구영역2의 다문화 가정, 읽기장애, 소외된 환경의 아동과 어머니에 관한 연구결과는 이들의 학교, 학습, 사회에의 적응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며, 또한 정책 입안에 도움이 될 것이다.

     ○2 연구영역3의 중재연구 (지도, 훈련하는 방법을 제공)의 결과는 읽기 및 쓰기의 여러 단계(예, 해독 단계, 유창성 단계, 독해력 단계)마다 효율적인 훈련 방법을 제공하게 되므로, 학교 및 가정의 현장에서 난독증 및 학습 부진아의 지도에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읽기•쓰기 학습부진 아동을 위한 중재연구가 많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이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 ○3 연구영역4의 언어 및 읽기 검사의 표준화 (읽기•쓰기 학습장애 아동을 선별하고 진단) 연구는 세계 어느 곳에서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을 한국어 및 한글 읽기•쓰기와 관련된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한글 연구의 세계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의 난독증 및 읽기 학습부진 아동을 조기에 진단하고 이들의 인지적 결손을 진단할 수 있어서, 이들의 조기 중재가 가능할 것이다. 즉 읽기 학습장애 및 난독증 아동의 학습과 학부모 및 교사의 지도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4 국어 교육의 정책 및 교사 교육 및 훈련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단의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입학 직전에 받침 없는 글자를 완전히 못 읽는 아동은 7%이며 초등학교 1학년 여름방학 직전에 받침있는 글자를 완전히 못 읽는 아동은 20%에 달한다. 현재 유치원에서 한글교육이 실시되고 있지 않으며 초등학교 1학년에 한글지도는 30시간 미만이며, 한글교육이 주로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한글 학습에 사교육을 줄이기 위해서 유치원부터 기본적인 한글교육이 필요하며 초등 저학년에는 한글 미해독 아동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한글지도가 필요하며, 이에 관한 국가적 논의 및 새로운 한글 교육 정책 입안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한글, 한국어, 읽기발달, 읽기 장애, 난독증, 다문화 가정, 저소득 가정, 읽기 중재, 표준화된 읽기 검사, 표준화된 한국어 검사, 언어간 비교 연구, 학습장애 아동, 남북한 성인의 문식성, 읽기에서 남북한 차이, 동음어 처리, 뇌과학 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