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글로컬 생활세계로서의 다문화에 대한 가치창조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40;인문사회분야&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B8A01054225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3 년 (2013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정옥
연구수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신창석(대구가톨릭대학교)
김태원(대구가톨릭대학교)
최대희(대구가톨릭대학교)
이용재(대구가톨릭대학교)
신난희
박종수
SHEN SHAWN(대구가톨릭대학교)
이수미(대구가톨릭대학교)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다문화연구들의 실천적 측면을 모두 검토하는 작업을 하며,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통해, 실제 이주자들의 삶을 현실성 있게 추적하고 그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다문화연구의 객관적 자료를 구축할 것이다. 생애사를 통해 이주자가족의 과거 경험을 살펴보고, 현재의 삶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지 또 앞으로의 삶이 어떻게 진행될 지를 살펴보는 것은 개인에게 있어서는 통찰적 삶의 기회를, 사회적으로는 사회·문화적 통합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주자의 한국사회에서의 위치를 추적하여 기록하고 한국사회의 문화적 아카이브 구축함으로써 한국사회를 재해석하고 새로운 생활세계의 가치관 확립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다음의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한다.
    1) 한국사회의 일상적 기본가치를 찾아내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전통적 가치로 부터 근대적 가치로의 이양이 순조롭지 못했던 한국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론적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한국사회의 일상적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일상적 기본가치를 찾아내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다문화 사회로 이양되면서 개인은 다양한 가치에 노출되고 가치의 혼란을 경험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상실로부터 유래되는 아노미적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와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문화시대에 형성될 수 있는 가치의 난립으로부터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막을 수 있는 다문화 감수성과 사고의 유연성을 통해 사회통합과 건전한 사회적 기반 조성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찾고자 한다. 2단계 연구는 이러한 3단계 연구의 실천적 단계로 2단계 연구의 현상연구 데이터의 축적과 이를 통한 객관적 가치에 접근하기 위한 실천연구가 목적이다.
    2) 이주민들의 본국문화와 한국의 전통문화는 일상의 생활세계 속에서 어떻게 병존하고 있는지 이에 대한 실태를 규명하고, 해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현지의 이주민과, 다문화연구의 실태를 점검하고 비교하여 보다 객관적인 한국 다문화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3) 연구과정에서 축척된 결과로 파생된 다문화연구관련 아카이브를 구축할 것이다. 1 단계 연구를 진행하면서 국제적 네트워크가 확대되고 마련된 상태이다. 이러한 국제 네트워크 기반를 통해 2단계에서는 연구과정에서 축척된 결과로 파생된 다문화연구 관련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미 1단계 연구에서 이주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논문과 총서를 간행하였지만, 이는 지역적 제한과 대상의 협소함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2 단계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대상을 결혼이주민 뿐만 아니라, 전체 이주민을 대상으로 확대하고 연구필드를 지역 전체와 국제적 네트워크를 통해 확장함으로써, 다문화연구의 지평을 넓혀 나갈 것이다.
    4) 다문화 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한국에서의 다문화 연구를 실천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추적하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3단계 연구의 핵심인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1단계의 이론적 경향연구는 실천연구의 범위를 재고할 수 있게 하였고, 그 결과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연구지역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 기대효과
  • - 한국의 다문화현상에 연구영역 확대
    - 사회적 기본가치 탐구 및 일반화
    - 생활세계로서의 다문화 가치창조
    - 학문적 기여와 교육 연계 활용
    - 새로운 연구 및 정책 방향 제시
    - 사회통합에 기여
    - 인재양성
    - 한국의 이주민의 인권행위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배려의 대상이 아니라 스스로 권리와 의무의 주체라는 인식의 전환.
    - 한국사회의 주류가 이주민 역시 한국사회에서 생활하는 중요한 구성원이자 주체임을 수용하고 이주자의 집단적 정체성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구체적 근거마련.
    - 한국 다문화관련 법제의 검토를 통하여 관련법규들의 공통점과 그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요소를 추적함으로써 더 보편적인 법규를 찾아 공통의 합의 기준으로서 가치마련.
    - 한국 다문화 관련 법제의 정비를 위하여 반드시 고려해야 할 법적 기반으로서 다문화관점의 제시.
    - 사회의 구성단위인 개인과 집단이 편견과 선입견으로부터 해체되고, 이들을 사회연대적으로 협력케 하고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법제도로 나아가기 위한 패러다임을 구축함으로써 법제도와 법 정책을 통한 사회통합의 기반마련
    - 우리나라 다문화 가족 가족구성원의 심리사회적 적응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정책 수립 자료로 활용.
    - 다문화 가족의 결혼이주여성과 시부모, 그리고 자녀의 심리사회적 부적응 문제를 진단함으로써 대상자별 심리사회적 서비스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 다문화 가족에서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부적응 문제의 유형과 이러한 부적응 문제를 야기하는데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해 냄으로써 향후 부적응 문제 예방과 관련된 정책 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
    - 다문화 가족의 가족 구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지역사회 내의 관련 기관들의 자원연결망을 구축하고, 효과적인 서비스 지원체계를 구성하는 근거를 마련.
    - 다문화 가족의 부모와 자녀가 겪는 심리사회적 부적응 문제를 조기진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진단유형에 적합한 심리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
    - 장기적으로는 다문화 가족의 부모와 자녀의 심리사회적 부적응 문제를 진단하는 진단도구개발과 진단유형별 심리사회적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작업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
    ○ 3단계 연구과제인 ‘글로컬 생활세계로서 다문화에 대한 가치관 모색 및 심리사회적 적응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여러 유형의 경험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글로컬 생활 세계 속에서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규정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신뢰성 있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다문화 교육정책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실천방안을 모색할 수 있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다문화 교육을 위한 정보와 이론, 실천방안의 제시뿐만 아니라 다 학문 간의 융, 복합적 연구 체계의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의 두 부분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이 부분의 상호연관성에 의한 가치변동을 연구하고 있다. 1단계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 연구였다면, 2단계는 global적 영향에 의해 가치변화가 지역적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더 나아가 다양한 글로벌 가치, 이러한 가치를 한국사회에 침착시키는 이주민과 이들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화된 가치를 수용하면서 로컬리티(locality)의 정체성과 전통을 유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본 연구소는 연구소 소속의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와 이주민 밀집지역에 대한 연구를 1단계 연구 수행기간 동안 이미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인 네트워크 확장을 통한 국외지역 연구를 위해 필리핀 UEP대학과 베트남 하노이 국립대학교 사회과학대학과 이미 공동연구를 위한 상호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러한 국외지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이주가 단순히 경제적 차원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인간의 내적 동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만큼, 이주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역에 대한 국외연구는 한국사회로 이주해오는 이주민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고, 그들의 로컬문화를 이해함으로써 한국사회의 가치변동을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독립된 학문분야라기 보다는 각기 다른 학문 분야의 방법론이 적용되어 연구가 이루어지는 융합학문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다문화가 문화의 특성처럼 인간의 삶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인문학과 사회과학적 사고의 전체에 기반해야 하며, 이는 곧 생활세계적 관점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세부 과제로 나누어져 있지는 않지만, 다문화현상에 대한 각 분야별 연구를 통해 생활세계의 가치변화에 적응하고, 변화되며, 변화되는 삶의 양식을 추적하기 위한 연구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생활세계 가치변화를 연구하는 데 가장 필요한 영역인 사회, 문화, 종교, 철학 분야와 정치학, 법학, 심리 및 사회복지 분야 그리고 교육분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미시적 연구, 질적연구, 실천연구와 아카이브 구축,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가 학제 간 연구로 진행되는 이유는 다문화 현상이 특정 분야 학문의 연구방법이나 분석에 의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간사회에서 가치가 생성되고 가치변동이 일어나는 것은 인간행위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것으로 인간의 심리적 요인, 문화적 요인, 국가정책적 용인, 삶을 지향하는 개인의 지향점, 교육정도 등 매우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이주민의 문화적응과 한국사회의 가치변화를 연구하는 것으로 각 학문 분야의 이론과 현장의 실증연구가 결합되고, 이러한 연구의 분석이 다른 학문분야와 통합되고 조절 될 때, 현실을 가장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가치연구의 이론적 지향점에 중요한 철학과 신학, 윤리학 분야의 연구와 사회과학적 연구,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의 미시적 연구, 심리학적 관점의 현실 적응과 부적응에 대한 실증적 연구, 법학과 정치학의 인권이나 다문화 정책에 관한 연구,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정책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복지 실천을 통해 어떻게 이주민이 한국사회로 통합될 것인가에 대한 연구들의 상호 교류를 통한 연구는 사회문제의 해결에 단일 분야의 연구보다 더 나은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생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실을 대상으로 한다면, 한국사회의 새로운 가치창조와 사회구성원들의 가치지향점을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생활세계로서의 다문화에 대한 학제적 실천 연구 및 아카이브구축”을 목표로 수행되는 본 연구는 “글로컬 생활세계로서의 다문화에 대한 가치창조적 연구”의 2단계 연구이다. 이때 본 연구는 이주민의 고향가치와 로컬가치의 갈등과 변형이라는 가치변동 현상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는데, 그것은 본 연구의 토대를 형성하는 생활세계적(life-world) 관점이 이주민의 관점에서 그들의 삶의 경험을 바라본다는 함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의 가치변동을 보다 근본적으로 추적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현지연구와 이주민이 한국에 입국한 이후 문화적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를 입체적으로 연관시켜야만 진정한 의미의 사회통합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주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을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사회통합 과제의 실천과 연관되어 있다.
  • 영문
  • This research is a second level research of “A Value-creative Study on the Multi-Culture as glocal Life-World,” with a goal of “An interdisciplinary practical Study of Muti-Culture as Life-world and a Building of the Archives.”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the value-shift phenomena in conflict and transformation of migrants’ homeland-value and local-value. This research has emphasized through the life-world perspective, which forms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migrants’ life experience from their perspective. This research has seeked to transcribe value-shift of a South Korean society entering into multi-cultural age. Thus this thesis could maintain that the social integration can not be achieved without connecting the local research with a research on migrants’ post-entry cultural adaptation. This research is related with the practical fulfillment of social integr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현상과 다가올 미래의 다인종, 다문화사회에 대한 연구로 다문화를 생활세계(life-world)적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총괄연구의 주제를 “글로컬 생활세계로서의 다문화에 대한 가치창조적 연구”로 정하였다. 그리고 지난 1단계 3년간의 연구주제를 “다문화 연구의 이론적 지형 분석 및 학제적 상관 연구”로 정하여, 한국사회의 다문화 연구경향과 구체적인 실천의 양태에 대해 연구를 수행했다. 이러한 연구는 2단계의 연구주제 “생활세계로서의 다문화에 대한 학제적 실천 연구 및 아카이브구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때 2단계 연구는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의 상호 연계성에 바탕을 둔 실천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는 이주민은 그 속성상 1차적으로는 자신의 문화적 원형인 로컬리티(locality)에 정체성의 바탕을 두고 있는 존재이면서 동시에 글로벌적 속성도 지니고 있는 문화의 주변인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은 초국가주의를 실천하는 주체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들의 새로운 생활세계인 지역과 과거의 생활세계를 로컬리티와 글로벌이라는 시간적・공간적 동시성에 기반을 둔 실천연구를 통하여 양자의 상호연관성에 의한 가치변동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영향에 의한 가치변화가 지역적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다양한 글로벌 가치를 한국사회에 침잠시키는 이주민과 그들의 사회・문화적 환경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이주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을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사회통합 과제의 실천과 관계되어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2단계 총괄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제적’ 실천 또한 우리 연구소가 심혈을 기울였던 부분이다. 이주에 따른 다문화현상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그리고 개인과 집단, 공동체, 국가 등 한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분과 학문 시스템으로는 총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포괄적 대안을 산출하는 데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학제적 실천연구를 위해 1단계 기간 연구소는 여러 학문분과 간의 협업을 진행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주가 단순히 경제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인간의 내적 동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만큼, 이주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역에 대한 국외연구는 한국사회로 이주해오는 이주민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고, 그들의 로컬문화를 이해함으로써 한국사회의 가치변동을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추적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축적된 연구 자료는 본 연구의 2단계 주요 목표인 아카이브 구축의 토대가 되었다. 이것은 한국사회의 통합을 향한 도정에서 귀중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주민의 통합을 위해서는 그들이 담지하고 있는 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현지 조사를 통한 연구는 그 과정의 일환이다. 현지연구와 이주민이 한국에 입국한 이후 문화적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를 입체적으로 연관시켰을 때, 우리 사회는 진정한 의미의 사회통합을 위한 적실성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우리 연구소의 중점연구가 국가적 과제를 구현하는데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향의 사회적, 정책적 기여는 본 연구의 3단계에서 수행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2단계 연구결과는 연구 분야, 실용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연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으로는 첫째, 다문화 현상을 상호문화주의 관점을 통한 연구를 들 수 있다. 상호문화주의 관점은 다문화 공간에서 이주민도 정착민과 같이 평등하고 자율적인 정체성을 인정받으며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글로컬 생활세계를 만들어가는 주체라는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을 통하여 다문화사회를 이끌어갈 보편적이며 기본적인 가치체계를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다문화 공간과 이주민의 생활세계를 이주민 스스로 삶과 의미 세계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보고 이주민의 관점과 의식에 근거한 아래로부터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셋째, 글로컬 생활세계는 정착지 로컬 영역에서 이주민의 글로컬 맥락이 상호 영향을 미치며 가치의 변동과 융합을 추동해 가는 과정이 담긴 중요한 분석 영역이다. 이주민의 다문화 공간을 글로컬 생활세계로 접근한 것은 고향문화를 내면화한 이주민이 정착지 로컬 영역에서 글로벌한 맥락으로 작동하며 글로컬 생활세계를 생성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넷째, 글로컬 생활세계가 만들어지고 작동하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학제간 접근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다문화 현상을 통찰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철학, 윤리학, 법학, 사회학, 인류학, 심리학, 사회 복지 등 인문사회과학 전 분야의 협력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학제간 접근과 협력 연구는 복잡하고 중층적인 다문화 현상을 실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의 활용 방안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연구 결과의 축적과 DB화를 들 수 있다. 연구 결과의 DB화는 다문화 관련 연구진 간 연구 성과의 공유를 촉진하여 연구의 확산과 심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개별 이주민 집단의 자발적인 이주역사 기록화 작업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실용 분야 활용으로는 교육, 지역사회, 기초 조사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영역에서의 활용을 들 수 있다. 먼저, 교육 분야로는 대학 학부 학생을 위한 일반교양 강좌, 다문화사회전문가 양성과정인 ABT과정 운영을 들 수 있다. 특히 대학원 과정으로 특수 대학원 다문화학과 석사과정과 일반 대학원 다문화학과 박사과정 운영에 활용될 수 있다. 지역사회 분야로는 지역주민을 위한 다문화이해교육 실시, 소외 지역이나 문화 접근성이 낮은 지역주민을 위해 찾아가는 다문화이해교육 사업 실시에 기여할 것이다. 연구 성과의 지역사회 활용은 단일 문화 원리로 구성된 지역사회 공간을 다문화 친화적인 공간, 다문화 문화 원리로 구성된 공간 조성 사업에 기여할 것이다.
    연구의 실용화가 지향하는 것은 이주민사회가 정착민사회에서 부가적이거나 주변적으로 존재하는 구도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중심 주체로 성장하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주민 문화를 알리고 체험하는 문화이해 사업에서부터 이주민이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이주민 문화 알림 공간과 상호문화 체험 공간 조성 사업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정착민과 이주민이 동등한 법적 사회문화적 권리를 존중받고 인정받으며 향유하는 다문화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꾸준한 기초 조사와 교육 및 실용 프로그램의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을 토대로 다문화사회에 관한 장기 연구를 수행하여 대구 경북 지역이 다문화 연구의 거점 지역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이주, 다문화사회, 상호문화주의, 사회통합, 글로컬리즘, 생활세계, 가치접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