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3A2042747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3 년 (2013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홍장표
연구수행기관 국립부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목표

    □ 연구배경
    한국 경제는 그동안 수출주도형 대기업 중심 경제성장 속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 확대되었고 중견기업군이 취약한 쌍봉형 산업구조가 형성되었다. 대기업의 단가 인하, 기술탈취, 시장잠식으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투자 유인과 여력 악화→산업 경쟁력 약화의 악순환이 우려되는 가운데,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의 기업 성장의 선순환구조 확립과 창조적 성장을 도모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이 당면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기업이 생성 → 성장 → 성숙 → 소멸하는 산업생태계는 자연생태계에 비유될 수 있다. 자연생태계에서는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유기체간의 응집력과 새로운 질서가 자생적으로 형성되며, 유기체간 상호작용과 상호연관성 속에서 패턴과 특성이 출현하면서 유기체는 공진화한다. 이때 생태계는 유기체간 상호작용이 약탈적인가 호혜적 공생인가에 따라 약탈적 생태계와 공생적 생태계로 구분된다.
    대중소기업간 심화되는 양극화를 배경으로 다양한 기술의 융복합에 의한 창조적 성장과 경제주체들이 상생 발전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 창출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산업생태계의 건강성은 창조성, 혁신성, 생산성과 같은 가치창출능력이 필수적이며, 성과의 공정한 성과 배분(성과공유), 생태계의 상생성과 안정성이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배경은 우리나라 산업생태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의 상생발전과 창조경제를 창출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 연구의 필요성
    첫째, 한국의 산업생태계 연구에서 가장 큰 제약은 산업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인 기업간 생산-지식 연결망에 관한 데이터가 부족하고 연결망의 동태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업패널DB가 없다는 점이다. 거의 대부분의 국내 선행연구들은 자동차, 전자 등 특정 산업 사례연구에 주력하였고, 그나마 1개년도의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나 짧은 시계열 자료를 pooling하여 분석하는 차원에 머물렀다. 이로 인해 한국 산업의 연결망 및 생태계의 구조와 기술변화 및 세계화가 기업간 연결망과 산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제대로 분석될 수 없었다. 기업간 연결망과 산업생태계의 구조적 특성과 그 변화는 이에 관한 통합 DB와 장기 시계열자료가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파악될 수 없다.
    따라서 기업간 생산-지식 연결망에 관한 통합적 시계열 DB 구축과 이를 토대로 생태계의 구조와 그 변화를 분석하는 장기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한국의 산업생태계는 기업지배구조와 경영전략, 산업조직, 기술지식시장, 금융시장, 노동시장 등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진화해왔다. 하지만 그동안의 연구는 특정분야의 전문 연구자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간의 연관성, 네트워크와 제도간의 상호 작용이 종합적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기업이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기업간 상호작용과 공진화, 이를 조정하는 제도의 역할은 중요하며, 양자의 관계를 다양한 차원에서 입체적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그 실상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대규모기업집단의 지배구조, 대중소기업간 성과배분제도, 금융지원제도, 연구개발지원제도, 노동시장제도 등 다양한 차원의 제도가 산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유기적 관계 속에서 파악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산업조직, 기업간 네트워크, 공급사슬관리, 산업기술경제학, 금융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연구자가 참여하는 공동 연구가 요구된다.

    □ 연구목표
    산업생태계는 최종수요기업(flagship firm)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적인 관계 속에 질서와 응집력이 위로부터 형성되는가 하면, 틈새시장 활용자(niche player) 사이의 수평적 상호작용 속에서 아래로부터 자생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생산-지식 네트워크는 주체와 시장환경 사이의 상호작용, 사회경제적 제도의 정합성에 따라 다르며 제도가 생태계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단은 저성장과 양극화의 이중고로 생태계의 역동성 약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경제에서 기업의 생산-지식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산업생태계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공생발전과 창조적 혁신경제 구축을 지향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와 제도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태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경제지리학적 접근, 비지니즈생태계적 접근, 글로벌 가치 사슬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경제지리학적 접근은 혁신클러스터와 지역혁신체제 등 지역단위의 로컬 네트워크분석을 강조하는 반면 글로벌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글로벌 가치 사슬 접근은 국제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국가간 산업단위의 가치사슬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기업단위의 분석은 결여되어 있다. 비즈니스 생태계론적 접근은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가치사슬 분석에 강점이 있으나, 가치창출 및 배분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에 대한 분석은 취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이 세 접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광의의 생태계 접근에 따라 산업생태계를 주체-시장-제도 세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복합체로 파악하고 기업-산업-공간(글로벌/로컬) 단위의 네트워크의 파급효과와 생태계의 진화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을 연구한다. 소형단계에서는 횡단면 DB를 활용한 네트워크의 구조와 생태계의 특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중대형단계에서는 시계열 네트워크 자료를 확보해 장기 패널 DB를 구축하고 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 산업생태계 진화와 제도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3대 핵심 연구주제
    (1) 생산-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과 산업생태계 구조분석: 생산-지식 네트워크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기패널DB를 구축하여 생태 계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한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대기업-중견기업-중소 기업의 3층위와 기업-산업-공간의 3차원으로 구분하고 네트워크의 유형과 구조를 파악한다.
    (2) 산업네트워크의 파급효과와 산업생태계의 변화 분석: 구축된 장기 패널 DB를 활용하여 기술투자, 혁신성과, 임금, 고용 등에 미치는 산업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생태계의 진화과정을 분석한다.
    (3) 산업생태계의 성과와 제도의 역할 분석: 산업생태계는 기업, 소비자, 공급자와 사회문화 제도로 구성되며 경제주체들은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작용 속에서 공진화한다. 본 연구는 구조-행위-성과의 분석틀에 따라 생태계의 성과를 분 석하고 제도와 정책이 네트워크 파급효과와 산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다.


    2. 기대효과

    □ 산업생태계 연구에 필수적인 생산 및 지식 네트워크 DB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토
    대로 네트워크 구조 및 성과를 분석하는 연구에 기여함.
    ○ 기존 연구는 자동차나 전자 등 특정 업종의 기업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한 제한
    적‧부분적 자료에 의존해왔고, 기업 간 네트워크의 국민경제 및 지역경제 파급
    효과도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간 파급효과 분석에 의존하는 한
    계를 가짐
    ○ 본 연구팀은 기존연구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산업생태계 연구에 필수
    적인 생산ᐧ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하였음.

    □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분야와 학문간 융‧복합연구를 통해 산업생태계 연
    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등의 학술적으로 기여함.
    ○ 경제학·경영학 전문학술지 21편, 사회과학 종합 학술지 8편 게재.
    ○ 사회과학·자연과학 융합 학술지에 4편 게재

    □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기업단위에서 구현한 ‘기업연관표’를 구축함으로써 기
    업의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 분석을 보다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생태
    계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기여함.
    ○ 국내외 최초로 선도기업(15사)과 협력기업(16,144사) 간 기업연관표(2011년
    도) 작성
    ○ 주요 선도기업과 거래단계별 협력기업 간 기업연관표(투입계수표) 작성으로 산
    업생태계 연구의 새로운 지평 개척
    ○ 작성된 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대기업의 국민경제와 지역경제의 생산 및 고용
    유발효과 분석

    □ 본 연구팀이 구축한 거래네트워크 DB를 활용하여 기업의 국민경제와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국내 최초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기업 성장의 낙수효과 및 대-중소
    기업 동반성장과 관련된 후속연구를 촉발하고 정책수립에 기여함.
    ○ 본 연구팀은 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대기업의 국민경제와 지역경제 생산 및 고
    용유발효과를 구체적으로 계산하여 제시함으로써 관련 정책수립에 기여하고 추
    후 관련분야의 심화연구를 유도
    ○ 15개 대기업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지역산업 생산·고용유발효과에 관한 연구결
    과를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2편의 논문 게재

    □ 산업 네트워크의 계층성 분석으로 산업생태계 연구를 체계화하고 심화시키는 데
    기여함.
    ○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 작업을 통해 새롭게 획득한 정보(네트워크
    참가 여부 및 네트워크 내 위치 등)를 활용하여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어질 수
    없었던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성과물 창출
    ○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계층성과 개방성), 네트워크가 기업의 생산성, 수익성,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 금융지원의 네트워크 외부효과, 거래단
    계별 임금격차와 소득분배에 미치는 효과 등을 분석한 12편의 연구논문을 국
    내외 학술지에 게재
    ○ 네트워크 분석방법, 네트워크 구조 및 산업생태계의 특성에 관한 분석결과를 정
    리한 연구총서 시리즈 3권 발간

    □ 복잡계이론에 기초한 네트워크 분석으로 연구방법 심화 및 분석도구 개발에 기
    여함.
    ○ 글로벌 네트워크의 정보파급효과, 가격변동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2편의 논문을
    SSCI 학술지에 게재하고, 8편의 논문을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
    ○ “Asymmetric linkages between BRICS stock returns and country risk
    ratings”: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에서 국가간 연계의 비대칭성이 존재함을
    DPTM(dynamic panel threshold model)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입증(Review
    of International Economics)
    ○ “Modeling Time-Varying Correlations in Volatility Between BRICS and
    Commodity Markets”: 국제 상품시장에서 가격 변동성을 측정·예측하는 모형
    개발(Emerging Market Finance and Trade)
    ○ 주식시장과 원유 선물시장의 변동성 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 파악에서 복잡계
    네트워크 모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정보전이 효과를 분석함
    으로써 생태계 연구방법을 심화시킴


    3. 연구요약

    □ 연구내용과 방법

    본 연구단은 경제주체-시장-제도 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복합체로 파악하는 광의의 산업생태계 접근에 따라 산업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업생태계의 진화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을 연구한다. 이에 따라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3층위, 기업-산업-공간 3차원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산업생태계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생태계의 성과(혁신성, 공생성, 지속가능성)를 평가하고 제도의 역할을 분석한다.
    (1) 생태계의 혁신성: 산업기술체제론적 접근에 따라 산업의 지식기반(knowledge base)과 기술혁신 유형으로 구분하고 생산-지식 네트워크가 창조적 파괴형 기술혁신과 기술개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2) 생태계의 공생성: 네트워크 참가기업간 성과배분의 공정성(가치배분)과 네트워크의 시장확장성(틈새시장을 창출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산업생태계의 공생성을 분석한다.
    (3)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기술변화와 세계화(무역자유화, 자본자유화, 해외직접투자의 확대) 등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산업생태계가 정상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는 회복력(resilience)을 분석한다


    □ 단계별 연구내용

    1) 1차 연도 연구내용
    ○ ‘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DB구축’을 통한 산업생태계 연구의 핵심자료 확보.
    - 한국기업데이터(주)의 2011년도 기업정보 DB를 원자료를 활용하여 54,114개 기업의 거래네트워크 DB 구축작업을 1년 동안 23차례의 연구진 공동세미나를 거쳐 완성.
    -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선도기업과 1차 협력기업 사이의 관계만 분석하던 한 계로부터 벗어나 2차 이하 협력기업을 포괄하는 계층적 네트워크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연구재단 등재지에 논문 1편을 게재하였음. 또한 학술대 회 및 토론회 30회, 정부 정책연계 토론회 13회, 언론보도 및 홍보확산 12회 등의 성과를 냄.


    2) 2차 연도 연구내용
    ○ 1차 연도에 구축한 ‘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DB’를 활용하여 14개 업종의 거래네
    트워크 구조와 결정요인, 파급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논문 5편을 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
    - 2차 연도에 ‘기술혁신네트워크’설문조사 완료, 3차 연도의 지식 네트워크 연구 및 연구총서 3권(한국 제조업이 기술혁신과 지식 네트워크) 발간의 기초자료 확보함.
    - ‘기술혁신네트워크 조사’는 전국 사업체 7,289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여 506사로부터 설문지 회수, 중형단계에서도 조사를 계속 실시하여 패널자료 를 확보함으로써 지식 네트워크의 동태적 변화 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함.
    - 또한 학술대회 및 토론회 24회, 정부 정책연계 토론회 22회, 언론 보도 16회
    등의 성과를 냄

    3) 3차 연도 연구내용
    ○ 1, 2차 연도에 구축된 DB와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거래네트워크와 산업생태계 의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소형단계 연구를 총괄하는 ‘산업생태계 연구총서’ 발간 하였음.
    - 네트워크 외부효과 분석 및 산업생태계 성과 분석을 주제로 해외 학술지(SSCI,
    SCOPUS) 및 국내 연구재단 등재지에 논문 27편 게재함
    - 소형단계 연구성과를 총괄하고 향후 중형단계 연구를 위한 기초 토대를 마련하
    기 위해 산업생태계 연구총서 발간. 당초 계획한 목표 1권을 초과하여 소형단
    계 3년간 연구성과를 총괄하는 산업생태계 연구총서 3권 발간
    - 또한 학술대회 및 토론회 40회, 정부 정책연계 토론회 4회, 언론 보도 2회, 신 진 연구인력 13명 양성 등의 성과를 냄

    □ 키워드(한글)
    - 네트워크, 산업생태계, 기술혁신, 공생, 공급사슬, 가치사슬, 대기업, 중소기업

    □ 키워드(한글)
    - Network, Industrial Ecosystem, Technological Innovation, Co-evolution, ain, Value Chain, Big business, SME
  • 영문
  • The Study on the Inter-Firm Production-Knowledge Network and Creative Industrial Ecosystem

    We, the research team, analyzed the dynamic impact of the industrial network through the “industrial ecosystem” approach which seeks to understand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three factors: economic actors, market and instituti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Korean industrial ecosystem were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the management, industry type and location of three levels of business - big business, high potential enterprises and SM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we were able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the Korean industrial ecosystem in terms of innovation, co-evolution and sustainability as well as explore the institution’s role in these achievements.

    1. Innovation of the industrial ecosystem: As suggested by the approach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system theory, we distinguished the industrial knowledge base and the technological innovative type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duction-knowledge network on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creative destruction and on technological improvement.
    2. Co-evolution of the industrial ecosystem: We analyzed the co-evolution of the industrial ecosystem by evaluating the equity of outcome distribution between enterprises participants and expansion of their network.
    3. The sustainability of the industrial ecosystem: We analyzed the resilience of the industrial ecosystem against external shocks such as technology changes and globalization and their capability to normalize their system.

    • We acquired some essential research data about the industrial eco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trade network database between enterprises. Utilizing the primary source of a 2011 database of 54,114 enterprises, provided by Korea Enterprise Data Ltd., we established the trade network database by having 23 seminars throughout an entire year. Fro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could acquire basic material to establish a hierarchical network that includes the lower tier suppliers. This enabled us to finally go beyond the analysis limi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ing companies and the primary suppliers. We even published an article on a registered academic journal.

    • We analyzed the structure, determinants and ripple effects of 14 types of business utilizing the database of trade networks between enterprises established in the first year. Five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in registered academic journals based on this work. In our second year, we completed our surve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network.” In our third year, we obtained basic research materials about knowledge network to publish three series of research as well. The surve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network” was distributed to 72 894 companies. Five hundred and six companies responded and continued to provide data during the middle stage of research and obtained panel materials. We utilized the data from those companies as our basic research material for dynamic analysis on knowledge network.

    • We analyzed the achievements of the trade network and industrial ecosystem utilizing the data base establish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our research and afterward we published the series called “research series on industrial ecosystem” that included all the small-stage research. So far, we have published 27 research articles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as SSCI, SCOPUS(international register system) and NRF(Korean register system). Over the course of the time we have spent in preparing basic research materials and in both small and medium research stages, we have published a total of 3 research series

    키워드(한글)
    - Network, Industrial Ecosystem, Technological Innovation, Co-evolution, Value Chain, Big business, SM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생산·지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조적 산업생태계 연구

    The Study on the Inter-firm Production-Knowledge Network and Creative Industrial Ecosystem



    본 연구단은 경제주체-시장-제도 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복합체로 파악하는 광의의 산업생태계(Industrial Ecosystem) 접근에 따라 산업네트워크(Industrial Network)의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업생태계의 진화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을 연구한다. 대기업(Big business)-중견기업(High Potential Enterprises)-중소기업(SME) 3층위, 기업-산업-공간 3차원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산업생태계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생태계의 성과(혁신성, 공생성, 지속가능성)를 평가하고 제도의 역할을 분석한다.
    (1) 생태계의 혁신성: 산업기술체제론(the Industrial Technology System Theory)적 접근에 따라 산업의 지식기반(knowledge base)과 기술혁신 유형으로 구분하고 생산-지식 네트워크가 창조적 파괴형 기술혁신과 기술개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2) 생태계의 공생성(Co-evolution): 네트워크 참가기업간 성과배분의 공정성과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중심으로 산업생태계의 공생성을 분석한다. (3)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기술변화와 세계화 등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산업생태계가 정상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는 회복력(resilience)을 분석한다.
    ○ ‘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DB구축’을 통한 산업생태계 연구의 핵심자료 확보했다. 한국기업데이터(주)의 2011년도 기업정보 DB를 원자료를 활용하여 54,114개 기업의 거래네트워크 DB 구축작업을 1년 동안 23차례의 연구진 공동세미나를 거쳐 완성한 것이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선도기업과 1차 협력기업(the primary supplier) 사이의 관계만 분석하던 한계로부터 벗어나 2차 이하 협력기업(the lower tier suppliers)을 포괄하는 계층적 네트워크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연구재단 등재지에 논문 1편을 게재하였음.
    ○ 1차 연도에 구축한 ‘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DB’를 활용하여 14개 업종의 거래네트워크 구조와 결정요인, 파급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논문 5편을 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했다. 2차 연도에 ‘기술혁신네트워크’설문조사 완료, 3차 연도의 지식 네트워크 연구 및 연구총서 3권 발간의 기초자료 확보했다. ‘기술혁신네트워크 조사’는 전국 사업체 7,289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06사로부터 설문지 회수, 중형단계에서도 조사를 계속 실시하여 패널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지식 네트워크의 동태 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 하였다.
    ○ 1, 2차 연도에 구축된 DB와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거래네트워크와 산업생태계의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소형단계 연구를 총괄하는 ‘산업생태계 연구총서’ 발간하였다. 네트워크 외부효과 분석 및 산업생태계 성과 분석을 주제로 해외 학술지(SSCI, SCOPUS) 및 국내 연구재단 등재지(NRF Register Journal) 에 논문 27편 게재하였음. 소형단계 연구성과를 총괄하고 향후 중형단계 연구를 위한 기초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3권의 산업생태계 연구총서 발간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산업생태계 연구에 필수적인 생산 및 지식 네트워크 DB를 구축함으로써 산업생태계 연구의 토대를 마련함
    ○ 기존 연구는 자동차나 전자 등 특정 업종의 기업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한 제한
    적‧부분적 자료에 의존해왔고, 기업 간 네트워크의 국민경제 및 지역경제 파급
    효과도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간 파급효과 분석에 의존하는 한
    계를 가짐
    ○ 본 연구팀은 기존연구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산업생태계 연구에 필수
    적인 생산ᐧ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하였음.

    □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분야와 학문간 융‧복합연구를 통해 산업생태계 연
    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등의 학술적으로 기여함.
    ○ 경제학·경영학 전문학술지 21편, 사회과학 종합 학술지 8편 게재.
    ○ 사회과학·자연과학 융합 학술지에 4편 게재

    □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기업단위에서 구현한 ‘기업연관표’를 구축함으로써 기
    업의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 분석을 보다 체계적으로 할 수 있었음. 이를 통해 기업단위의 산업이 국가및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를 보다 파악할 수 있음.
    ○ 국내외 최초로 선도기업(15사)과 협력기업(16,144사) 간 기업연관표(2011년
    도) 작성
    ○ 주요 선도기업과 거래단계별 협력기업 간 기업연관표(투입계수표) 작성으로 산
    업생태계 연구의 새로운 지평 개척
    ○ 작성된 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대기업의 국민경제와 지역경제의 생산 및 고용
    유발효과 분석

    □ 본 연구팀이 구축한 거래네트워크 DB를 활용하여 기업의 국민경제와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국내 최초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기업 성장의 낙수효과 및 대-중소
    기업 동반성장과 관련된 후속연구를 촉발하고 정책수립에 기여함.
    ○ 본 연구팀은 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대기업의 국민경제와 지역경제 생산 및 고
    용유발효과를 구체적으로 계산하여 제시함으로써 관련 정책수립에 기여하고 추
    후 관련분야의 심화연구를 유도
    ○ 15개 대기업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지역산업 생산·고용유발효과에 관한 연구결
    과를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2편의 논문 게재

    □ 산업 네트워크의 계층성 분석으로 산업생태계 연구를 체계화하고 심화시키는 데
    기여함.
    ○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 작업을 통해 새롭게 획득한 정보(네트워크
    참가 여부 및 네트워크 내 위치 등)를 활용하여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어질 수
    없었던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성과물 창출
    ○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계층성과 개방성), 네트워크가 기업의 생산성, 수익성,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 금융지원의 네트워크 외부효과, 거래단
    계별 임금격차와 소득분배에 미치는 효과 등을 분석한 12편의 연구논문을 국
    내외 학술지에 게재
    ○ 네트워크 분석방법, 네트워크 구조 및 산업생태계의 특성에 관한 분석결과를 정
    리한 연구총서 시리즈 3권 발간

    □ 복잡계이론에 기초한 네트워크 분석으로 연구방법 심화 및 분석도구 개발에 기
    여함.
    ○ 글로벌 네트워크의 정보파급효과, 가격변동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2편의 논문을
    SSCI 학술지에 게재하고, 8편의 논문을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
    ○ “Asymmetric linkages between BRICS stock returns and country risk
    ratings”: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에서 국가간 연계의 비대칭성이 존재함을
    DPTM(dynamic panel threshold model)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입증(Review
    of International Economics)
    ○ “Modeling Time-Varying Correlations in Volatility Between BRICS and
    Commodity Markets”: 국제 상품시장에서 가격 변동성을 측정·예측하는 모형
    개발(Emerging Market Finance and Trade)
    ○ 주식시장과 원유 선물시장의 변동성 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 파악에서 복잡계
    네트워크 모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정보전이 효과를 분석함
    으로써 생태계 연구방법을 심화시킴

  • 색인어
  • -네트워크, 산업생태계, 기술혁신, 공생, 공급사슬, 가치사슬, 대기업, 중소기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