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고양식과 작업기억이 창의적인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inking style and working memory on creative desig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9578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민승기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디자인의 핵심이 창의성(creativity)에 있다는 것은 이제 누구나 동의하는 사실이 되었다. 왜냐하면 새롭고 유용한 결과물을 생성하는 과정이 곧 디자인 과정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창의성을 설명하는 다양한 접근들이 있어 왔다. 대표적인 접근법으로는 사례 연구, 정신분석학적인 접근, 심리측정적(psychometric) 접근, 사회 및 역사계량학적(sociological and historiometric) 접근, 그리고 다중 성분적(Multi components) 접근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창의적 인지(creative cognition) 접근을 들 수 있다.

    창의적 인지 접근은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이라고 불리며, 이 모형의 핵심은 창의적인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성과 탐구의 순환이다. 대체적으로 생성(generation)은 확산적 사고와 관련이 있으며 탐구(exploration)는 수렴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 생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상(association), 통합(synthesis), 변형(transformation), 그리고 유추 전이(analogical transfer)는 확산적 사고와 관련이 있으며, 탐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속성 발견(attribute finding), 개념 해석(conceptual interpretation), 기능 추론(functional inference), 가설 검증(hypothesis testing), 그리고 제한점 탐색(Searching for limitations)은 수렴적 사고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에 의하면 확산적인 사고와 수렴적인 사고에 모두 익숙할 때에 가장 창의적인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산 편향적 사고 조건(이하, 확산 편향 조건), 수렴 편향적 사고 조건(수렴 편향 조건), 확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이 모두 낮은 조건(이하, 저 확산-수렴 조건), 그리고 확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이 모두 높은 조건(이하, 고 확산-수렴 조건) 간에 나타나는 창의적 디자인을 비교하고자 한다. Geneplore 모형이 맞는다면 비편향 조건에서의 수행이 가장 우수할 것이다. 둘째, 작업기억이 창의적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재검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은 실제의 디자인 수행 과정을 다루기보다는 창의적인 기질을 설문지로 확인하였을 뿐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이 실제 디자인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확산적 및 수렴적 사고 양식과 작업기억 간의 상호작용이 창의적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것이다. 확산적 사고는 작업기억의 처리 부담을 높여 작업기억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수렴적 사고는 반대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창의적 디자인은 두 가지 요소를 만족시켜야 한다. 하나는 신기성이고 하나는 유용성이다. 작업기억과 사고양식이 이 두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하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가지는 우선적인 의의는 확산적 사고를 강조하는 Guilford(1950, 1956, 1968)의 이론과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함께 강조하는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을 비교하는 데에 있다. 전자의 이론이 맞는다면 확산 편향 조건에서의 디자인 수행이 가장 우수할 가능성이 있으며 후자의 모형이 맞는다면 고 확산-수렴 조건에서의 디자인 수행이 가장 나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인지와 창의성의 관계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Guilford(1950, 1956, 1968)의 이론을 검증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Guilford(1950)가 정의하는 창의성은 아이디어 생성의 유창성과 신기성 등을 강조하므로 대체적으로 확산적인 사고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은 확산적인 사고와 함께 수렴적인 사고도 강조한다. 만약 Geneplore 모형이 맞는다면 고 확산-수렴 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창의적인 디자인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확산적인 사고를 강조하는 전통적인 디자인 교육에 함의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작업기억이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지지받아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여 보고자 한다. 만약에 실제 장면에서도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면 디자인 교육에서 작업기억을 강조할 수 있는 좋은 데이터를 얻게 될 것이다.

    넷째, 사고양식과 작업기억, 그리고 이 둘 간의 상호작용이 디자인의 신기성과 유용성에 다양한 차별적인 효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고는 확산적이나 작업기억이 효율적이지 않으면 어떨까? 아니면 사고는 수렴적이나 작업기억이 효율적이면 어떨까? 이에 따른 영향이 신기성과 유용성 차원에서 다르게 나타나지는 않을까? 등의 다양한 물음들을 가져 본다. 이러한 결과들을 디자인 교육 과정에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디자인은 새롭고 유용한 결과를 산출하는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이다. 지금까지 창의성을 설명하는 다양한 접근들이 있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인지(creative cognition) 접근을 기반으로하는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을 주목하였다. 이 모형의 핵심은 창의적인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성과 탐구의 순환이다. 대체적으로 생성(generation)은 확산적 사고와 관련이 있으며 탐구(exploration)는 수렴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 생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상(association), 통합(synthesis), 변형(transformation), 그리고 유추 전이(analogical transfer)는 확산적 사고와 관련이 있으며, 탐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속성 발견(attribute finding), 개념 해석(conceptual interpretation), 기능 추론(functional inference), 가설 검증(hypothesis testing), 그리고 제한점 탐색(Searching for limitations)은 수렴적 사고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은 창의적인 인지 과정이 창의적인 해결책을 얻는 데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생성 과정과 탐구 과정의 모든 사례들은 인지적인 성분들이다. 인지 과정의 중심에는 작업기억이 있다. 작업기억이란 의식적인 정신적 노력이 가해지는 정신적 작업공간을 말한다(Baddeley, 1992; Baddeley & Hitch, 1974). Baddeley(1998)의 다중구성요소 작업기억모형(multi-component model)에 의하면 작업기억의 핵심 성분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음운 루프(phonological loop)이다. 이것은 말소리 정보를 짧은 시간 유지하고 이 정보를 내적으로 되뇌는 것을 통제한다. 둘째는 시공간 스케치 판(visuo-spatial sketchpad)이다. 이것은 시각 정보와 공간 정보를 잠시 동안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는 중앙처리기(central executive)이다. 이것은 주의(attention), 판단, 추론, 그리고 계획 등의 과정을 통제할 뿐만 아니라 장기기억(long-term memory)과도 정보를 주고받는다. 음운 루프와 시공간 스케치 판은 비교적 낮은 수준의 처리를 담당하고 중앙처리기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처리를 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단순하게 말하면 작업기억은 의식적인 정신 작용이 일어나는 작업 저장소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이 말하는 생성 과정과 탐구 과정에 작업기억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실제 작업기억과 창의성 및 문제해결 간의 관계를 보여 주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Zafer와 John(2007)은 스케치를 억제하여 외적 작업기억 용량을 제한하였을 때에 디자인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박희경, 박미자, 이정모(2001)는 연구 2에서 작업기억 용량이 클수록 창의성의 정교성 점수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Abu-Rabia(2003)는 작업기억과 창의적 글짓기 간의 정적인 상관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에 의하면 확산적인 사고와 수렴적인 사고에 모두 익숙할 때에 가장 창의적인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산 편향적 사고 조건(이하, 확산 편향 조건), 수렴 편향적 사고 조건(수렴 편향 조건), 확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이 모두 낮은 조건(이하, 저 확산-수렴 조건), 그리고 확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이 모두 높은 조건(이하, 고 확산-수렴 조건) 간에 나타나는 창의적 디자인을 비교하고자 한다. Geneplore 모형이 맞는다면 비편향 조건에서의 수행이 가장 우수할 것이다. 둘째, 작업기억이 창의적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재검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은 실제의 디자인 수행 과정을 다루기보다는 창의적인 기질을 설문지로 확인하였을 뿐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이 실제 디자인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확산적 및 수렴적 사고 양식과 작업기억 간의 상호작용이 창의적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것이다. 확산적 사고는 작업기억의 처리 부담을 높여 작업기억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수렴적 사고는 반대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창의적 디자인은 두 가지 요소를 만족시켜야 한다. 하나는 신기성이고 하나는 유용성이다. 작업기억과 사고양식이 이 두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하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창의성에 관한 Geneplore 모형은 사고양식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즉, 확산적인 사고와 수렴적인 사고가 창의성에 영향을 줄 것을 가정한다. 확산적인 사고란 최대한 많은 해결책을 탐색하는 사고 과정을 말하고, 수렴적 사고란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분석적으로 탐구하는 사고 과정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양식과 작업기억이 창의적인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사고양식에는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그리고 이 둘이 결합된 혼합형 사고가 있었다. 대학교 학부생 54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확산적 사고는 쓰임새 생성 과제(특정 사물의 다양한 쓰임새를 생성), 수렴적 사고는 원거리 연합 과제(주어진 세 개의 단어에 공통으로 결합이 가능한 단어를 생성), 그리고 혼합형 사고는 통찰적 문제해결 과제(수수께끼)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작업기억을 위해서는 영어 알파벳을 기억하는 작업폭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창의성은 창의적 심상 과제(3개의 도형을 결합하여 특정 범주의 사물을 생성)를 통하여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작업기억이 창의성의 유용성 차원에서 유의미한 예언변인임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사고양식은 창의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것은 디자인 교육 과정에 사고양식보다는 작업기억을 더 강조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영문
  • Geneplore model of creativity underlines thinking style. That is, the model assumes that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have a beneficial effect on creativity. Divergent thinking is a thought process or method used to generate creative ideas by exploring many possible solutions. Convergent thinking generally means the ability to give the "correct" answer to standard questions that do not require significant creativity. In this research, it was observed that the effect of thinking style and working memory on creative design. The thinking style consists of divergent, convergent, and complex (divergent plus convergent) style. Fifty-four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lternate uses task, generating different uses of a object, for divergent thinking, compound remote associates task, generating a common connecting concept for presented three words, for convergent thinking, and insight problem solving task, riddles, for complex thinking were performed for participants. Also, working memory and creativity were measured by working memory span task, remembering alphabets, and creative imagery task, generating a object belonging to a category by combining three figures,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working memory is a significant predictor explaining creative design at level of utility. Whereas, there was no effect of thinking style on creative design. These outcomes implied about necessity of emphasizing working memory in design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창의성에 관한 Geneplore 모형은 사고양식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즉, 확산적인 사고와 수렴적인 사고가 창의성에 영향을 줄 것을 가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양식과 작업기억이 창의적인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사고양식에는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그리고 이 둘이 결합된 혼합형 사고가 있었다. 대학교 학부생 54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확산적 사고는 쓰임새 생성 과제, 수렴적 사고는 원거리 연합 과제, 그리고 혼합형 사고는 통찰적 문제해결 과제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작업기억을 위해서는 영어 알파벳을 기억하는 작업폭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창의성은 창의적 심상 과제를 통하여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작업기억이 창의성의 유용성 차원에서 유의미한 예언변인임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사고양식은 창의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것은 디자인 교육 과정에 사고양식보다는 작업기억을 더 강조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① 사고양식과 창의성 간의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에 창의성(신기)과 창의성(유용) 간의 상관과 작업기억과 창의성(유용) 간의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또한 작업기억과 창의성(신기), 작업기억과 창의성(전체) 간의 상관이 유의 수준에 근접하였다. 이것은 사고양식보다는 작업기억이 창의성에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 창의성(전체)에 대한 회귀모형에서 예언변인이 작업기억 단독일 때에 모형이 유의 수준에 근접하여 가장 좋았다(p = .052). 이것은 상관분석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사고양식보다는 작업기억이 창의성에 더 큰 역할을 함을 보여 준다. ③ 창의성(유용)에 대한 회귀모형에서 예언변인이 작업기억 단독일 때에 모형만이 유의하였다. 이것은 작업기억이 창의성 전반에 영향을 주지만 특히, 유용성에 영향을 많이 줌을 나타낸다. 2. 활용방안 본 연구의 결과가 디자인 교육에 무엇을 함의하는지를 살펴보자. 첫째, 지금까지 디자인 교육 과정에 작업기억은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어쩌면 사고양식을 더 강조하였는지도 모르겠다. 즉, 다양한 개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개념을 생성하거나 유추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을 것이다. 하지만 연구의 결과가 보여 준 것은 어떻게 사고하느냐보다는 작업기억의 용량과 활용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향후에는 작업기억을 강조하는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여 보인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기억이 특히 유용성과 관련이 깊다는 것이 밝혀졌다. 신기하지만 디자인이 쓸모가 없으면 무엇 하겠는가? 따라서 작업기억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 색인어
  • 창의성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작업기억 창의적 디자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