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은 새롭고 유용한 결과를 산출하는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이다. 지금까지 창의성을 설명하는 다양한 접근들이 있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인지(creative cognition) 접근을 기반으로하는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을 주목하였다. 이 모형의 핵심은 창 ...
디자인은 새롭고 유용한 결과를 산출하는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이다. 지금까지 창의성을 설명하는 다양한 접근들이 있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인지(creative cognition) 접근을 기반으로하는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을 주목하였다. 이 모형의 핵심은 창의적인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성과 탐구의 순환이다. 대체적으로 생성(generation)은 확산적 사고와 관련이 있으며 탐구(exploration)는 수렴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 생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상(association), 통합(synthesis), 변형(transformation), 그리고 유추 전이(analogical transfer)는 확산적 사고와 관련이 있으며, 탐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속성 발견(attribute finding), 개념 해석(conceptual interpretation), 기능 추론(functional inference), 가설 검증(hypothesis testing), 그리고 제한점 탐색(Searching for limitations)은 수렴적 사고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은 창의적인 인지 과정이 창의적인 해결책을 얻는 데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생성 과정과 탐구 과정의 모든 사례들은 인지적인 성분들이다. 인지 과정의 중심에는 작업기억이 있다. 작업기억이란 의식적인 정신적 노력이 가해지는 정신적 작업공간을 말한다(Baddeley, 1992; Baddeley & Hitch, 1974). Baddeley(1998)의 다중구성요소 작업기억모형(multi-component model)에 의하면 작업기억의 핵심 성분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음운 루프(phonological loop)이다. 이것은 말소리 정보를 짧은 시간 유지하고 이 정보를 내적으로 되뇌는 것을 통제한다. 둘째는 시공간 스케치 판(visuo-spatial sketchpad)이다. 이것은 시각 정보와 공간 정보를 잠시 동안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는 중앙처리기(central executive)이다. 이것은 주의(attention), 판단, 추론, 그리고 계획 등의 과정을 통제할 뿐만 아니라 장기기억(long-term memory)과도 정보를 주고받는다. 음운 루프와 시공간 스케치 판은 비교적 낮은 수준의 처리를 담당하고 중앙처리기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처리를 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단순하게 말하면 작업기억은 의식적인 정신 작용이 일어나는 작업 저장소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이 말하는 생성 과정과 탐구 과정에 작업기억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실제 작업기억과 창의성 및 문제해결 간의 관계를 보여 주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Zafer와 John(2007)은 스케치를 억제하여 외적 작업기억 용량을 제한하였을 때에 디자인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박희경, 박미자, 이정모(2001)는 연구 2에서 작업기억 용량이 클수록 창의성의 정교성 점수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Abu-Rabia(2003)는 작업기억과 창의적 글짓기 간의 정적인 상관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Geneplore 모형(Finke 등, 1992)에 의하면 확산적인 사고와 수렴적인 사고에 모두 익숙할 때에 가장 창의적인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산 편향적 사고 조건(이하, 확산 편향 조건), 수렴 편향적 사고 조건(수렴 편향 조건), 확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이 모두 낮은 조건(이하, 저 확산-수렴 조건), 그리고 확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이 모두 높은 조건(이하, 고 확산-수렴 조건) 간에 나타나는 창의적 디자인을 비교하고자 한다. Geneplore 모형이 맞는다면 비편향 조건에서의 수행이 가장 우수할 것이다. 둘째, 작업기억이 창의적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재검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은 실제의 디자인 수행 과정을 다루기보다는 창의적인 기질을 설문지로 확인하였을 뿐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이 실제 디자인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확산적 및 수렴적 사고 양식과 작업기억 간의 상호작용이 창의적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것이다. 확산적 사고는 작업기억의 처리 부담을 높여 작업기억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수렴적 사고는 반대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창의적 디자인은 두 가지 요소를 만족시켜야 한다. 하나는 신기성이고 하나는 유용성이다. 작업기억과 사고양식이 이 두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