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문화가정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nglish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8556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지영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는 1990년 이후 고용허가제등의 이유로 꾸준히 외국인 노동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국제결혼의 비율도 증가하고, 다문화가정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2012년 교육기술부가 발표한 「2012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2, 04, 01)에 따르면,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21%(8,276명) 증가해서 46,954명이 재학하고 있다고 밝혔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p.1). 이것은 다문화가정 학생 5만명 시대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매년 증가하고, 전체 학생 수가 매년 감소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2012년도에 우리나라 전체학생 비율대비 다문화가정 학생 비율이 0.70%이고, 2014년도에는 1%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 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p.1).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우리사회에서 영어는 일반자녀들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도 사회, 경제적으로 더 나은 위치와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이 되고 있음은 부인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경쟁력으로서 영어교육은 충분히 교육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좀 더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와 자녀가 영어교육에 대한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이 영어교육에 임하는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를 파악해서 영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자들과 행정관계자들이 어떻게 다문화가정의 영어교육 문제에 접근하고, 대처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직접 실제로 지도하고 있는 영어 선생님들의 의견을 들어봄으로써, 교실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실제로 영어교육을 어떻게 접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들을 좀 더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에 비해서 너무나도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에서야 그 중요성을 인식해서 조금씩 연구가 시작되는 추세이다. 서구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된 것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는 그나마 되어있으나,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도모해서,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데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앞선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면서 그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보다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영어교육 연구로 좀 더 그 대상자를 다각화한다. 그 연구대상자는 연구의 주체가 되는 다문화가정 자녀와 자녀들의 양육자인 어머니, 그리고 그 자녀들에게 직접 영어를 가르치시는 학교 선생님으로 그들의 의견을 모두 종합적으로 수집, 분석해서 좀 더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연구 방법의 차별성이다. 양적연구인 설문지법과 질적 연구인 인터뷰조사로 이루어진 면담법과 또한 실제로 영어수업을 관찰하는 관찰법을 활용해서 자료의 객관화,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왜냐하면 실제로 연구 자료 수집단계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 수집은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나 수업상황에서의 학습자의 반응과 태도 등 중요한 요소일 뿐 아니라, 면담이나 설문지 이외의 실제 수업 관찰을 통하여 좀 더 직접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고, 다문화가정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좀 더 근본적이고, 후속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그 연구의 의의를 가지고,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글로벌시대에 영어소통 능력과 다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 기여함을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한 결과를 가지고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이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와 어떤 환경에서, 어떠한 개인적 변인에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태도가 다른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의 주체이자 본 연구의 주 대상자인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학교에서 영어교육을 대함에 있어서 어떤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와 어떠한 어려움을 안고 있으면서, 학습해 나가는지를 직접 그들의 목소리와 수업 관찰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 직접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선생님과의 교실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을 가지는지와 또한 그 선생님들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들어봄으로써,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좀 더 효과적인 교육방법 선정과 다양한 학습 방법 등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순히 학습방법에만 국한된 연구 방법상의 발전이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서구와는 다른 환경적인 요인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환경적인 요인을 찾아내어서, 서구에서 먼저 발달한 ‘다문화’(multiculturalism)와 ‘다언어’(multilingualism}의 개념을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적으로도 더 이상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사회, 경제, 문화, 교육적으로 소외된 계층이 아닌,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가고 있는 우리나라 사회의 분명한 구성원으로서 그들을 보듬어야지 그들 개인뿐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도, 더욱 건강하고 평등한 사회가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이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한국어뿐 아니라 영어교육을 도와 줄 수 있는 많은 연구들이 나와서, 궁극적으로는 그들의 학업성취도에도 큰 영향을 주어서 우리 사회에서 그들이 유능한 인재로 거듭 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인력양성면에서도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본 연구와 같은 연구들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인재로 양성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어머니들에게서 배우는 모국어, 학교에서 배우는 영어, 또한 한국어 등 최소 3개 국어를 잘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인재가 될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국어, 영어 그리고 제2외국어를 배워서 3개 국어를 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다. 혹자는 그럼,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불리하지는 않은지 걱정할 수도 있으나, 글로벌시대에 너무 좁은 근시안적이고, 자기중심적인(ego-centric) 생각에서 벗어나서, 좀 더 큰 관점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주는 교육혜택을 거시적이고, 사회통합적인 이민정책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결국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은 더불어 사는 나에게도 이익이 되는 것이다. 가령, 내국인만의 모든 정책이나 혜택이 돌아간다면 다문화가정의 일원들은 사회의 부적응자로 낙인이 찍혀 여러 사회적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결국,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우리 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우리 모두를 위하는 길임을 깨닫고,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도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좀 더 나은 영어교과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여러 가지 통계적 사실들과 인문 사회적 고찰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의 연계한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과 학교와 협력해서 다양한 교육지원을 도모해 볼 수 있다. 가령, 방과 후 수업이라든지, 대학생 멘토링을 통해서 대학생에게는 자원봉사의 기회를 주고,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는 영어 보충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학교별로 개설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에게도 모국어를 다른 일반인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에게 자부심과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는 어머니의 모국어와 문화에 대한 존중과 자긍심을 동시에 지니게 할 수 있다. 끝으로, 모든 초등 선생님과 중등 선생님, 특히 국어 교사나 영어 교사의 연수 프로그램에는 반드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특성을 소개하는 강좌 또는 프로그램이 따로 제공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영어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영어를 지도할 때 좀 더 차별화되고 세심하게 배려해서 영어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영어 교사들에게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특성을 고려한 영어 학습 방법 등이 소개되어야 하겠다.


  • 연구요약
  • 현재 우리나라에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꾸준히 증가해서, 이제는 우리나라의 공교육 현장에서도 다문화가정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더불어 여러 사회적 쟁점 중에 또한 중요한 부분이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이다. 왜냐하면 다문화가정은 언어적, 문화적 소통의 혼란으로 인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문제점은 가정, 학교, 사회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결해야만 사회, 문화, 경제, 교육면에서 안정되고 균형 잡힌 사회가 되고, 그 해결책 중에 한 가지가 바로 교육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했고, 앞에서 소개한 선행연구들은 시작단계여서 단편적인 부분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고, 다문화가정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좀 더 근본적이고, 후속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그 연구의 의의를 가지고,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글로벌시대에 영어소통 능력과 다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 기여함을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따라서, 본 연구주제에 좀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영어를 배우는데 있어서 환경적 특성은 무엇인가?
    2.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태도는 어머니들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영어 수업시간에 보이는 행동이나 영어교육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어떤 특징이 있는가?

    위의 세가지 연구문제를 연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실시한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와 어머니, 그리고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선생님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세 그룹으로 나뉜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로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인 5∼6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5명으로 한다. 그 이유는 인터뷰를 통한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저학년은 제대로 의사를 표현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두 번째 그룹은 다문화가정 어머니 30명으로 자녀 영어교육 태도와 기초조사를 위한 설문지와 설문지를 한 어머니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인터뷰를 응하는 참여자 5명으로 1차, 2차 인터뷰를 진행한다. 그리고 세 번째 그룹은 다문화가정 학생을 직접 초등학교에서 현재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선생님 2명에게서 참관수업 동의를 구한 뒤 3차에 걸친 참관 수업과 선생님 인터뷰를 통해서 실제로 학생들이 어떻게 영어 수업시간에 행동하는지를 관찰한다.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한 형태로 혼합 연구방법(Mixed method)을 실행한다. 양적연구로는 설문지법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를 위해서는 면담을 실시한다. 설문지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자료는 SPSS 통계를 이용해서, 분석한다. 면담은 5명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 또 5명의 다문화가정 자녀와 2명의 선생님을 대상으로 반구조형식(semi-structured) 인터뷰를 실시한다. 모든 인터뷰는 녹음되고, 그 뒤에 전사한 후, 코딩으로 분류하고, 분석한다.
    분석할 때에는, 연구 문제에 따라서 연구자는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환경적인 특성을 먼저 조사한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영어교육을 하는 데에 연구를 하기위해서는 먼저, 그들이 어떤 환경에서 영어를 배우는지와 어떠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지를 파악함이 우선이다.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의 환경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먼저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해서, 개요적 특성을 알아냄과 동시에 어머니들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영어교육에 대한 태도를 함께 양적연구로 살펴 볼 수 있다.
    좀 더 심층적으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영어교육에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인터뷰를 실시해서,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고, 데이터는 코딩을 통해서 ‘의미군’을 찾아서 분류하고, 그 분류들을 통해서 겉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개인들의 진술 속에 보편적으로 숨어있는 본질을 질적 연구를 통해서 찾는다.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직접 가르치고 있는 선생님의 인터뷰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내재된 본질을 확인 또는 추가적 설명을 도모해보고,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영어 수업시간에 정말로 어떤 행동을 하는지를 직접 관찰을 통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그 특징들을 찾아보면 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영어 수업시간에 그런 행동이나 태도를 보이는지를 본 연구를 통해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영어교육을 한국의 교육상황에서 살펴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다문화가정 어머니 68명이 설문지 조사에 참여했다. 또한, 설문지조사를 보충하고자 6명의 다문화가정 어머니, 6명의 그들의 자녀 그리고 1명의 초등학교 영어 선생님, 총 이렇게 13명의 인터뷰 참여자가 인터뷰를 수행했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66.2%(45명)가 가정에서 자녀들에게 영어를 가르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그리고, 34명(50%)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그들의 자녀의 영어실력이 낮다고 인식했다. 또한, 46명(67.7%)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그들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반면에 44명(64.7%)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그들이 가정에서 자녀의 영어실력을 증진하고자 도움을 주지않는다고 응답했다. 54명(79.4%)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영어교육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렇지만, 본 연구를 초석으로 삼아서 좀 더 면밀히 그들의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태도와 어려움들을 살펴봄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사회에서의 일원이 될 다문화가정 자녀들에대한 우리 사회의 교육정책자나 선생님들도 좀 더 비판적으로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교육과 맞물려서 교육정책을 실행하는데 심도깊은 토론이 시급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nglish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situations in a South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ontext. A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68 multicultural mother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66.2% of the mothers (N=45) did not teach their children the English language at home, while 34 mothers (50%) acknowledged that their children’s English proficiency level was low. The opinions expressed by the mothers on the importance of English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showed that 46 (67.7%) mothers regarded English education as important, while 44 (64.7%) mothers acknowledged the fact that they did not help their children improve their English proficiency. In order to triangulate the findings and attai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what a student needs, 13 interviews (6 mothers, 6 children, and an English teacher) have also been conducted. This study also invites discuss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nglish education policy at schools in South Korea, and sheds a new light on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language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영어교육을 한국의 교육상황에서 살펴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다문화가정 어머니 68명이 설문지 조사에 참여했다. 설문지는 총 3개의 파트: 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기초조사, 2. 자녀에 대한 기초조사, 그리고 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영어교육에 태도로 구성되었다. 또한, 설문지조사를 보충하고자 6명의 다문화가정 어머니, 6명의 그들의 자녀 그리고 1명의 초등학교 영어 선생님, 총 이렇게 13명의 인터뷰 참여자가 인터뷰를 수행했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66.2%(45명)가 가정에서 자녀들에게 영어를 가르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그리고, 34명(50%)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그들의 자녀의 영어실력이 낮다고 인식했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스스로 경제사회적인(socioeconomic) 지위를 상(high), 중(middle), 하(low)로 구별했을 때, 상(high)에 속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중(middle)과 하(low) 그룹보다 그들의 자녀 영어 능숙도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ANOVA에 의한 통계적인 의미(중; p=.000, 하; p=.000)가 있었다. 즉, 상(high)그룹이 중(middle)그룹과 하(low)그룹보다 그들의 자녀 영어 능숙도를 인식하는 데 중(middle)과 하(low)그룹보다 더 부정적으로 보았다. 또한, 46명(67.7%)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그들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반면에 44명(64.7%)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그들이 가정에서 자녀의 영어실력을 증진하고자 도움을 주지않는다고 응답했다. 54명(79.4%)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영어교육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어려움이 있다라고 응답한 54명중에서 26명(48.1%)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가 영어사교육을 받지 못해서'라고 응답했고, 11명(20.4%)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부모로 부터 영어공부에 도움을 받지 못해서'라고 응답했다. 5명(9.3%)은 '자녀가 한국어를 힘들어해서'라고 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자녀의 영어교육을 위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를 자유응답 문항에서는 6명의 어머니들은 '사회로 부터의 지원', 5명은 '자녀들이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동기의식', 5명은 '자녀가 학원에서 영어를 배울수 있게 경제적인 뒷받침'등으로 서술했다. 또한, 초등학교 영어 선생님은 다문화가정 자녀라고 해서 영어실력이 특별히 낮다라기 보다는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의 교육환경임을 강조하면서, 좀 더 나은 교육환경을 위해서는 사회경제적인 (socioeconomic) 지위가 중요하다고 했다. 다문화가정 자녀와의 인터뷰는 초등 5학년 이상으로 했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은 영어가 중요하다는 데에는 동의를 했으나, 영어공부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대부분 특히, 단어 외우기나 문장쓰기에서 영어가 힘들다고 했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 영어공부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그리고, 사회나 다문화 센터등에서의 도움을 호소했다. 현재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늘고 있고,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수도 해마다 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전반적인 교육적 어려움, 특히 영어가 우리사회에서 중요한 과목임을 감안할 때 영어교육에서의 어려움을 살펴볼 필요성이 더 절실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다. 비록 본 연구는 68명의 설문지 참여자로 대규모로 한 연구조사가 아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본 연구를 초석으로 삼아서 좀 더 면밀히 그들의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태도와 어려움들을 살펴봄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사회에서의 일원이 될 다문화가정 자녀들에대한 우리 사회의 교육정책자나 선생님들도 좀 더 비판적으로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교육과 맞물려서 교육정책을 실행하는데 심도깊은 토론이 시급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한 결과를 가지고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이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와 어떤 환경에서, 어떠한 개인적 변인에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태도가 다른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의 주체이자 본 연구의 주 대상자인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학교에서 영어교육을 대함에 있어서 어떤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와 어떠한 어려움을 안고 있으면서, 학습해 나가는지를 직접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 직접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선생님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들어봄으로써,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좀 더 효과적인 교육방법 선정과 다양한 학습 방법 등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순히 학습방법에만 국한된 연구 방법상의 발전이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서구와는 다른 환경적인 요인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환경적인 요인을 찾아내어서, 서구에서 먼저 발달한 ‘다문화’(multiculturalism)과 ‘다언어’(multilingualism}의 개념을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적으로도 더 이상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사회, 경제, 문화, 교육적으로 소외된 계층이 아닌,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가고 있는 우리나라 사회의 분명한 구성원으로서 그들을 보듬어야지 그들 개인뿐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도, 더욱 건강하고 평등한 사회가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이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한국어뿐 아니라 영어교육을 도와 줄 수 있는 많은 연구들이 나와서, 궁극적으로는 그들의 학업성취도에도 큰 영향을 주어서 우리 사회에서 그들이 유능한 인재로 거듭 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인력양성면에서도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본 연구와 같은 연구들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양성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어머니들에게서 배우는 모국어, 학교에서 배우는 영어, 또한 한국어 등 최소 3개 국어를 잘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인재가 될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국어, 영어 그리고 제2외국어를 배워서 3개 국어를 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다. 혹자는 그럼,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불리하지는 않은지 걱정할 수도 있으나, 글로벌시대에 너무 좁은 근시안적이고, 자기중심적인(ego-centric) 생각에서 벗어나서, 좀 더 큰 관점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주는 교육혜택을 거시적이고, 사회통합적인 이민정책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결국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은 더불어 사는 나에게도 이익이 되는 것이다. 가령, 내국인만의 모든 정책이나 혜택이 돌아간다면 다문화가정의 일원들은 사회의 부적응자로 낙인이 찍혀 여러 사회적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결국,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우리 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우리 모두를 위하는 길임을 깨닫고,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도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좀 더 나은 영어교과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여러 가지 통계적 사실들과 인문 사회적 고찰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의 연계한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과 초·중등학교와 협력해서 다양한 교육지원을 도모해 볼 수 있다. 가령, 방과 후 수업이라든지, 대학생 멘토링을 통해서 대학생에게는 자원봉사의 기회를 주고,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는 영어 보충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학교별로 개설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에게도 모국어를 다른 일반인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에게 자부심과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는 어머니의 모국어와 문화에 대한 존중과 자긍심을 동시에 지니게 할 수 있다. 끝으로, 모든 초등 선생님과 중등 선생님, 특히 국어 교사나 영어 교사의 연수 프로그램에는 반드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특성을 소개하는 강좌 또는 프로그램이 따로 제공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영어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영어를 지도할 때 좀 더 차별화되고 세심하게 배려해서 영어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영어 교사들에게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특성을 고려한 영어 학습 방법 등이 소개되어야 하겠다.

  • 색인어
  • 다문화, 다문화가정 자녀, 영어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