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전통산수화를 통한 생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inting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9295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장연자
연구수행기관 동덕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인간의 급속한 과학 기술과 물질만능주의로 인한 존엄성 상실과 환경파괴로 작금의 심각한 생태위기를 초래하였다. 생태위기의 원인은 주체/객체, 인간/자연의 이분법 속에서 인간중심주의적으로 발달한 근대성의 산물로 인식되어 왔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의 발전은 순환적인 관계였던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분리하기 시작하였고, 신비로운 생명체였던 자연은 인간의 풍요로운 삶을 위해 소비되는 하찮은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안고 있는 심각한 환경 파괴는 자연을 생명체가 아닌, 단순한 개발 대상으로 인식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경문제의 원인을 근대적 자연인식의 결과에 기인한다고 보았을 때, 인간과 자연의 이원성을 극복하고 인간의 삶과 자연 나아가 지구와의 관계를 조화롭게 만들고자 하는 생태 철학에서 환경문제의 극복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서구에서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자연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접근의 한 방향으로 동아시아 문화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조화적 측면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오랜 기간 자연친화적인 문화를 유지해 왔음을 간과하고 있다. 최근 사회 문화 전반에서 강조되고 있는 생태주의는 사실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삶의 원형과 한국인의 기저(基底)에 내재되어 있는 삶의 방식이었다. 인간과 자연의 합일(合一)․일체(一體)․조화(調和)라는 삶의 모습은 곧 생태주의적인 삶이었고, 이것이 고스란히 미술문화에 반영되어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자연친화적인 삶의 원형이 반영된 전통미술, 특히 산수화에서 ‘우리가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우리 선조들은 서양과는 달리 산수자연을 우주의 근본으로 생각하였고, 산수를 인간처럼 살아 있는 생명체로 보았다. 산에 있는 바위는 천지자연의 골격으로, 물은 혈맥으로, 나무와 풀은 머리털로, 구름과 안개는 자연의 입김으로 비유할 정도로 인간은 자연에 동화되는 것을 추구하였다. 이렇게 전통산수화는 자연에 순응하며 자연을 통해 자기 동일화하는 물아일체(物我一體)적인 자연관이 잘 나타나 있어, 전통 미술 중에서 한국인의 자연관이 잘 반영되어 있는 미술이다. 산수화는 오랜 관조와 명상과 수양을 통해 자연의 이치를 궁리한 결과이었는데, 여기에 사물자체에 내재한 정신성과 기운이 발현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이를 표현하는 것이 산수화의 핵심이었다. 전통산수화는 단지 눈으로 보여 지는 객관적인 모습을 그려낸 것이 아니라, 인간과 풍경 사이의 느낌에서 오는 깊이를 표현하고자 하였고, 삼원법과 산점투시법이라는 다원적 시점과 움직이는 시점으로 세상을 바라보았다. 또한, 산수화는 최소의 형식으로 최대의 내용을 담으려고 시도하였는데, 그것은 여백에 잘 드러난다. 다 보여주는 것이 아닌, 일부만 보여주는 방식으로 상상의 여지를 남기고 함축적으로 자연에서 느끼는 시정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산수화에서 인간과 자연의 전일적 관계, 생태적 상상력, 시적 감수성 등의 생태적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
    “환경과 생태”는 이 시대의 메가트랜드로서 미술교육에서도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생태 및 자연과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들이 많이 배출되고 있으나, 대부분 현장 실천사례에 해당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김두리, 2010; 서지연, 2010; 양강록, 2007; 황시경, 2010). 생태학의 담론 중, 서구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동양사상론적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논문은 아직 발표된 바 없다.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동아시아 문화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조화적 측면에 주목해 온 동양사상적 담론을 바탕으로 생태 미술교육에 대한 접근 시도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산수화에 나타난 생태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생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선인들이 자연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알고, 나아가 자연의 순환과 이치를 이해하며 자연이 살아있는 생명체임을 깨닫는 계기가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회적 병리현상이 인간가치의 상실과 20세기 소비지향적 사회에 그 뿌리가 있다는 점과, 인간성이라는 도덕관념을 회복하려면 자연에 관한 도덕관념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지한다면, 앞으로 교육에서 인간성 회복을 위해 자연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통한 미적 감수성을 통해 친 자연적 정서를 함양하는 미술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생태학의 담론 중 동양사상론적 담론에 주목하여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재조명하고, 전통산수화를 매개로 학교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업방안을 구안한 것으로 이는 생태 미술교육의 지평을 한층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측면에서 교육적· 사회적· 학문적 기여도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첫째, 최근 학교에서 발생하는 학교폭력과 여러 병리현상들을 예방하기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다. 생태 미술교육 활동을 통해 생태 위기의 원인으로 제기된 인간의 탐욕과 개발지상주의 및 황금만능주의에 익숙해진 사고에 대한 경계와 자연과 인간의 ‘공생’과 ‘관계’에 대한 이해, 나아가 자아와 타자, 정신과 육체간의 이원성 극복을 통해 환경보호는 물론 학생의 조화로운 인격형성과 영적성장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학교 교육현장에서 학생과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인식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학생에게는 최근 매가트랜드가 된 생태주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삶의 원형과 한국인 기저에 내재되어 있는 삶의 방식임을 인식시켜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교사에게는 생태학적 교수학습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의 새로운 접근으로 전통미술의 재인식을 통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구안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전통미술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새롭게 보려는 반성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미술교육에는 오랫동안 서구의 것은 우월하고 우리의 것은 저열하다는 사고가 깔려 있어 왔다. 학교 현장에서도 서양미술에 비해 우리 미술과 동양미술에 대해 배우는 기회가 교과 내용적 측면과 시간적 측면에서 현저히 적었다. 그러나 새롭게 부각되는 동양사상과 동양적 세계관의 중요성에 힘입어 우리 전통문화의 중요성과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넷째, 미술 교육학계에 생태학에 관한 새로운 논점 제시와 후속 연구의 파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처음 시도한 생태학의 동양사상적 담론을 통한 생태 미술교육에 대한 접근은 미술 교육 학계에서는 아직 생경할 수 있으므로, 미술교육학자들이 더욱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결과는 이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더욱 치열해 질 수 있으며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파생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생태학적 미술교육의 실천에 있어 이론적 토대와 수업 모형을 아우르고 있어서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 실제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연구 결과를 교대 및 사범대의 교육과정과 교사연수에 배포함으로써, 예비교사와 교사에게 생태미술의 새로운 접근의 일환으로 오랫동안 외면당해 온 전통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 지구적인 생태․환경 문제를 학교교육의 인식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가. 연구의 주제
    이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지구에서 우리들의 온전한 삶이 지속될 수 있을까?’, ‘ 우리는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 가야 하는가?’, ‘ 나는 지구 환경을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인간에 의해 발생된 자연의 반란으로 인해, 우리의 거처(居處)인 지구의 상황은 점점 악화되어 가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의 발전은 순환적인 관계였던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분리하기 시작하였고, 신비로운 생명체였던 자연은 인간의 풍요로운 삶을 위해 소비되는 하찮은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안고 있는 심각한 환경 파괴는 자연을 생명체가 아닌, 단순한 개발 대상으로 인식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환경문제의 원인을 근대적 자연인식의 결과에 기인한다고 보았을 때, 인간과 자연의 이원성을 극복하고 인간의 삶과 자연 나아가 지구와의 관계를 조화롭게 만들고자 하는 생태 철학에서 환경문제의 극복 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서구에서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자연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접근의 한 방향으로 동아시아 문화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조화적 측면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사회 문화 전반에서 강조되고 있는 생태주의는 사실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삶의 원형과 한국인의 기저에 내재되어 있는 삶의 방식이었다. 인간과 자연의 합일․일체․조화라는 삶의 모습은 곧 생태주의적인 삶이었고, 이것이 고스란히 미술문화에 반영되어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자연친화적인 삶의 원형이 반영된 전통미술, 특히 산수화에서 ‘우리가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고 이는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일조하는 길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산수화에 나타난 생태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생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나.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전통 산수화를 매개로 한 초․중등학교 미술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목적을 두었는데, 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 미술교육 관련 최근의 연구 및 서구에서 부각되고 있는 생태학의 동양사상론적 담론, 전통미술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또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생태 미술교육과 전통 미술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분석한다.
    둘째,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생태중심주의 세계관과 자연과 미술의 관계, 그리고 전통미술에 나타난 미의식에 관해 탐색한다.
    셋째, 전통산수화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통해 산수화의 다양한 측면과 산수화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파악하고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산수화의 의미, 산수화에 나타난 자연관, 산수화의 시적 여흥, 산수화의 시점과 여백을 통한 상상력 등을 고찰하고 탐색한다.
    넷째, 문헌 연구, 실태 분석 등을 통해 학교 생태 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설정한 후,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수화 중심의 생태 미술교육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시로 제시한다.
    다. 연구의 방법
    이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첫째는 문헌연구이다. 생태교육과 전통교육의 연구동향 자연과 미술의 관계, 전통 산수화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자료 분석을 통해 생태 미술교육 실천 방안에 대한 이론적 근거 마련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분석 자료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물, 생태적 세계관과 동양사상론에 관한 연구물, 삶과 자연과 미술의 관계에 관한 연구물, 전통 산수화 관련 연구물 등이다.
    둘째는 설문조사를 활용하고자 한다. 전국 초등학교 교사 및 중등 미술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학교 전통미술 프로그램 운영 실태, 전통산수화 수업 운영 방식과 실태, 전통미술 교육과 산수화 수업에 관한 개선 방안과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그 결과를 생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셋째는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미술교육과 동양화를 전공하였거나 생태 미술교육 관련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집단인 교수, 연구자, 교사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다. 1차는 개방형 질문, 2차는 선다형 설문 방식으로 실시하여 초․중등 생태 미술의 문제점과 전통 미술교육의 활성화 방안, 생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과제와 방향에 관련된 내용을 주로 한다.
    넷째는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교사, 중등학교 미술교사, 대학교수, 전통 산수화 관련 전문가, 전통미술 관련 학회 회원 등의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학교 생태 미술교육의 방향과 프로그램 개발 관련 아이디어를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전통 산수화의 심층적인 고찰을 통한 학교 교육에 적용 가능한 생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목적을 두었는데, 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주의, 자연과 미술의 관계, 전통미술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전통산수화의 심층적 고찰을 통해 산수화의 생태적 요소 읽어낸다.
    셋째, 전통산수화의 심층적 고찰을 통해 생태교육적 의미와 오늘날 교육에 주는 생태교육적 시사점을 밝힌다.
    넷째,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통산수화 중심의 생태 미술교육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위하여 연구 주제와 연구 내용의 정당성 확보 차원에서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의 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결과, 전 지구적 환경파괴는 바로 인간중심적인 성장주의 가치관에 있으며, 올바른 생태학적 교육은 단순한 자연보호 차원을 넘어 세상을 보는 철학적 인식 전환과 삶의 양식을 전면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창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통산수화의 심층적 고찰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전일성, 생명감, 생태적 감수성, 정신성, 생태적 상상력의 생태적 요소를 산수화에서 읽어 낼 수 있었다.
    셋째, 전통산수화가 생태교육의 주는 시사점을 1) 자연에 대한 직접체험과 교감의 중요성, 2) 전일성과 생명에 대한 자각, 3) 자연에 대한 내면적 성찰로 삶의 지평 확장, 4)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생태미술교육 목표의 구현체(具現體)로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통산수화 중심의 생태 미술교육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미래 교육에서 인간성 회복을 위한 자연과의 교감과 미적 감수성을 통한 친 자연적 정서를 함양하는 미술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산수화와 생태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교육에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전통산수화에서 생태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었는데 즉, 1) 자연의 직접체험을 통한 감수성교육의 측면, 2) 산수화에서 보여지는 초목, 바위, 새와 동물 등과 같은 생명체의 전일성 측면, 3)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인문학적 측면, 4) 인간과 자연의 이원성을 극복하고 조화를 보여주고 있는 구현체 측면에서 생태교육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had an objective to develop ecology art education program which can be applied to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in-depth study about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The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ooked at relationship between anthropocentrism and ecocentrism and between human life, the Nature, and arts and explored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Nature i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Second, ecological factors could be read from the landscape paintings through in-depth study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Third, reading ecological elements through profound examin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this study examined ecological educational meanings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ing with a main focus on suggestive points for today’s art education
    Fourth, ecology ar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cusing o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which could be used at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a literature research collecting relevant literature in order to secure legitimacy of the study subject and content. Major study results have been drawn as follows:
    First, global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due to human-oriented growth value. From this, we can see that proper ecological education should advocate a new paradigm to transform our philosophical perceptions of the world, and informatively change our life patterns beyond a goal of simple environmental protection.
    Second, ecological factors like Wholeness between human and nature, liveliness, ecological sensitivity, spirituality and ecological imagination could be read from the landscape paintings through in-depth study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Third, reading ecological elements through profound examin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this study examined ecological educational meanings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ing with a main focus on suggestive points for today’s art education: 1) the importance of direct experiential learning on the Nature, 2) awareness of life and poetic sensitivity, 3) expansion of life horizon through internal introspection of the Nature, 4) embodiment of the purposes of ecological art education pursuing harmony between the Nature and humans.
    Fourth, based on these researches, ecology ar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suggested focusing o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which could be used at school.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will be more emphasized in future education which develops nature friendly emotions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nature and esthetic sensitivity to recover the humanity. This study is to satisfy this tren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and ecology education.
    Study results showed ecology educational meanings i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In other words, ecology educational values could be identified from the aspects of 1) sensitivity education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the nature, 2) wholeness of living creatures like plants and trees, rocks, birds and animals which can be seen in the landscape paintings, 3) humanity which moves human mind, 4) embodiment which overcomes the duality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shows the harmon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전통 산수화의 심층적인 고찰을 통한 학교 교육에 적용 가능한 생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목적을 두었는데, 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주의, 자연과 미술의 관계, 전통미술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전통산수화의 심층적 고찰을 통해 산수화의 생태적 요소 읽어낸다.
    셋째, 전통산수화의 심층적 고찰을 통해 생태교육적 의미와 오늘날 교육에 주는 생태교육적 시사점을 밝힌다.
    넷째,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통산수화 중심의 생태 미술교육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위하여 연구 주제와 연구 내용의 정당성 확보 차원에서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의 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결과, 전 지구적 환경파괴는 바로 인간중심적인 성장주의 가치관에 있으며, 올바른 생태학적 교육은 단순한 자연보호 차원을 넘어 세상을 보는 철학적 인식 전환과 삶의 양식을 전면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창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통산수화의 심층적 고찰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전일성, 생명감, 생태적 감수성, 정신성, 생태적 상상력의 생태적 요소를 산수화에서 읽어 낼 수 있었다.
    셋째, 전통산수화가 생태교육의 주는 시사점을 1) 자연에 대한 직접체험과 교감의 중요성, 2) 전일성과 생명에 대한 자각, 3) 자연에 대한 내면적 성찰로 삶의 지평 확장, 4)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생태미술교육 목표의 구현체(具現體)로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통산수화 중심의 생태 미술교육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미래 교육에서 인간성 회복을 위한 자연과의 교감과 미적 감수성을 통한 친 자연적 정서를 함양하는 미술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산수화와 생태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교육에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전통산수화에서 생태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었는데 즉, 1) 자연의 직접체험을 통한 감수성교육의 측면, 2) 산수화에서 보여지는 초목, 바위, 새와 동물 등과 같은 생명체의 전일성 측면, 3)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인문학적 측면, 4) 인간과 자연의 이원성을 극복하고 조화를 보여주고 있는 구현체 측면에서 생태교육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연구 주제와 연구 내용의 정당성 확보 차원에서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설문조사, 델파이조사 및 전문가협의회도 병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의 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결과, 전 지구적 환경파괴는 바로 인간중심적인 성장주의 가치관에 있으며, 올바른 생태학적 교육은 단순한 자연보호 차원을 넘어 세상을 보는 철학적 인식 전환과 삶의 양식을 전면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창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통산수화의 심층적 고찰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전일성, 생명감, 생태적 감수성, 정신성, 생태적 상상력의 생태적 요소를 산수화에서 읽어 낼 수 있었다.
    셋째, 전통산수화가 생태교육의 주는 시사점을 1) 자연에 대한 직접체험과 교감의 중요성, 2) 전일성과 생명에 대한 자각, 3) 자연에 대한 내면적 성찰로 삶의 지평 확장, 4)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생태미술교육 목표의 구현체(具現體)로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통산수화 중심의 생태 미술교육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미술교과의 대영역이 체험, 표현, 감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다시 각 하위 영역으로 구분되어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제통합방식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큰 주제를 먼저 정하고 그 주제에 맞는 제재를 난이도가 낮은 것부터 높은 순으로 개발하였다. 총 6개의 대 주제별로 각각 하위에 2~5개의 제재를 개발하였고, 상세한 교수학습지도안으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활용방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회적 병리현상이 인간가치의 상실과 20세기 소비지향적 사회에 그 뿌리가 있다는 점과, 인간성이라는 도덕관념을 회복하려면 자연에 관한 도덕관념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지한다면, 앞으로 교육에서 인간성 회복을 위해 자연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통한 미적 감수성을 통해 친 자연적 정서를 함양하는 미술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생태학의 담론 중 동양사상론적 담론에 주목하여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재조명하고, 전통산수화를 매개로 학교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업방안을 구안한 것으로 이는 생태 미술교육의 지평을 한층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측면에서 교육적· 사회적· 학문적 기여도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첫째, 최근 학교에서 발생하는 학교폭력과 여러 병리현상들을 예방하기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다. 생태 미술교육 활동을 통해 생태 위기의 원인으로 제기된 인간의 탐욕과 개발지상주의 및 황금만능주의에 익숙해진 사고에 대한 경계와 자연과 인간의 ‘공생’과 ‘관계’에 대한 이해, 나아가 자아와 타자, 정신과 육체간의 이원성 극복을 통해 환경보호는 물론 학생의 조화로운 인격형성과 영적성장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학교 교육현장에서 학생과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인식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학생에게는 최근 매가트랜드가 된 생태주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삶의 원형과 한국인 기저에 내재되어 있는 삶의 방식임을 인식시켜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교사에게는 생태학적 교수학습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의 새로운 접근으로 전통미술의 재인식을 통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구안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전통미술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새롭게 보려는 반성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미술교육에는 오랫동안 서구의 것은 우월하고 우리의 것은 저열하다는 사고가 깔려 있어 왔다. 학교 현장에서도 서양미술에 비해 우리 미술과 동양미술에 대해 배우는 기회가 교과 내용적 측면과 시간적 측면에서 현저히 적었다. 그러나 새롭게 부각되는 동양사상과 동양적 세계관의 중요성에 힘입어 우리 전통문화의 중요성과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넷째, 미술 교육학계에 생태학에 관한 새로운 논점 제시와 후속 연구의 파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처음 시도한 생태학의 동양사상적 담론을 통한 생태 미술교육에 대한 접근은 미술 교육 학계에서는 아직 생경할 수 있으므로, 미술교육학자들이 더욱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결과는 이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더욱 치열해 질 수 있으며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파생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전통산수화, 생태미술교육, 인간과 자연의 관계, 생태적 요소, 생태교육적 의미, 인간성 회복, 미적 감수성, 생명체의 전일성,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