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의 역할 -서울 북촌을 중심으로
Fair Tourism System for the Sustainable Tourism and the Rolle of Tourism Policy -an Analysis of Bukchon in Seoul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9855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숙진
연구수행기관 경기대학교(서울)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최근 5년간 한국 관광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어 왔는바, 2012년 외래관광객 1천만명을 돌파하고, 관광수입 142억 불을 기록하는 등 양적인 면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과정에서 국내 인바운드 여행사의 과도한 경쟁과 과도한 쇼핑센터 방문 등 기형적 시장구조를 형성하여 관광객 만족도 저하, 관광수용태세 발전 저해, 관광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관광시장 구조에 관광산업의 선진화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관광시장구조의 현실적 문제점에 관광정책의 개입이 필수 불가결하게 되었다. 즉, 관광시장구조에 관광정책의 개입을 통해 대량관광 및 양적관광 산업구조를 고부가가치 관광산업구조로 전환해 관광산업의 체질을 바꾸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 것이다.
    특히, 한국관광의 중심지 서울은 방한 외래관광객의 80.3%가 방문하는 지역이며, 한국 관광산업 점유율 36.8%를 차지하는 관광의 중심지로서 관광콘텐츠의 고품격화를 통한 지속적 수요 창출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한국관광공사, 2011). 따라서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서울관광수용태세 전반에 대한 체질 개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관광산업이 양적 성장 중심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관광목적지를 형성하는데 있다. 즉 사회적 배제와 관광수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정관광체계를 마련하고 관광정책을 통하여 질적 도약을 이루는 학문적 실무적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내외국 관광객이 다시 방문하고 싶은 관광목적지를 구현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관광에 관한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3) 연구주제의 독창성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의 역할"에 고나한 연구는 2012년 외래관광객 1천만명 달성이라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관광시장구조 체질개선에 참신한 연구주제이며, 따라서 연구수행의 창의성과 독창성은 시의 적절하다고 판단되어진다. 아래와 같이 과업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 시간적 범위
    - 연구수행 기간: 2013년 9월-2014년 8월
    - 계획립 기준년도: 2013년
    - 계획실행 목표년도: 2014년

    * 내용적 범위
    - 공정관광체계를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
    - 공정관광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곤정관광체계 정립
    - 관광정책과의 영향관계를 통해 북촌관광의 공정성 평가
    - 지속가능한 우리나라 관광목적지 실천방안 제시

    * 공간적 범위
    - 공간적 대상지역: 서울 종로구 북촌 일대
    - 공정여행 움직임이 기 형성되어 있는 지역으로 북촌으로 한정
    -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의 역할 도출에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되어 시범지역으로 선정
  • 기대효과
  •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의ㅐ 역할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교육과 연계되어 활용되어질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공정관광체곌ㄹ 통해 고나광객이 인지하는 만족도와 관광정책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이론적 체계화를 통한 연구졀과의 학문적 기여도를 언급할 수 있다. 이 의미는 공정관광체계 테스터 과정에서 관광정책이 매개역할을 할 경우에는 정부의 법적 기준마련과 지원제도에 심혈을 기울이는 관광정책이 유효하게 될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 방안이 지소가능한 관광은 물론 지역 친화적 고나광 호라성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ㅁ비치게 되어 학문적. 사회적 기대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본다.
    둘째는 실무적 기대효과로써, 관광전문인력 양성방안이다. 연구위 공간적 범위지역의 관광업계는 물론 지속가능한 개발 ㅈ3ㅜ체의 의사결정과정에 있는 주요 현안들의 로드 맵이 될 것이다. 이과정은 관광정책의 법적 기준 제시와 지원체계를 테스트하는 단계에서 도출될 것으로 새롭게 발견 된 중요한 방안이 된다. 즉 공정관광체계가 관광정책에 의하여 매개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지속가능한 관광 호라성와에 미치게 된는 영향관계를 도출하게 된다. 따라서 공정관광체계 지속가능한 관광 활성화와 직접경로를 통해 지역 친화적 관광에 영향를 미치게 되는 과정을 연구하게 된다. 즉 공정관광체계가 있다고 해서 지속가능한 관광에 파금효과가 있을 것인지의 여부를 밝혀내는 과정이 진행될 것이다.
    지금까지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이념적, 지리적, 공간적 그리고 유지와 보전 차원에서 이루여져 이를 실행해 나가는 데는 실효성이 낮다고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앙부처의 우리나라 전통문화 명소에 대한 다양한 사업계획에 실질적 수익구조모델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론적 특성과 실무적 기대효과를 통해 볼 때, 공정관광체계가 고나광정책적 영향관계를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에 관광 관광정책의 매개적 역할과 독립적역할은 정부의 관광진흥접적 토대 위에서 여행사 고나계자들은 물론, 관광산업 운영시 업그레이드 된 관광전문인력 양성, 관광지원체계에도 영향을 미쳐 교육과 연계되는 실무적 효과를 꾀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연구모델을 토대로 제시되는 직간접 영향관계에서 도출되는 연구방법 그리고 기대효과는 관광학계와 중앙 부처 및 지자체로 하여금 지속가능한 관광정책 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제시함과 동시에, 현재의 관광정책의 역할을 재접검할 수 있도록 하며, 우수한 연구모형의 도출 결과에 따라 전통문화지역의 관광 핵심가치를 창조하는 차원에서 새로운 전략적 마인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관광산업이 양적 성장 중심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관광목적지를 형성하는데 있다. 따라서 내외국 관광객이 다시 방문하고 싶은 관광목적지를 구현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관광에 관한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을 통한 연구의 이론적 토대
    (1) 공정관광체계
    공정성은 투입 요소와 결과물간 비율이 타인과 비교하여 합당한 것으로 정의(박진영, 2008)되며,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박철호.이영림, 2003; 오정진, 2010; 엄은희, 2010)으로 규정하였다.
    공정관광은 1960년대 관광개발의 경제적 편익이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공평하게 분배되지 안는다(Myula, 2001)는 차원에서 시도되었으며, 관광은 복합성을 지낸 관광시스템의 특성상 관광매력물 뿐 아니라, 관광목적지에 대한 사회문화적 침범을 수반한다(malhony, 2007)는 지역사회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기에 이르렀다. 국내에서는 공정여행과 겅정관광 등의 용어가 혼용(한국관광광사, 2011)되어 사용되고 있다. 공정여행에 대하여는 오익근(2011)과 임영신. 이혜영(2009) 의 정의를 통해 볼 수 있고, 공정관광에 관하여는 오익근(2001)과 문화체육관광부(2011)의 개념으로 접근할 수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볼때,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 공정성, 지역주민 공정성, 관광산업공정성 그리고 생태적 공정성으로 구성(한국관광광사, 2011)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2) 관광정책
    관광정책의 법적 기준 마련은 관광진흥법과 공정거래법으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관광진흥법은 관광사업체의 등록.허가.지정 및 결걱사유에 대한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공정거래법(2010.5.17)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 축진을 위하여 관광분야의 거래행위에 대하여 부당한 공동행위 및 불공정거래행위 등을 규제하고 있다.
    관광지원제도를 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여행산업의 제도적 지원 및 공정한 거래관행의 기밙 마련을 위하여 여행업법 제정을 추진하고, 지속가능한 네트워크와 공정여행 캠패인활동을 진행하여 공정여행의 원칙 및 가이드라인의 초석을 다지고 있다.
    (3) 지속가능한 관광
    조용헌(2003)은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을 관광분야와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접목시켰으며, 지속가능한 관광은 지소가능한 과광은 해당지역의 자원이용, 자연환경과 문화의 보전을 기하면서 관광지 수용능력을 초과하지 않는 이용을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적 향상과 관광객의 만족을 동시에 달성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김재민, 1999; Hunter & Green, 1995; 고동완.정종의, 2007; 이영숙, 2009). 그러나 이러한 개념 정립은 지속가증한 관광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비판적 시각도 있었는데(김재민, 1999; Wheelker, 1993), 본 연구에서는 관광의 실현은 관광객 만족을 통한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그리고 전통문화 보존가능성으로 정의하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4) 서울 북촌
    최그 외국 방문객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북촌한옥마을에 대한 정부의 관광정책도 전통성과 문화유산 보전을 위한 개발방향으로 재정립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전통성과 상징성이 살아 있는 문화의 보고(寶庫)가 지속가능한 관광 명소로 유지 보존되기 위한 관광정책 방안은 장소 마케팅을 활성화시켜 북촌 한옥마을을 새로운 문화지역으로 거듭나게하는 데에 있다. 즉 다양한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북촌을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경쟁력 있는 지속가능한 관광목적지가 될 수 있도록 제도화 및 기준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3) 연구방법 및 내용
    (1) 연구모형
    본 연구은 이론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공정관광체계와 지속가능한 관광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관광정책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그림1참조>.
    (2)연구가설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위하여 6개의 가설을 설전하였다. 가설1과 2는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의 관계에서 법.기준검토와 지원제도에 각각 하위가설 설정, 가설3은 법.지원 검토와 지원제도의 관계, 가설4와 5는 관광정책의 지원제도와 법.기준검의 각각의 변수에 지속가능한 관광, 가설 6은 공정관광체계와 지속가능한 관광과의 관계로 설정하였다.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공정관광체계(한국관광공사, 2011; P.E. Murphy, 1983), 관광정책(김태헌.박숙진, 2011; 문화체욱관광부, 2013; 한국관광공사, 2011) , 지속가능한관광은(V.T.C. Middeton and R,Hawkins, 1998; 한국문과관광연구원, 2010)을 참고하여 4개의 변수에 16개의 측정문항으로 구성하였다<표 1참조>.
    (4) 연구방법
    설문기간은 2013년 12월 부터 2월말 까지 3개월간 실행하고(300부), 테이터의 통계 처리는 SPSS 15.0과 AMOS 6.0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관광 방안으로서의 공정관광체계와 그 과정에서의 관광정책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자료 수집은 연구의 효율성과 지속가능한 관광이라는 제약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의 범위를 제한적으로 선택하였는바, 설문지역과 대상을 서울 북촌 한옥마을을 체험관광한 사람들로 제한하였으며 설문은 2014년 3월부터 5월말 까지 3개월간 실시하였다. 유효표본 243부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데이터의 통계 처리는 SPSS 15.0과 AMOS 6.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는 공정관광 관련 법‧기준이 정립되고 지원제도가 시행될 때에 비로소 유의미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공정관광체계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이 실현될 수 있다’는 사회통념적 명제는 ‘공정관계체계가 정책적 수단을 매개로 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을 실현할 수 있다’로 재인식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광객 공정성’ 차원에서 관광객의 관광욕구 충족을 위한 노력과 ‘지역주민 공정성’ 차원에서의 관광객/관광사업체와 지역주민간 균형 잡힌 관계구도 형성, ‘생태적 공정성’ 차원의 수용력관리와 관광객-관광사업체간 투명한 거래절차를 위한 정책적 수단이 적극적으로 구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행업 인솔자의 자격요건강화, 여행상품계약 요건 강화, 관광사업체 등록절차‧기준 제시 그리고 관광사업체에 대한 지도와 감독에 대한 법과 기준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여행산업의 제도적 지원제도 구축과 공정여행원칙 및 가이드라인 수립, 공정여행 공익광고와 캠페인, 공정관광 관련 사회적 기업과 마을기업 육성 등 제도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하겠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mpirically fair tourism system as a measure for Korean sustainable tourism and a role of tourism policy for it. When gathering research data, choose from a spatial range of research subjects was limited, considering effectiveness and the constraints of research 'sustainable tourism'. The survey areas and target were limited to the tourists who have visited Bukchon Hanok village in seoul.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ree months from March until the end of May 2014. Valid sample 243 ware utilized in Research, and the SPSS 15.0 and AMOS 6.0 ware utilized for statistical data processing.
    This study shows that fair tourism system for sustainable tourism is significant means then for the first time when the law and criterion related to fair tourism are legislated and support system is in force. Therefore, socially and generally accepted proposition that sustainable tourism come true through the fair tourism system seems to nee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with a new thesis that the fair tourism system is realizable sustainable tourism through policy means and mediums. Accordingly, effort to fulfil the needs of tourists at the level of the fairness for tourists, forming a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tourist agency and local residents at the dimension of the fairness for local residents, capacity management at the level of the ecological fairness and policy means for the transparent trading procedures between tourists and tourist agency and so on must be embodied aggressive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관광 방안으로서의 공정관광체계와 그 과정에서의 관광정책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자료 수집은 연구의 효율성과 지속가능한 관광이라는 제약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의 범위를 제한적으로 선택하였는바, 설문지역과 대상을 서울 북촌 한옥마을을 체험관광한 사람들로 제한하였으며 설문은 2014년 3월부터 5월말 까지 3개월간 실시하였다. 유효표본 243부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데이터의 통계 처리는 SPSS 15.0과 AMOS 6.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는 공정관광 관련 법‧기준이 정립되고 지원제도가 시행될 때에 비로소 유의미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공정관광체계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이 실현될 수 있다’는 사회통념적 명제는 ‘공정관계체계가 정책적 수단을 매개로 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을 실현할 수 있다’로 재인식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광객 공정성’ 차원에서 관광객의 관광욕구 충족을 위한 노력과 ‘지역주민 공정성’ 차원에서의 관광객/관광사업체와 지역주민간 균형 잡힌 관계구도 형성, ‘생태적 공정성’ 차원의 수용력관리와 관광객-관광사업체간 투명한 거래절차를 위한 정책적 수단이 적극적으로 구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행업 인솔자의 자격요건강화, 여행상품계약 요건 강화, 관광사업체 등록절차‧기준 제시 그리고 관광사업체에 대한 지도와 감독에 대한 법과 기준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여행산업의 제도적 지원제도 구축과 공정여행원칙 및 가이드라인 수립, 공정여행 공익광고와 캠페인, 공정관광 관련 사회적 기업과 마을기업 육성 등 제도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금까지 서울의 북촌지역을 중심으로 공정관광체계와 지속가능한 관광, 그리고 관광정책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가설검정 결과, 공정관광체계는 법‧기준 검토에, 그리고 법‧지원 검토는 지원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 ‘공정관광체계는 법‧기준 검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3 ‘법‧지원 검토는 지원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반면, 공정관광은 지원제도와 지속가능한 관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지원제도와 법‧지원 검토는 지속가능한 관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2 ‘공정관관체계는 지원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지원제도는 지속가능한 관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법‧기준 검토는 지속가능한 관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6 ‘공정관광체계는 지속가능한 관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모두 기각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가설4와 가설5의 기각은 차치(且置)하더라도, 가설2와 가설6의 기각은 공정관광체계가 공정관광 지원제도를 유인하고, 공정관광체계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이 실현될 수 있다는 사회통념적 명제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두 구성 개념간의 영향만을 고려한 가설검증과는 달리, 구성개념간의 표준화 총효과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그 문제제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즉 공정관광이 지속가능한 관광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 0.212, 간접효과 0.193으로 표준화 총효과는 0.405로 나타났으며, 특히 공정관광체계가 지원제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가 0.149에 그친 반면 법‧기준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0.788로 나타나 표준화 총효과는 무려 0.938로 매우 높게 나타남으로써 공정관광체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우리는 관광정책의 틀에서 법‧기준 검토와 지원제도의 확립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는 공정관광 관련 법‧기준이 정립되고 지원제도가 시행될 때에 비로서 유의미하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공정관광체계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이 실현될 수 있다’는 사회통념적 명제는 ‘공정관계체계가 정책적 수단을 매개로 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을 실현할 수 있다’로 재인식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광객 공정성’ 차원에서 관광객의 관광욕구 충족을 위한 노력과 ‘지역주민 공정성’ 차원에서의 관광객/관광사업체와 지역주민간 균형잡힌 관계구도 형성, ‘생태적 공정성’ 차원의 수용력관리와 관광객-관광사업체간 투명한 거래절차를 위한 정책적 수단이 적극적으로 구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행업 인솔자의 자격요건강화, 여행상품계약 요건(안전정보, 여행일정표, 약관제공) 강화, 관광사업체 등록절차‧기준 제시, 관광사업체에 대한 지도와 감독에 대한 법과 기준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여행산업의 제도적 지원제도 구축과 공정여행원칙 및 가이드라인 수립, 공정여행 공익광고와 캠페인, 공정관광 관련 사회적 기업과 마을기업 육성 등 제도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하겠다.
  • 색인어
  • 공정관광체계, 공정여행, 지속가능한 관광, 관광정책, 북촌한옥마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