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어머니의 내․ 외적 동기의 유형 및 수준과 영역별 양육 효능감 간의 관계
Associations among types and levels of mother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domain-specific self-efficac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9881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백지희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가진 어머니가 양육에서 보이는 동기의 유형과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에 양육에서 어머니가 갖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가 양육의 영역별 효능감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알아볼 것이다. 또한 부모가 가지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의 수준이 각각 어떠한가에 따라 영역별 양육 효능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어머니의 동기는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동기를 의미하며, 양육에의 동기라고 볼 수 있다. 부모의 양육 동기는 부모에 관련한 연구에서 크게 관심 받았던 주제가 아니며, 부모의 양육 행동이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룬 연구에서 잠시 언급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호르몬 등의 생물학적인 요소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보았던 관점과 특히 어머니의 양육 행동은 의심할 바 없이 여성이라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보았던 것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고 당연하다 여긴 양육 행동 자체의 동기보다는 특정한 상황, 예를 들어 자녀의 교육에 참여하는 부모의 동기, 혹은 양육 기술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는 동기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다르게는 일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라, 위탁부모, 동성애 부부, 선택적 미혼모 등의 특정 대상의 부모가 갖는 동기를 살펴보는 연구 등 이 이루어졌다. 이는 부모가 양육에서 가지는 동기를 보다 당연하게 생각하여 양육 동기의 중요성을 간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변화한 현대 사회는 더 이상 자녀 양육을 부모가 하는 당연한 일로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부모가 무엇을 위하여 자녀를 양육하게 되는가에 대한 동기적 측면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부모의 양육 동기도 일반적으로 동기의 유형이 구분되는 바와 같이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구분할 수 있다. 어머니가 양육에서 자신의 양육행동 자체에서 즐거움과 호기심을 느끼고 내적으로 동기화되는 것과 자신과 자녀에 관련한 외부의 평가나 보상에 따라 외적으로 동기화되는 것으로 동기의 유형을 나누어 각각의 영향을 탐색한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외부적으로 인정받기보다 양육행동 자체에서 스스로 즐거움을 찾을 때 양육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나아가 어머니가 영유아의 양육에서 가지는 내․외재적 동기가 어머니의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양육의 영역에서 보이는 양육 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부모의 양육 효능감은 부모로서의 역할을 어느 정도로 유능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기대와 자녀의 발달과 행동에 스스로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Coleman과 Karraker(2003)는 구체적인 양육 과제들을 비슷한 영역으로 묶고 각각의 영역에서 부모가 인지하는 자신감과 기대감을 영역별 양육 효능감이라 정의하였다. 영역별 양육효능감은 연구에 따라 다르게 요인화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녀와의 놀이, 자녀 교육, 애정 표현과 정서적 지원, 규칙적인 생활 형성 등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앞서 내․외적 동기가 각각 어떠한 수준인가에 따라 동기의 유형을 구분하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어머니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 각각 어떠한 수준인가에 따라 양육의 영역별 효능감에는 차이가 나타나는가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자기결정성 이론은 한 개인이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를 모두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보지만 내적 동기가 외적 동기보다 커질 때 자신의 행동이 가장 자율적인 형태를 띄게 되어 자기결정성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양육의 다양한 상황에서 부모가 가지는 동기의 유형과 수준이 양육 효능감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고찰해보는 것은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 양육에서 작용하는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적절한 양육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 효능감에 관계하는 동기적 요소를 규명하여 부모의 양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지표를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하여 수행되는 연구결과는 첫째, 우리나라 부모들이 양육에서 어떻게 동기화되는지를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동기는 다양한 행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므로 부모의 양육에의 동기를 알아보는 것은 부모가 어떠한 양육행동을 낳게 하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동기의 역할이 규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양육에서는 동기의 역할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에서는 동기가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양육에서 부모의 동기의 역할에 관한 정보는 현대 사회의 부모들이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게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양육 실제를 위한 교육과 자료를 제작하는 기초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보완되어 부모의 동기적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일차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도구가 가진 요인구조를 다시 한 번 확인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재확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측정도구의 문항이 수정 보완된다면 양육에서 부모의 동기를 파악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접근이 가능하여 부모의 동기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부모의 동기와 영역별 양육 효능감 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부모의 양육 과정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적 동기의 활용은 개인의 정서적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양육에서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유형 별 역할과 수준에 따른 효능감의 차이분석은 부모가 양육에서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임해야 하는가를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양육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영역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동기의 유형과 수준을 규명한다면 부모가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에서 부모가 어떻게 동기화되는 것이 적절한 것인가를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부모의 효능감을 높이기 위하여 진행되는 다양한 부모교육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탐색에서 동기라는 변인을 새롭게 다루면서 기존의 부모관련 연구에 이론적인 배경을 보완하는 학문적인 기여도 함께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내․외적 동기와 영역별 양육 효능감 간의 관계를 탐색 및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기존에 이루어진 문헌 연구와 추가적인 자료를 고찰하여 부모의 양육 동기와 영역별 양육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예비 측정도구를 제작하고자 한다.
    부모의 내․외적 동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양육 상황에서 부모의 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Work Preference Inventory(Amabile, Hill, Hennessey & Tighe, 1994)의 문항을 수정 후 타당화한 도구(백지희, 2011)를 보완하여 사용할 것이다. 타당화된 측정도구의 문항은 내적 동기 7문항과 외적 동기 8문항의 총 15문항으로 전체 신뢰도는 .85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의 두 요인으로 요인화된 기존의 측정 도구에서 외적 동기 요인을 부모 자신의 인정과 보상에 따른 외적 동기와 자녀가 받는 인정에 따른 외적 동기의 두 개 요인을 구분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기존의 측정도구의 문항을 보완한 후, 예비조사를 통하여 문항을 검토할 것이다. 또한 자료의 분석 전에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문항의 요인구조를 검증한 후 사용하고자 한다.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은 Meunier와 Roskam (2009)의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EGSCP)'를 1-7세 영유아를 자녀로 둔 우리나라 어머니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한국판 양육 효능감 척도(K-EGSCP)를 사용하고자 한다(성지현, 백지희, 2011). K-EGSCP는 양육 상황에 따른 부모의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관련 인지구조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이며 영역별 양육 효능감 5요인(애정, 일상체계 조직, 훈육, 놀이, 교육)과 관련 인지구조 2요인(부모의 책임, 결과 통제)의 총 2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영역별 양육 효능감 요인에 해당하는 22문항을 사용할 것이다. 하위 요인별 문항은 애정 효능감 5문항(예: “내 아이는 나에게 매우 사랑 받고 있다고 느낀다”), 일상체계 조직 효능감 4문항(예: “나는 내 아이가 규칙적으로 일정을 해내게 하지 못한다”), 훈육 효능감 5문항(예: “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 아이의 행동에 영향을 주기가 어렵다”), 놀이 효능감 5문항(예: “나는 아이와의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교육 효능감 3문항(예: “나는 내 아이에게 무엇인가를 설명하려고 할 때 적절한 수준의 방법을 찾는 것이 어렵다”)으로 구성되어있다. 원척도의 신뢰도(Cronbach α)는 전체 신뢰도 .91, 하위요인별 애정 .80, 일상체계 조직 .82, 훈육 .75, 놀이 .89, 교육 .83이다.
    최종 설문지 제작을 위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비례할당표집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배부 및 회수하여 본조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동기는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일으키고 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인이며 동력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스스로가 가진 동기를 바탕으로 어떤 방법으로 행동을 하고 어느 시점에서 어떠한 이유로 행동에 보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를 결정한다.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동기의 역할을 연구하기 시작한 이후로 동기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설명되고 있다. 첫째, 본인이 행동을 하는 원인을 활동의 내부에서 찾는 내적 동기와 둘째, 활동 그 자체보다 외부에서 주어지는 보상이나 인정 등과 같은 이유로 행동이 일어나는 외적 동기가 대표적인 두 유형이다. 변화한 현대 사회는 더 이상 자녀 양육을 부모가 하는 당연한 일로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부모가 무엇을 위하여 자녀를 양육하게 되는가에 대한 동기적 측면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부모의 양육 동기도 일반적으로 동기의 유형이 구분되는 바와 같이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도 부모가 그저 자기의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녀와 함께하는 것이 행복하기 때문에 자녀를 양육하는 내적으로 동기화된 부모가 있을 것이다. 반면 자녀가 보여주는 성과나 발달의 결과적인 측면이나 자녀를 잘 키워 내가 좋은 부모라는 것에 인정받는 것에 만족을 느끼기 때문에 자녀를 양육하는 외적으로 동기화된 부모도 있을 것이다. 양육의 다양한 상황에서 부모가 가지는 동기의 유형과 수준이 양육 효능감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고찰해보는 것은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 양육에서 작용하는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적절한 양육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 효능감에 관계하는 동기적 요소를 규명하여 부모의 양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지표를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영유아의 양육에서 가지는 내․외재적 동기가 어머니의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양육의 영역에서 보이는 양육 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양육 효능감의 제 영역은 애정, 일상체계조직, 훈육, 놀이, 교육이다. 또한 내 ․ 외적 동기가 각각 어떠한 수준인가에 따라 동기의 유형을 구분하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어머니의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각각 어떠한 수준인가에 따라 양육의 영역별 효능감에는 차이가 나타나는가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비비례 할당표집하여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651명을 선정하였다. 어머니의 내 ․ 외적 동기와 양육 효능감 측정도구가 사용되었으며 어머니의 동기와 양육 효능감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가 가지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의 수준을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하여 집단을 구분하고 수준 유형별 집단의 영역별 양육 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 후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내적 동기는 양육 효능감의 영역에 따라 전체적으로 내적 동기가 높을수록 양육에서의 효능감도 높아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외적 동기는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없거나(애정, 놀이), 혹은 외적 동기가 높을수록 양육 효능감은 낮아지는 부적인 상관관계(일상체계조직, 훈육, 교육)를 보였다.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정도에 따른 집단은 동기 제 유형의 평균값에서 높고 낮음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집별 영역별 양육 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 애정, 일상체계조직, 훈육, 놀이, 교육의 모든 양육 효능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군집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하게 어머니가 양육에서 가지는 양육 효능감은 기본적으로 애정과 놀이 영역에서는 내적 동기가 주로 작용하여 외적 동기의 높고 낮음과는 상관없이 내적 동기가 높아야지 효능감이 높을 수 있었다. 훈육과 교육 영역에서도 기본적으로 내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지만 이들 영역은 내적 동기가 높은 경우에도 외적 동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양육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의 유형과 수준을 규명하여 부모가 경험하는 양육의 영역에 따라 부모의 어떤 동기가 작용하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었다. 특히, 양육에서 동기라는 변인을 새롭게 다루면서 기존의 부모관련 연구에 이론적인 배경을 보완하는 학문적인 기여가 이루어졌다.
  • 영문
  • Motivation is cause and power for people to drive their behavior and keep doing. Generally people decide what and when to do based on their motives. Motivation has been divided into two general categories; intrinsic and extinsic. Intrinsic motivation finds reasons of behavior in behavior itself; otherwise, extrinsic behavior gives reasons of action from others or rewards. In parenting, parents are also motivated by both intrinsically and extrinsically. Parents’ enjoyment and interest can be described as intrinsic motivation in parenting and other people’s judgement on parenting and their children could be determined ex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purpo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motivation and their self-efficacy in various parental settings such as nurturance, instrumental care, discipline, play and teaching. Also, two types of motivation can be activated in complex way according to its level. This research figured several groups with cluster analysi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parenting self-efficacy by levels of two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651 par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contained items from parenting motivation scale and domain specific self-efficacy scale. Relations among intrinsic motivation and every domains of self-efficacy were all positively related. Parents who were intrinsically motivated show high self-efficacy in all of parenting domains. However, parents who were extrinsically motivated were likely to show low parenting self-efficacy in instrumental care, discipline, and teaching. Parents’extrinsic motivation was not related to their self-efficacy in nurturance and play with children. A final solution of four clusters was chosen following concerns of parsimony. The four distinct motivational groups were revealed; hig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high intrinsic/low extrinsic motivation, low intrinsic/high extrinsic motivation, and low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clustering groups on every domain of self-efficacy in parenting. Mainly, intrinsically motivated mothers were recognized themselves as an effective mothers in nurturance and play with children regardless the levels of extrinsic motivation. In instrumental care and discipline, extrinsic motivation effected on higher self-efficacy of mothers. Findings 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parenting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The positiv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is consistent with decades of theory and research demonstrating its benefits. Negative relations between mothers’ ex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parenting suggest for parents to avoid comparing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to others. This study emphasizes that expression of love and affection and spending play time with children genuinely starts from parents’enjoyment in parent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영유아의 양육에서 가지는 내․외재적 동기가 어머니의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양육의 영역에서 보이는 양육 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양육 효능감의 제 영역은 애정, 일상체계조직, 훈육, 놀이, 교육이다. 또한 내 ․ 외적 동기가 각각 어떠한 수준인가에 따라 동기의 유형을 구분하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어머니의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각각 어떠한 수준인가에 따라 양육의 영역별 효능감에는 차이가 나타나는가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비비례 할당표집하여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651명을 선정하였다. 어머니의 내 ․ 외적 동기와 양육 효능감 측정도구가 사용되었으며 어머니의 동기와 양육 효능감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가 가지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의 수준을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하여 집단을 구분하고 수준 유형별 집단의 영역별 양육 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 후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내적 동기는 양육 효능감의 영역에 따라 전체적으로 내적 동기가 높을수록 양육에서의 효능감도 높아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외적 동기는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없거나(애정, 놀이), 혹은 외적 동기가 높을수록 양육 효능감은 낮아지는 부적인 상관관계(일상체계조직, 훈육, 교육)를 보였다.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정도에 따른 집단은 동기 제 유형의 평균값에서 높고 낮음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집별 영역별 양육 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 애정, 일상체계조직, 훈육, 놀이, 교육의 모든 양육 효능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군집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하게 어머니가 양육에서 가지는 양육 효능감은 기본적으로 애정과 놀이 영역에서는 내적 동기가 주로 작용하여 외적 동기의 높고 낮음과는 상관없이 내적 동기가 높아야지 효능감이 높을 수 있었다. 훈육과 교육 영역에서도 기본적으로 내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지만 이들 영역은 내적 동기가 높은 경우에도 외적 동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부모의 동기와 영역별 양육 효능감 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부모의 양육 과정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내적 동기의 활용은 개인의 정서적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동기의 역할이 규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양육에서는 동기의 역할이 알려지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양육 상황에서 부모가 가지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분석해봄으로써 양육에서는 동기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도 양육에서 어머니가 가지는 내적 동기는 양육 효능감의 전 영역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에 따라 양육에서도 즐거움이나 재미와 같은 내적인 동기화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외적 동기와 일상체계조직, 훈육, 교육 영역에서의 양육 효능감 간의 부적 관계는 외부의 보상이나 평가, 그리고 자녀가 보여주는 결과에 영향을 받는 것이 부모 스스로의 부정적인 자기 인식과 관계있음을 보여준다. 부모가 가지는 긍정적인 양육에 관한 자기 인식은 양육 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모들에게 주변 의식이나 보상보다 양육 상황 자체에 관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즐거움과 호기심을 느끼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양육에서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유형 별 역할과 수준에 따른 효능감의 차이분석은 부모가 양육에서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임해야 하는가를 생각해보게 하였다. 특히, 애정적 측면이나 놀이상황 참여와 같은 영역에서는 내적 동기가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훈육을 하거나 교육하는 상황에서는 외적 동기가 밀접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변의 인정이나 자녀가 보여주는 성과에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는 어머니의 경우 내적 동기가 높은 어머니들보다 자녀의 성과를 강조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자신들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해내고 있지 못하다는 압박감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머니들은 외부의 압박에 의해 과도하게 자녀를 통제하거나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가 후속되어 외적 동기가 높은 어머니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색인어
  • 부모의 동기, 양육 효능감,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양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