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a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School-Based Mental Healt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9182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배은경
연구수행기관 호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2006년 학교보건법 개정 이후 전국 초․중․고등학생 전수를 대상으로 2012년 학생 정서행동발달검사가 실시되는 등 국가적 차원에서 학교정신건강의 중요성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질병모델에서 벗어나 예방모델을 기반으로 진행되어온 학교정신건강사업은 고위험군 선별 및 예방에 있어 초점을 맞추어 조기발견율과 지역연계 비율을 높여온 반면 비밀보장과 낙인의 문제 등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며 선별 이후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제공되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은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학교는 교실과 운동장 등 다양한 현장에서 아동을 직접 관찰할 수 있어 정서행동적 문제를 지닌 아동을 선별, 사정하고 그에 맞는 목표를 세워 치료를 제공함에 용이하고, 환경과 맥락이라는 측면에서 교사와 또래집단의 존재, 문제해결 능력의 일반화, 개입비용에 따른 부담 약화 등이라는 점에서도 장점을 가지며, 학생들의 정신건강 증진 및 개입에 있어 가장 유용한 사회적, 교육적 기관이라는 측면에서 아동정신건강 증진에 있어 중요한 현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학교라는 장(場) 안에서 교사는 아동이 타인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고 사회적 관계 속의 자기상을 만들어감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존재인 동시에, 아동의 문제행동은 아동 개인의 문제를 넘어 학급 전체를 운영하는 측면에서 교사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학교라는 체계는 학교의 규범이나 학교 분위기를 포함하며,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가 중증도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음을 고려할 때 교사는 학급에서 특수욕구를 지닌 아동을 지원함에 있어 고위험군 아동 뿐 아니라 학급원 전체를 대상으로 보편적 접근을 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학교 현장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부모, 부모와 교사 등 다양한 형태의 갈등이 표출되고 있으며, 특히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는 아동 개인의 문제행동과 불순응을 다루는 차원을 넘어 학생의 정서행동적 어려움 뿐 아니라 학교폭력이나 또래갈등 중재에 대한 요구, 학부모 등 중간체계 간의 갈등이 순환되는 현실을 맞닥뜨리게 된다. 특히 선별 위주의 학교정신건강사업이 오히려 아동을 낙인화하고 교사의 교수 의지를 꺾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선행연구를 고려할 때 교사를 지원하는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의 필요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제기 하에, 학교 현장에서 교사를 대상으로 고위험군 아동에 대한 예방 및 학급원의 보편적 정신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근거기반의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학교를 주체로 하는 아동정신건강사업이 확장되고 사회적 요구와 기대가 커지고 있음에 비하여 학교정신건강 측면에서 교사를 지원하는 전문프로그램이 제한적임을 고려할 때 전국적으로 확산가능한 근거를 기반으로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Rothman과 Thomas(1994)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프로그램 개발원칙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근거기반의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질 것이라 기대되며, 이에 본 연구결과가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근거 기반의 실천을 위한 학교정신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경험적인 근거기반실천을 축적한 이후 향후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교정신건강 연수 프로그램으로 전국적으로 보급하여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될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 프로그램은 교사의 ADHD, 우울장애 등의 특수욕구를 가진 고위험군 아동에 대한 이해와 인식 증진 뿐 아니라 학급원 전체를 대상으로 긍정적인 또래문화를 격려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긍정적 행동을 지원하고 보편적인 정신건강 증진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학교정신건강 교수연수프로그램이 학기 중 교내연수 형태로 적용될 경우 교사가 학급원이나 학부모에게 적용가능하고 학급원 스스로도 활용가능한 갈등해결기법을 실재적으로 익히고 적용하게 됨으로써 갈등을 비폭력적으로 해결하여 학교폭력예방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에 학기 중 교내연수 형태와 방학 중 외부연수 형태의 효과성을 비교, 검증해 볼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를 대상으로 고위험군 아동에 대한 예방 및 학급원의 보편적 정신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근거기반의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Rothman과 Thomas(1994)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프로그램 개발원칙에 따라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제 1단계 문제분석과 프로젝트 개발 계획 단계를 통하여 아동정신건강사업 및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관련 문헌고찰과 광주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한 욕구조사를 통하여 문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적을 설정한다.
    제 2단계 정보수집과 통합 단계에서는 연구목적에 맞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 통합하기 위하여 국내외 전자저널을 이용하여 정보검색을 한다. 기존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 고찰 이후 교사 대상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확정하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프로그램 구조, 구성, 내용, 평가방법 등에 대한 근거를 확보한다.
    제 3단계 디자인 단계는 지금까지 수집한 정보 분석을 통해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먼저 1․2단계에 걸친 정보 통합화로 설정한 구성요소를 토대로 1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더욱 정교화하기 위하여 현장 실무자, 교수로 구성된 6명의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에 반영한다.
    제 4단계 초기개발과 현장실험 단계에서는 집단사전계획모델을 토대로 실험집단 참여교사 확정 이후 사전면담을 통해 파악된 욕구를 반영, 디자인 단계에서의 프로그램을 초기프로그램으로 정교하게 다듬고 수정하여 실천 현장에서 실험한다. 현장실험은 실험집단 A초등학교 2~3학년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학기 중 학교정신건강 직무연수프로그램을 주 1회 총 8주간 90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비교집단 1인 B초등학교 2~3학년 교사 10명을 대상으로는 방학 중 직무연수프로그램을 2일간 실시할 예정으로, 매 회기마다 관찰자 1명과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평가하면서 프로그램 적용 타당성을 탐색한다.
    제 5단계 평가 및 수정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실행된 초기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효과적인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병행한다.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학기 중 직무연수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방학 중 직무연수에 참여한 비교집단 1, 어떤 개입도 받지 않는 비교집단 2를 설정하여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변화의 차이를 비교한다. 유사실험설계를 통하여 평가를 통해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실정에 맞는 발전된 수정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근거에 기반하여 개발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Rothman과 Thomas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입연구의 6단계 중 보급을 제외한 문제분석과 프로젝트 개발 계획, 정보수집과 통합, 디자인, 초기개발과 현장실험, 평가 및 수정개발 등 5단계 과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단계 문제분석과 프로젝트 개발 계획 단계에서는 초등교사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과 관련한 문헌고찰, 초등학교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총 2회의 포커스집단인터뷰가 실행되었다. 포커스집단 인터뷰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정신건강 관련 경험은 ‘아동 문제행동 지도의 어려움, 아동 정서행동문제 및 대처에 관한 부모와의 갈등, 교사직무연수 참여 경험 및 학교정신건강직무연수에 관한 욕구, 지역사회 정신건강자원에 대한 욕구’로 분석되었다. 정보수집과 통합 단계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교사 대상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내 논문 4편(배은경, 2012; 이명경, 2006; 이정은, 2010; 장은진, 2004)과 국외 논문 7편(Sayal et al, 2006; Miranda et al., 2002; Corkum et al., 2005; Power et al., 2001; Bloomquist et al., 1991; Lopez et al., 2005; Owens et al., 2005)을 분석하였으며, 3단계 디자인 단계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3단계 디자인 단계에서는 1․2단계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지도, 아동간의 갈등상황 중재 및 친사회적 행동 증진 활동 등을 프로그램 내용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 초기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4단계 초기개발과 현장실험 단계에서는 2015년 9월 18일~11월 6일에 걸쳐 8주간 주1회 120분 동안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메르스로 인하여 프로그램 실행일정이 늦춰짐). 본 연구는 개입연구방법을 적용한 근거기반실천 프로그램으로, 경험적 근거를 기반으로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teacher-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promotion of the school mental health. For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the five steps were adopted as suggested in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of Rothman and Thomas. The five steps are the first stage of Problem Analysis and Project Planning, the second stage of Information Gathering and Synthesis, the third stage of designing, the fourth stage of Early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and the fifth stage of Evaluation and Advanced Development. In the first stage of Problem Analysis and Project Planning, the goals of the program were set by figuring out and analyzing some problems that were discovered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for the research on school mental health and teacher-training, and conducting the needs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respectively.
    In the second stage of the Information Gathering and Synthesis, in order to collect the appropriate and various information for the study, the information search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domestic and overseas journals. After investigating previous programs,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established.
    In the third stage of designing,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teacher-training for promotion of the school mental health in a elementary school settings. First of all, the firs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mponents established by the Information Gathering & Synthesis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tages.
    In the fourth stage of Early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after the subjects were confirmed, the needs discovered in the pre-interview were reflect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model of pregroup planning. In this fourth stage, the program in the stage of designing was fine-tuned and modified for the initial progra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ts attempt to develop a evidence-based practical program by applying the method of interventional study, and in its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domestic progra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근거에 기반하여 개발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Rothman과 Thomas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입연구의 6단계 중 보급을 제외한 문제분석과 프로젝트 개발 계획, 정보수집과 통합, 디자인, 초기개발과 현장실험, 평가 및 수정개발 등 5단계 과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있어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에 관한 의의 및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직무연수를 개발함에 있어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을 활용하여 근거 기반의 실천을 위한 학교정신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정신건강에 대한 이해 및 대처기술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ADHD를 비롯한 특수욕구를 가진 고위험군 아동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넓히고, 나아가 학급원 전체를 대상으로 긍정적인 또래문화를 격려하는 대처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학급 아동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지원하고 보편적인 정신건강 증진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을 비동일집단사전사후설계로 실행해 봄으로써, 교사직무연수로 정식으로 인정되는 학교정신건강지원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경험적인 근거기반실천을 축적한 이후 향후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교정신건강 교사직무연수 프로그램으로 전국적으로 보급하여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 색인어
  • 학교정신건강, 교사연수, 아동정신건강, 프로그램개발및평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