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청소년 비행의 일반긴장이론 검증
Testing the General Strain Theory of Adolescent Delinquency using Meta-Analytic Path Analysi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8179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병선
연구수행기관 위덕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청소년 비행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다른 이론들보다 덜 결정론적이며 보다 유연하게 비행을 설명할 수 있는 일반긴장이론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이란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긴장요인들이 비행에 원인이 된다고 보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긴장을 발생시키는 상황과 환경을 이해하는데 보다 많은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일반긴장이론의 관점은 경쟁만을 강조하는 현 교육 시스템, 집단 따돌림, 가족해체 등이 심각해지고 있는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의 청소년 비행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반긴장이론을 근거로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고자 한 많은 경험적 연구들이 국내에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연구들에서는 일반긴장이론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요인을 고려하지 못하거나 주요 요인들의 개념적 범위가 서로 상이하게 적용되고 있는 등 현실적인 제한점들을 일부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선행연구들이 가진 제한점을 극복하고 일반긴장이론을 통합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메타경로분석이라는 새로운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일반긴장이론의 가설적 연구모형에 포함되는 모든 요인들간의 관계에 대한 국내의 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일반긴장이론에 대한 가설적 연구모형을 체계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청소년 비행의 일반긴장이론에 대한 일반화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최근 국외에서는 사회과학의 이론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통한 결과의 통합과 이렇게 통합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모형을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알려진 부분이 그리 많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의 자료를 메타분석한 결과를 사용하여 청소년 비행의 일반긴장이론을 검증하고자 한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 비행의 이론과 관련한 새롭고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회과학의 이론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방식은 일정한 샘플링을 통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론을 검증함에 있어 제외되는 요인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론의 검증을 위해 메타경로분석을 사용하게 될 경우, 메타분석을 통해 이론의 주요 요인들간의 통합된 결과를 추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일연구에서는 제외되는 요인들 간의 값들까지도 이론 검증에 포함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단일연구에서는 현실적인 제약들로 인해 다루어지지 못한 요인들까지도 모두 포함하면서도 기존 연구의 결과들을 모두 통합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과학적이고 통합적인 이론 검증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최근 사회과학의 이론의 검증뿐만 아니라 기존 자료들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검증을 위하여 메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다양한 형태와 방법들로 통합과 발전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메타경로분석에 대한 논의조차도 그리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시도하고자 하는 메타경로분석은 국내의 2차 자료의 분석과 이론 검증의 방법으로서 메타분석과 구조방정식의 통합에 대한 논의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는 일반긴장이론을 통합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일반긴장이론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요인들을 추출하고 요인들 간의 가설적 관계설정을 통한 이론적 연구모형을 설정한다. 두 번째는 설정된 연구모형에 포함된 요인들의 상관 값에 대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자료 등을 모두 수집한 후 메타분석을 실시한다. 세 번째는 메타분석을 통해 계산된 각 요인들간의 상관계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일반긴장이론을 검증한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 비행의 일반긴장이론에 대한 일반화된 결과를 제시하고, 국내의 청소년 비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임상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는 일반긴장이론을 통합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 단계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일반긴장이론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요인들로 학교성적, 스트레스, 부모학대, 우울, 공격성, 비행을 추출하여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이론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둘째, 설정된 연구모형에 포함된 요인들의 상관값에 대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자료 등을 모두 수집한 후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software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5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나, 주요 변인간의 관계가 중복으로 제시된 논문들을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총 693개의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셋째, 메타분석을 통해 계산된 각 요인들간의 평균상관계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수용가능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우울감 및 비행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과 비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격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학대를 많이 경험하게 되면 우울과 공격성, 비행이 모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우울이 높아지면 공격성이 높아지고 비행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이 높아지면 비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makes an integrated and scientific testing of general strain theory regarding adolescents delinquency in Korea, using meta-analytic path analysis. The test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data on academic performance at school, level of stress, parental abuse, depression, aggressiveness, and delinquency as major factors in the general strain theory are extracted, and then a theoretical research framework is establish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factors. Second, data regarding correlation values of factors of the research model are collected from various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And using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software, a meta-analytic path analysis was conducted. 250 theses were selected, but a total of 693 researches a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ird, based on the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factors calculated by meta-analytic path analysis, path analysis for the research model i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test shows that the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is acceptable. More specifically, higher school scores lead to lower depression and delinquency, and higher aggressiveness. And higher stress level leads to depression and delinquency, but does not mak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ggressiveness. Furthermore, more parental abuse results in increased level of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and delinquency. And more depression brings about higher aggressiveness and more delinquency, and more aggressiveness causes more delinquency. Last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are list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는 일반긴장이론을 통합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 단계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일반긴장이론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요인들로 학교성적, 스트레스, 부모학대, 우울, 공격성, 비행을 추출하여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이론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둘째, 설정된 연구모형에 포함된 요인들의 상관값에 대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자료 등을 모두 수집한 후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software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5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나, 주요 변인간의 관계가 중복으로 제시된 논문들을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총 693개의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셋째, 메타분석을 통해 계산된 각 요인들간의 평균상관계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수용가능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우울감(β=-.148, p<.001) 및 비행(β=-.065 p<.001)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β=.036, p<.001)이 높아졌다. 그리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β=.334, p<.001)과 비행(β=.039, p<.001)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격성(β=-.005, p>.05)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학대를 많이 경험하게 되면 우울(β=.165, p<.001)과 공격성(β=.157, p<.001), 비행(β=.111, p<.001)이 모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우울이 높아지면 공격성(β=.479, p<.001)이 높아지고 비행(β=.056, p<.001)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이 높아지면 비행(β=.303, p<.001)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 비행의 일반긴장이론의 검증 및 이론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에 관한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최근 국외에서는 사회과학의 이론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통한 결과의 통합과 이렇게 통합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모형을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메타경로분석을 시도한 진혜민(2013)의 연구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알려진 부분이 그리 많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에서 연구된 자료를 메타분석한 결과를 사용하여 청소년 비행의 일반긴장이론을 검증하고자 한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 비행의 이론과 관련한 새롭고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회과학의 이론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방식은 일정한 샘플링을 통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론을 검증함에 있어 제외되는 요인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론의 검증을 위해 메타경로분석을 사용하게 될 경우, 메타분석을 통해 이론의 주요 요인들간의 통합된 결과를 추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일연구에서는 제외되는 요인들 간의 값들까지도 이론 검증에 포함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일반긴장이론의 주요한 개념들 간의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일반긴장이론에 관한 통합적인 이론 검증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단일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된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연구의 결과가 일부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혼란을 해소하고 일반긴장이론에 대한 통합적인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다양한 학문의 영역에서 다양한 주제로 메타분석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관련 연구논문들이 발간되어 나오고 있다는 것은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메타경로분석을 할 수 있는 연구 자료들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메타분석의 결과들을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한 본 연구의 시도는 기존 자료들에 대한 진일보한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앞서도 언급된바 있지만, 최근 사회과학의 이론의 검증뿐만 아니라 기존 자료들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검증을 위하여 메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다양한 형태와 방법들로 통합과 발전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방법과 같이 메타분석의 결과를 활용하여 단순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이론을 검증하는 차원을 넘어서 주요 요인을 잠재변수로 구성하거나 위계적 2요인 변수로 구성하는 등으로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방법들로 발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Cheung and Chan, 2005, 2009; Dunst and Trivette, 2009; Sheu et al., 2010).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메타경로분석에 대한 논의조차도 그리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자료분석방법으로서의 메타경로분석은 국내의 2차 자료의 분석과 이론 검증의 방법으로서 메타분석과 구조방정식의 통합에 대한 논의의 시발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청소년, 비행, 일반긴장이론, 메타경로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