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틀과 평가도구 개발 연구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and Tools in Elementary English Clas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8394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진석
연구수행기관 서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영어교육에서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을 강조하고 있고, 국가수준의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도 기본적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사소통능력은 언어적 능력, 사회⋅문화적 능력, 담화적 능력, 전략적 능력으로 나누어진다(Canale과 Swain, 1980, 2-4). 특히, 사회⋅문화적 능력은 언어와 문화를 불가분의 관계로 간주하여 문화를 제대로 알아야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할 수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목표언어를 배우는 화자들은 문화가 다른 화자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상황에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자신들의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을 갖추어야 의사소통이 제대로 일어날 수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의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21세기 지구촌의 시민이 되는 첫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지구촌의 구성원으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한 국가에 국한된 자민족 중심주의가 아닌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영어가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언어’임을 명시하고, ‘세계의 흐름에 동참’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인으로서 질 높은 문화생활을 하기 위해서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교육부, 1997). 또한, 2007개정 및 2008개정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우리나라 영어교육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여 영어를 국제어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또 영어교육의 목표도 ‘원어민(native speaker)’이 아니라 ‘문화 간 화자(intercultural speaker)’의 개념을 토대로 하여 설정하였다. 이러한 성격과 목표를 제대로 반영하여 학교 현장에서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제대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방향이나 체계가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아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진 학습 내용을 어떻게 달성하였는지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어서 학습자들에게 적절하게 피드백을 줄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학교 초등영어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 및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의 목적, 평가 받는 학습자의 변인, 평가지의 목표언어 상황, 텍스트의 유형, 평가되어야 할 문화간 의사소통의 기술, 평가되어야 할 문화간 의사소통의 요소, 문화간 의사소통 관련 과업의 종류, 문화간 의사소통 평가방법, 문화간 의사소통 평가 기준 등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평가 세부계획서를 개발하고(Alderson 외, 1995, 38), 개발된 평가 틀을 기반으로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또한, 개발된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현장 적합성 검토를 하여 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한다.
  • 기대효과
  • 문화간 의사소통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기반 평가와 관련한 본 연구는 영어과교육과정의 평가 방법, 교수-학습 방법, 성취기준 개발, 소재 구성, 교수-학습 자료 개발, 예비교사 및 교사연수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ICC평가는 교육과정의 평가 체제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는 것이 교육과정의 목표이고, 아울러 학습자들이 영어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를 원하기 때문에 수업뿐만 아니라 평가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여기에 문화가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방안이 포함된다면 제대로 된 교육과정의 평가체제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평가에 따른 학습자의 ICC신장을 위해서는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ICC기반 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이 개선되는 세환효과(washback effect)가 일어알 것이다. 2009개정교육과정에서의 교수-학습 운영상의 유의점에 따르면, 초등학교 3, 4학년은 정의적 목표를 강조하여 찬트, 노래, 역할놀이 등을 활용하고,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학교는 정보 처리 등 인지적 요소가 강한 의사소통 활동의 비중을 늘리도록 한다. ICC평가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평가 세부계획서가 설정되어 시행됨으로써 수업시간에 구현되는 활동(activity)이나 과제(task)가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바탕으로 설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문화간 의사소통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는 성취기준(achievement standard)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외국어 학습에서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의 기능별 언어학습이 순서를 지키며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는 4기능이 학습과정에서 상호 보완적 작용을 하기 때문에 통합 학습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Hudelson, 1989, 234). 통합 학습이 가능하도록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성취기준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ICC 평가체제는 문화 관련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이 문화를 어떻게 지도해야하는지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교사 자신도 목표 문화에 대한 이해가 그다지 높지 않고, 교과서나 교사용지도서에서도 문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아서 교실수업에서 문화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ICC평가체제가 정립되어 시행된다면 ICC와 관련된 문화교재가 체계적으로 집필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섯째, ICC 평가체제는 예비교사 및 교사 연수를 계획하고 구현할 때 문화지도와 관련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초등영어 교실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준이나 흥미를 바탕으로 ICC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예비교사의 마이크로티칭이나 교사연수에서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 및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잇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7단계의 절차로 연구를 진행한다.
    1단계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수업관찰,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초등영어 교실수업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요소가 무엇이며 반드시 요구되는 필수적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추출한다. 2단계에서는 델파이(Delphi) 방법을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이 반드시 평가해야 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세부사항들을 추출한다. 다시 말해서, 평가의 목적, 평가 받는 학습자의 변인, 평가지의 목표언어 상황, 텍스트의 유형, 평가되어야 할 문화간 의사소통의 기술, 평가되어야 할 문화간 의사소통의 요소, 문화간 의사소통 관련 과업의 종류, 문화간 의사소통 평가방법, 문화간 의사소통 평가 기준 등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평가 세부계획서를 정립한다. 델파이 1차 조사는 반드시 평가해야 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요소가 무엇인지를 열린 질문(open-ended question)으로 실시한다. 2차에서는 폐쇄형 질문으로 다시 패널들에게 문화간 의사소통의 중요도나 가능성 등에 대한 설문 결과를 보통 리커르트(likert)형 척도로 평정한다. 3차 설문에서는 패널들에게 각 질문의 통계적 집단 반응과 각 패널 본인의 2차 반응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3단계 연구에서는 1, 2단계의 연구결과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기반으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세부계획서를 개발한다.
    4단계부터는 개발된 평가 세부계획서를 기반으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검토하여 신뢰도와 타당도있는 평가문항임을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4단계 연구에서는 평가 세부계획서응 기반으로 평가 전문가 3인이 참여하여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검토위원의 평가를 거친 후 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한다. 5단계 연구에서는 개발된 평가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한다. 6단계 연구에서는 개발된 평가도구가 현장에 적합한지를 초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실시하여 평가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다. 7단계 연구에서는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를 반영한 문화간 의사소통 평가의 세부계획서 및 평가도구의 최종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해 개발한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와 평가도구는 선행연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는 우리나라 상황에 적절하지 않는 평가도구가 되기도 하고, 아울러 학습자의 수준이나 흥미를 고려하지 않고 시행되어 왔다는 한계가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체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평가체제를 구축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 및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실수업에서는 초등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
    둘째, 초등영어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체제가 구축되어 있는가?
    셋째, 초등 교실수업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가 타당도 및 신뢰도있게 개발되어 있는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로 접근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개념, 영역, 내용을 파악하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실태를 분석하며,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이슈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하여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개념, 평가의 영역 등을 파악하고, 아울러 수업 관찰, 교육과정 분석,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분석 등을 통하여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포괄적으로 수집하였다.
    2단계에서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영역을 대표하는 델파이 반구조화 및 구조화된 문항을 통한 양적 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교수, 연구원, 장학사, 교사 등)가 판단하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영역간 차이를 검증하며,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이론적 근거를 발견하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구인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개념을 정립하였다. 따라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반드시 평가해야 할 평가의 요인들을 추출한다. 델파이 조사는 교수, 연구원, 장학사, 교사 등 약 50명의 전문가 패널들을 구성하여 3차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3단계에서는 2단계(델파이 조사)의 결과를 반영한 초등영어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델파이 조사 결과에 대해 패널들 중 대학 교수들을 중심으로 구성한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협의회를 통해 제기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평가 영역을 확정하였다. 최종 결정된 평가 영역을 기반으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모형을 개발한다. 또한 개발된 모형을 기반으로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을 작성하였다.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목적에 맞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평가목표나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실제적인 여건을 고려해야 하고, 평가의 목표, 평가의 대상, 문항의 측정 목표, 문항 수, 시험시간 등이 있는 평가의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s)를 작성하고, 그 세부계획서에 적합한 평가 문항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4단계에서는 3단계의 평가 세부계획서를 바탕으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모형 기반 초등학교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도구를 개발하였다. 계획단계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목표에 맞는 문항을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 하는 출제 계획표를 작성하였다. 평가 전문가 3인이 참여하여 평가도구(초안)를 개발하고 선정하고, 검토본을 편집한 후, 검토위원이 평가 도구를 2회에 걸쳐 검토하였다. 검토된 의견을 반영하여 평가 도구를 수정하였다.
    5단계에서는 개발된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한다. 이에 따라, 개발된 평가도구를 20명의 현장 교사들이 참여하여 검토하였다. 현장교사들이 참여하여 안면 타당도(face validity) 및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를 실시하고 아울러 Cronbach α검사도 실시한다. 무엇보다도 평가 세부계획서 기반으로 한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검증의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하였다.
    6단계에서는 5단계에서 수정된 평가도구가 현장에 적합한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 4학년군 및 5, 6학년군 학습자를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분석한다. 물론 파일럿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 타당도나 Cronbachα검사를 실시하였다. 물론 평가 세부계획서를 기반으로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평가 평가를 실시한 초등학교의 교사들과 집중면담을 통해 평가문항이 현장에 적합한 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 7단계에서는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를 반영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모형 및 도구를 최종 수정하였다. 다시 말해서, 이전 단계에서 검증하였던 의견이나 결과를 반영하여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세부계획서(최종안)을 제안하며,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도구(최종안)를 제시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ssessment framework, specification, and tools for measur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ICC) of learner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In order to the purpose,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were analysed and classroom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aspect of ICC. Above all, the Delphi method was carried out to abstract the domain for developing ICC assessment tools.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the assessment goal, and assessment topic, which are the foundation of developing assessment tools to measure ICC.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s were first verified through a review process performed by 20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reliability of the tools were further verified through the results of a pilot test given to 89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problems exposed by this processes, the assessment tools were revised. Finally, through a joint assessment session with 5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a review was given on how to apply the newly development tools to real-classes. As a result, it was acknowledged that the assessment tools need to combine both the cultural factors and language skills within it, and the evaluation needs to be pursued as a performance tes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 및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실수업에서는 초등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
    둘째, 초등영어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체제가 구축되어 있는가?
    셋째, 초등 교실수업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가 타당도 및 신뢰도있게 개발되어 있는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로 접근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개념, 영역, 내용을 파악하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실태를 분석하며,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이슈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하여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개념, 평가의 영역 등을 파악하고, 아울러 수업 관찰, 교육과정 분석,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분석 등을 통하여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포괄적으로 수집하였다.
    2단계에서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영역을 대표하는 델파이 반구조화 및 구조화된 문항을 통한 양적 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교수, 연구원, 장학사, 교사 등)가 판단하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영역간 차이를 검증하며,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이론적 근거를 발견하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구인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개념을 정립하였다. 따라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반드시 평가해야 할 평가의 요인들을 추출한다. 델파이 조사는 교수, 연구원, 장학사, 교사 등 약 50명의 전문가 패널들을 구성하여 3차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3단계에서는 2단계(델파이 조사)의 결과를 반영한 초등영어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델파이 조사 결과에 대해 패널들 중 대학 교수들을 중심으로 구성한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협의회를 통해 제기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평가 영역을 확정하였다. 최종 결정된 평가 영역을 기반으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모형을 개발한다. 또한 개발된 모형을 기반으로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을 작성하였다.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목적에 맞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평가목표나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실제적인 여건을 고려해야 하고, 평가의 목표, 평가의 대상, 문항의 측정 목표, 문항 수, 시험시간 등이 있는 평가의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s)를 작성하고, 그 세부계획서에 적합한 평가 문항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4단계에서는 3단계의 평가 세부계획서를 바탕으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모형 기반 초등학교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도구를 개발하였다. 계획단계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목표에 맞는 문항을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 하는 출제 계획표를 작성하였다. 평가 전문가 3인이 참여하여 평가도구(초안)를 개발하고 선정하고, 검토본을 편집한 후, 검토위원이 평가 도구를 2회에 걸쳐 검토하였다. 검토된 의견을 반영하여 평가 도구를 수정하였다.
    5단계에서는 개발된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한다. 이에 따라, 개발된 평가도구를 20명의 현장 교사들이 참여하여 검토하였다. 현장교사들이 참여하여 안면 타당도(face validity) 및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를 실시하고 아울러 Cronbach α검사도 실시한다. 무엇보다도 평가 세부계획서 기반으로 한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검증의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하였다.
    6단계에서는 5단계에서 수정된 평가도구가 현장에 적합한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 4학년군 및 5, 6학년군 학습자를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분석한다. 물론 파일럿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 타당도나 Cronbachα검사를 실시하였다. 물론 평가 세부계획서를 기반으로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평가 평가를 실시한 초등학교의 교사들과 집중면담을 통해 평가문항이 현장에 적합한 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 7단계에서는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를 반영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모형 및 도구를 최종 수정하였다. 다시 말해서, 이전 단계에서 검증하였던 의견이나 결과를 반영하여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세부계획서(최종안)을 제안하며,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도구(최종안)를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기반 평가와 관련한 본 연구는 영어과교육과정의 평가 방법, 교수-학습 방법, 성취기준 개발, 소재 구성, 교수-학습 자료 개발, 예비교사 및 교사연수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ICC평가는 우리나라 초등교육뿐만 아니라 중등 교육과정의 평가 체제에 많은 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는 것이 교육과정의 목표이고, 아울러 학습자들이 영어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를 원하기 때문에 수업뿐만 아니라 평가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여기에 문화가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방안이 포함된다면 제대로 된 교육과정의 평가체제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평가에 따른 학습자의 ICC신장을 위해서는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 ICC기반 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이 개선되는 세환효과(washback effect)가 기대된다. 2009개정교육과정에서의 교수-학습 운영상의 유의점에 따르면, 초등학교 3, 4학년은 정의적 목표를 강조하여 찬트, 노래, 역할놀이 등을 활용하고,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학교는 정보 처리 등 인지적 요소가 강한 의사소통 활동의 비중을 늘리도록 한다. ICC평가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평가 세부계획서가 설정되어 시행됨으로써 수업시간에 구현되는 활동(activity)이나 과제(task)가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바탕으로 설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문화간 의사소통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는 성취기준(achievement standard)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외국어 학습에서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의 기능별 언어학습이 순서를 지키며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는 4기능이 학습과정에서 상호 보완적 작용을 하기 때문에 통합 학습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Hudelson, 1989, 234). 통합 학습이 가능하도록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성취기준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ICC 평가체제는 문화 관련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이 문화를 어떻게 지도해야하는지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교사 자신도 목표 문화에 대한 이해가 그다지 높지 않고, 교과서나 교사용지도서에서도 문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아서 교실수업에서 문화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ICC평가체제가 정립되어 시행된다면 ICC와 관련된 문화교재가 체계적으로 집필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섯째, ICC 평가체제는 예비교사 및 교사 연수를 계획하고 구현할 때 문화지도와 관련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해 기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초등영어 교실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준이나 흥미를 바탕으로 ICC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예비교사의 마이크로티칭이나 교사연수에서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평가 틀, 평가 세부계획서, 평가도구, 델파이 조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