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동네 놀이터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과 호주의 동네 놀이터 관찰을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study on role and meaning of local playground : with observation of local playground in Korea and Australi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9282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전가일
연구수행기관 장안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한국 동네 놀이터의 문화적 특징은 어떠하며 동네놀이터의 역할은 무엇인지 밝힌다.
    • 한국 동네 놀이터가 유아들에게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한다.
    • 호주 동네 놀이터의 문화적 특징은 어떠하며 동네놀이터의 역할은 무엇인지 밝힌다.
    • 호주 동네 놀이터가 유아들에게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한다.
    • 한국의 호주의 동네 놀이터의 문화적 차이가 무엇인지 밝히고 그 함의를 이해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는 동네 놀이터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탐색으로 통해 국내・외에서 아직까지 활발히 연구되지 않은 유아교육 기관 외에서의 바깥놀이를 살핀다는 점에서 앞으로 해당 분야의 연구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네 놀이터의 역할을 분석하고 유아들의 삶에 가지는 의미에 대해 해석함으로써 이전에 극히 드물게 수행된 관련 연구들에서 놀이터에서 나타나는 놀이 유형을 드러낸 것에서 나아가 동네 놀이터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호주의 동네 놀이터에 대한 관찰을 통해 한국의 동네 놀이터를 호주의 그것과 비교하여 탐색함으로써 국내외에서 아 직 시도한 바 없는 동네 놀이터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에 기초가 될 것이다. 더불어 실제적으로는 우리나라 놀이터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아이들에게 적합한 동네 놀이터의 환경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놀이터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는 호주의 놀이터를 비교문화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놀이터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발상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는 실천적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동네 놀이터에 나타난 유아들의 놀이현상을 참여관찰 함으로써 아직까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우리나라 동네 놀이터의 기본적인 문화적 특징을 기술하고 동네 놀이터의 역할과 그것이 유아들에게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는 동네 놀이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놀이현상을 객관적으로 계측하는 실증적 연구방법 보다는 동네 놀이터에 대한 참여관찰과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이 적절할 것이다(손영수, ; 유혜령, ; 전가일, 2013; Gadamer, 1960). 이 연구는 질적 연구의 여러 가지 하위 방법 중에서도 어떤 현상의 특징을 밝히고 그 현상을 경험하는 내부자들의 관점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네 놀이터의 문화적 특징과 역할 그리고 그것의 의미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하기위해 다른 나라의 동네놀이터를 비교하여 관찰함으로써 문화적 차이와 그 함의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영유아기 바깥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풍부하며 실제로도 다양한 모습의 동네 놀이터를 갖추고, 많은 시간을 실외에서 활동하는 것이 영유아의 일반적인 일과로 알려져 있는(Coleman & Dyment, 2013; Thomson & Philo, 2004) 호주의 동네 놀이터를 선정하여 관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 호주 동네놀이터의 특징과 역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탐구하고 이를 우리나라 동네 놀이터의 그것과 비교하여 견주고자 한다. 이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서 다양한 변이를 통해 현상의 특징을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처럼, 한국과 호주의 동네놀이터를 비교문화적으로 살핌으로써 동네 놀이터에서의 특징과 역할, 그 의미를 보다 풍부히 이해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한 동네 놀이터 관찰을 통해 아이들의 자유로운 바깥놀이의 장인 놀이터의 특징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놀이터 두 곳을 연구 현장으로 정하여 대략 8개월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관찰 자료는 van Manen(2014)이 현상의 분석 틀로 제안한 다섯 가지 실존체(시간, 관계, 공간, 신체, 사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실존체를 초점으로 분석한 놀이터의 특징은 어느 한 방향으로 정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대칭적이었다. 놀이터의 시간적 특징은 ‘반복’과 ‘차이’로, 놀이터의 관계적 특징은 ‘병렬적’이며 ‘서열적’인 것으로, 놀이터의 공간적 특징은 ‘뚜렷한 공간 구분’과 ‘경계의 애매함’으로, 놀이터의 신체적 특징은 ‘규제 받는 신체’와 ‘모험하는 신체’로, 놀이터의 물적 특징은 ‘놀이를 길들이는 놀이 기구’와 ‘쓰임새을 뒤트는 아이들’로 주제화 하였다. 이를 통해 동네 놀이터는 놀이가 아이들의 실존의 한 방식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장이며, 놀이터의 특징은 놀이터라는 대상과 아이들의 노에시스 그 사이의 상관작용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관 외에서 일어나는 아이들의 자유로운 실외놀이를 살핀 연구가 매우 드물다는 측면에서 아이들의 놀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 연구들에 기본적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ground and its meanings. Two local playgrounds were selected as study sites and observed for 8months. Data selected were analyzed under van Manen(2014)’s analysis frame, existentials of lived time, lived relationships, lived space, lived body and lived things. The analysis of playground characteristics focused on each of the existentials are not one sided but contradictorily two sided. The features of the playgrounds are thematized. Time features are thematized as ‘repetition’ and ‘difference’, relationship features as ‘paralleled’ and ‘ordered’, space features as ‘boundary distinctive’ and ‘boundary vague’, body features as ‘body under security regulation’ and ‘body under adventure’, and material features as ‘taming equipment’ and ‘children twisting its use.’
    It is understood through these 5 symmetric features that playground is place which shows play is one way for children’s existence and made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object(playground) and children’s noesis
    This study may extend understandings on children’s play and provide basic arguments in that there rarely are studies that examine children’s outdoor play outside early childhood institu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동네 놀이터에 나타난 유아들의 놀이현상을 참여관찰 함으로써 아직까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우리나라 동네 놀이터의 기본적인 문화적 특징을 기술하고 동네 놀이터의 특징과 그것이 유아들에게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 동네 놀이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놀이현상을 객관적으로 계측하는 실증적 연구방법 보다는 동네 놀이터에 대한 참여관찰과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이 적절할 것으로 보고 질적 연구의 여러 가지 하위 방법 중에서도 어떤 현상의 특징을 밝히고 그 현상을 경험하는 내부자들의 관점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네 놀이터의 문화적 특징과 역할 그리고 그것의 의미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다른 나라의 동네놀이터를 비교하여 관찰함으로써 문화적 차이와 그 함의를 살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영유아기 바깥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풍부하며 실제로도 다양한 모습의 동네 놀이터를 갖추고, 많은 시간을 실외에서 활동하는 것이 영유아의 일반적인 일과로 알려져 있는(Coleman & Dyment, 2013; Thomson & Philo, 2004) 호주의 동네 놀이터를 선정하여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호주 동네놀이터의 특징을 탐구하고 이를 우리나라 동네 놀이터의 특징과 견주어 보는 비교문화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는 한국과 호주의 동네놀이터를 비교문화적으로 살핌으로써 동네 놀이터에서의 특징과 역할, 그 의미를 보다 풍부히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위와 같은 2년 동안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들에 기여하고 관련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동네 놀이터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탐색으로 통해 국내・외에서 아직까지 활발히 연구되지 않은 유아교육 기관 외에서의 바깥놀이를 살핀다는 점에서 앞으로 해당 분야의 연구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네 놀이터의 역할을 분석하고 유아들의 삶에 가지는 의미에 대해 해석함으로써 이전에 극히 드물게 수행된 관련 연구들에서 놀이터에서 나타나는 놀이 유형을 드러낸 것에서 나아가 동네 놀이터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호주의 동네 놀이터에 대한 관찰을 통해 한국의 동네 놀이터를 호주의 그것과 비교하여 탐색함으로써 국내외에서 아직 시도한 바 없는 동네 놀이터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다. 더불어 실제적으로는 우리나라 놀이터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아이들에게 적합한 동네 놀이터의 환경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놀이터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는 호주의 놀이터를 비교문화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놀이터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발상의 계기를 마련하는 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는 우리 사회에서 동네 놀이터를 디자인 할 때 성인들 중심의 설계에서 벗어나 놀이터의 주 이용자이며 놀이의 주체인 아이들의 관점을 반영한 설계를 해야 할 필요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자는 이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아이들의 관점이 반영된 놀이터 설계가 가능한 방법을 강구 중에 있다.
  • 색인어
  • 동네 놀이터, 현상학적 연구, 유아, 비교문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