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문법화의 통시적 고찰: 태국어 방향동사를 중심으로
A diachronic study on grammaticalization: focusing on directional verbs in Thai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8901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경은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다기능 다의어가 발달한 태국어에서 다양한 양상의 문법화가 포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국에서 문법화라는 언어 현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역사는 오래지 않다. 특히 방향동사와 같은 기본어휘의 광범위한 문법화에 관한 연구는 손에 꼽을 정도이며, 통시적 언어 증거를 통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국어 기초 어휘 중 하나인 태국어 방향 동사 /paj/(‘가다’)와 /maa/(‘오다’) 의 문법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즉, 이러한 문법화가 쑤코타이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선행 문법화 이론이 제시하는 단일방향성 등의 주장에 부합하는지, 태국어라는 개별어에서 문법화의 특징적인 모습이 있는지 등을 살펴본 후, 이를 통해 향후 문법화와 언어 변화 양상을 예측해 보기로 한다. 특히 앞으로 문법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은 소수어에서의 문법화 연구에서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인지언어학과 문법화의 통시적 연구의 불모지라고 할 수 있는 태국어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언어학계 전반에 공헌하고, 향후 한국어나 다른 계통의 개별어와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언어의 보편성(Universality)이라는 화두에 관한 하나의 귀중한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하여 아직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태국어의 문법화, 특히 기본 동사의 문법화 양상과 시대적 변천사 및 문법화의 점진적 발전을 분석함으로써 태국어 연구 뿐 아니라 언어학 전반에 공헌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이 연구 결과는 태국어의 다른 여러 기본 어휘들의 의미 확장 및 문법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는 연구에로 응용 발전될 수 있고, 또한 다른 개별 언어와의 비교 분석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언어 간 비교 분석은 문법화 이론을 지지하거나 또는 이론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귀중한 언어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체험주의적 언어 연구에서 주장하는 언어 보편성과 언어 개별성을 설명하는 좋은 자료가 또한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의, 다기능어가 발달한 태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기본 어휘의 다양한 의미와 쓰임을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언어 자료 및 사전 편찬의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연구자는 문법화 양상의 통시적 고찰을 위하여 태국어의 기본 어휘인 방향동사, 그 중에서도 수평이동동사 /paj/(‘가다’)와 /maa/(‘오다’) 의 의미와 문장 안에서의 기능을 시대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태국어의 동사 /paj/ 와 /maa/ 는 매우 광범위한 의미 확장을 보여주는 다의, 다기능어이다. 특히 연구자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이 두 동사는 탈범주화라는 인지적 기제를 통해 문법적 의미가 추가되어 부가적인 문법적 기능을 갖게 되는데, 상적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표적인 문법화의 결과이다. 그러나 이렇게 /paj/ 와 /maa/가 상적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를 설명하는데 있어 선행 연구에서는 그 의미적 유사성이나 구조적 연관관계를 통해 유추하는 정도에 그쳤었다. 그러나 언어의 동기성과 자의성을 구별하는 데에 있어서 두 가지 어휘가 동일한 어원에서 나왔다는 주장을 확인하는 가장 명확한 절차는 계통적 동기성을 확인하는 것, 즉 통시적 언어 증거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는 방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통시적 고찰을 통하여 좀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자는, 태국 역사가 인정하는 최초의 왕국인 쑤코타이왕국 시대를 시작으로 아유타야~톤부리 시대, 랏따나꼬씬 시대 및 현대의 네 시기로 크게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연구자는 기초자료 분석을 통해 기본 어휘인 /paj/ 와 /maa/ 가 쑤코타이 1호 비문인 람캄행대왕 비문부터 아유타야와 랏따나꼬씬 시대의 문서, 그리고 현대어에 이르기까지 모든 언어 자료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자료의 통일성을 위해 각 시대의 문어 자료를 다양한 글에서 수집하여 /paj/ 와 /maa/ 가 나타내는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여 문법화의 진행 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문법화가 시대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현대에 들어서 어떤 복잡한 양상으로 발전하였는지, 그 문법화의 방향성은 단일방향성이라는 이론에 부합하는지 등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법화의 양상을 바탕으로 태국어의 향후 변화를 예측해 본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번 연구에서는 /paj/ 와 /maa/의 다양한 확장 의미, 특히 문법화를 통한 상적의미와 원형의미와의 계통적 동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통시적 언어 증거를 살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역사적 사료 중 대표적인 자료, 즉 쑤코타이 비문에 나타난 /paj/ 와 /maa/ 의 의미가 어떠한 양상과 분포로 나타났는지를 살펴보고 그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여 문법화의 진행 양상이 시대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 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과거에 비해 현대에 동사의 의미와 기능이 더욱 세분화되고 문법화가 더 활발해진 것을 일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직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태국어의 문법화, 특히 기본 동사의 문법화 양상과 시대적 변천사 및 문법화의 점진적 발전을 분석함으로써 태국어 연구뿐 아니라 언어학 전반에 공헌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물론, 이번 연구는 하나의 사례연구(case study)로 이번 분석 결과 만으로 문법화 양상 전반을 일반화 하기는 아직 이르며, 앞으로 더 많은 사료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비로소 일반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한 한계에도 이번 연구는 이러한 문법화의 통시적 고찰이 인지언어학에서 주장하는 문법화의 단일방향성(uni-directionality)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향후 태국어의 발전과 변화의 양상을 엿보는 흥미로운 근거가 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태국어의 다른 여러 기본 어휘들의 의미 확장 및 문법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고, 또한 다른 개별 언어와의 비교 분석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언어 간 비교 분석은 문법화 이론을 지지하거나 또는 이론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귀중한 언어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체험주의적 언어 연구에서 주장하는 언어 보편성과 언어 개별성을 설명하는 좋은 자료가 또한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다의, 다기능어가 발달한 태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기본 어휘의 다양한 의미와 쓰임을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언어 자료 및 사전 편찬의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In this research, I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some basic Thai directional verbs,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horizontal motional verbs, /paj/(‘go’) and /maa/(‘come’), and their functions in sentence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by examining historical sources for diachronic consideration of the aspects of grammaticalization. Thai verbs /paj/ and /maa/ are words with multiple meanings and functions that have a very broad meaning extension. As discussed in one of my previous studies, these two verbs have attained additional grammatical functions because they gained additional meanings through cognitive mechanisms such as decategoricalization. One of the typical examples of this grammaticalization is that they are used as auxiliary verbs with an aspectual meaning. In my previous studies, my research was limited to making an inference based on semantic similarities or the structural relatedness of /paj/ and /maa/ in explaining why there are situations where they have aspectual meaning. However, in distinguishing motivation from arbitrariness, one of the most definitive ways to verify the assertion that various meanings of words are derived from the same origin would be to verify systematic motivation; in other words, to analyze and explain based on diachronic language evidence. There upon I examined some of the representative historic sources that are available and examinable such as the inscriptions from the Sukhothai era(the very first kingdom recognized in Thai history). I analyzed the polysemic structure, meaning and functions of /paj/ and /maa/ as they appeared in those docum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grammaticalization in the respective period.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verbs have become more subdivided and the grammaticalization has become more active in modern times than it was in the past. This diachronic consideration can provide a good example for the uni-directionality of grammatization that is claimed in Cognitive Linguistics and can also be an interesting basis for future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Thai langu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다기능 다의어가 발달한 태국어에서 다양한 양상의 문법화가 포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국에서 문법화라는 언어 현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역사는 오래지 않다. 특히 방향동사와 같은 기본어휘의 광범위한 문법화에 관한 연구는 손에 꼽을 정도이며, 통시적 언어 증거를 통한 인지언어학적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국어 기초 어휘 중 하나인 태국어 방향 동사 /paj/(‘가다’)와 /maa/(‘오다’) 의 문법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였다. 즉, 이러한 문법화가 쑤코타이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선행 문법화 이론이 제시하는 단일방향성 등의 주장에 부합하는지, 태국어라는 개별어에서 문법화의 특징적인 모습이 있는지 등을 살펴본 후, 이를 통해 향후 문법화와 언어 변화 양상을 예측해 보려 하였다. 특히 앞으로 문법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은 소수어에서의 문법화 연구에서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인지언어학과 문법화의 통시적 연구의 불모지라고 할 수 있는 태국어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언어학계 전반에 공헌하고, 향후 한국어나 다른 계통의 개별어와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언어의 보편성(Universality)이라는 화두에 관한 하나의 귀중한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직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태국어의 문법화, 특히 기본 동사의 문법화 양상과 시대적 변천사 및 문법화의 점진적 발전을 분석함으로써 태국어 연구 뿐 아니라 언어학 전반에 공헌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번 연구에서는 /paj/ 와 /maa/의 다양한 확장 의미, 특히 문법화를 통한 상적의미와 원형의미와의 계통적 동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통시적 언어 증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역사적 사료 중 대표적인 자료, 즉 쑤코타이 비문과 아유타야 기록에 나타난 /paj/ 와 /maa/ 의 의미가 어떠한 양상과 분포로 나타났는지를 살펴보고 그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여 문법화의 진행 양상이 시대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 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자의 기본 가정에 부합하는 연구 결과, 즉 과거에 비해 현대에 동사의 의미와 기능이 더욱 세분화되고 문법화가 더 활발해진 것을 일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쑤코타이 비문 자료 분석 결과 대부분의 비문에서 구체적 및 추상적 이동의 의미만이 포착되고 주관화와 문법화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로운 연구 가능성을 남긴다. 아유타야 시대 사료와의 비교 결과 역시 마찬가지로, 아유타야 시대 사료의 경우 구체 및 추상적 이동의 의미 뿐 아니라 주관화와 문법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와 기능으로 모두 사용된 점은 쑤코타이 시대와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기에 대단히 흥미로운 점이다.
    물론, 이번 연구는 하나의 사례연구(case study)로 이번 분석 결과만으로 문법화 양상 전반을 일반화 하기는 아직 이르며, 앞으로 더 많은 사료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비로소 일반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태국어 자료의 제약과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충분한 사료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아 향후 더 다양한 분야의 사료를 보충하여 일반화를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제한된 언어 자료를 통한 분석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번 문법화의 통시적 고찰은 인지언어학에서 주장하는 문법화의 단일방향성(uni-directionality)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향후 태국어의 발전과 변화의 양상을 엿보는 흥미로운 근거가 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태국어의 다른 여러 기본 어휘들의 의미 확장 및 문법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고, 또한 다른 개별 언어와의 비교 분석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언어 간 비교 분석은 문법화 이론을 지지하거나 또는 이론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귀중한 언어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나아가 체험주의적 언어 연구에서 주장하는 언어 보편성과 언어 개별성을 설명하는 좋은 자료가 또한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다의, 다기능어가 발달한 태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기본 어휘의 다양한 의미와 쓰임을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언어 자료 및 사전 편찬의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태국어, 방향동사, 문법화, 통시적 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