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陰陽二元章法으로 고찰한 중국 唐宋散文의 氣勢 類型과 《周易》八卦와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mentum Pattern of the Tang-Song Prose Considered Through "Yin-Yang Zhangfa" and the Eight Trigrams of the Book of Chang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9646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고광민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국내의 중국 古典 散文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우선, 전통적인 ‘知人論世’의 관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사상, 학술, 문학이론, 주제 등 내용 중심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형식적인 면에서는 文體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 양상은 커다란 변화없이 지속되어 오면서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한편, 내용과 형식이 분리된 연구들이 많아 거시적으로 兩者를 아우르는 연구가 필요하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章法學이라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章法學은 문장의 구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작품을 분석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갖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적인 체계도 수립하고 있다. 현재 대만과 중국 등 국외 학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의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章法學이라는 연구방법을 국내에 소개하는 동시에, 古典 散文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장법학에 대한 객관적인 검토를 시도하고자 한다. 章法學은 약 30년전부터 대만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장법 이론의 수립’과 ‘장법 분석 방법 수립’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章法學 연구는 역사가 짧아 아직 연구되지 않은 영역이 많고, 이미 수립된 이론 역시 점검과 검증을 통한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章法學 연구방법을 점증하고 재정립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며, 국외의 연구방법을 국내 상황에 맞게 변용하는 시도로 삼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는 章法學을 활용하여 중국 唐宋 散文의 氣勢를 類型化하고, 이것과 《周易》八卦와의 연관성을 검토하는 것이 중심 내용이다. 작가의 내적인 특징은 외적인 형식(文辭의 선택, 修辭 技巧, 構圖의 配置)으로 드러나게 된다. 그렇다면 거꾸로 외적인 형식을 보고 내적인 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散文의 외형적 요소인 산문 구도를 통해 작가의 氣勢를 파악하려고 한다. 氣勢를 장법으로 분석하고, 이를 《周易》八卦의 분류 방법으로 구분하여 각 氣勢의 특징을 命名하려 한다. 이러한 연구는 有形의 외적 요소를 통해 無形의 내적 특징을 밝히는 것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음 몇가지 항목의 기대효과를 거둘 수 있다. 우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古典 散文 연구를 진작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章法學은 국내에서는 내용과 형식을 아우르는 특징이 있어 기존 연구 방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章法學에서 갖추고 있는 다양한 분석 방법은 古典 散文 분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작품의 전체적인 구도와 작가의 의도적인 안배를 고찰하는데 容易하게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章法學은 중국 古典 散文 뿐만 아니라 詩, 詞, 散文, 小說은 물론 영화, 드라마의 구도 연구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중국어 作文 敎育과 예술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古典 散文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서의 장법학 활용 가능성을 가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장법학 연구 방법의 점검과 보완이다. 장법학은 작품 분석 방법과 이론적인 체계, 그리고 응용과 적용 방법 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의 틀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이론, 구도, 응용의 제방면에 있어서 객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장법학자들이 章法의 陰陽比率을 數値化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周易》의 八卦 특징을 통한 氣勢 구분을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의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장법학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법학의 수정과 보완이 가능하리라고 예상한다.
    세째, 본 연구는 문학 주장과 실제의 연관성을 검토하는 실례를 제공함으로써 連繫 연구를 이끌어 낼 것이다. 한유는 “氣勢가 盛하면, 언어의 길고 짧음과 소리의 높고 낮음이 모두 마땅하게 된다(氣盛, 則言之短長與聲之高下者皆宜)<答李翊書>”라고 주장한 바 있다. 즉, 氣勢와 언어 형식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실제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않아, 주장의 타당성과 정확성을 가늠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氣勢라고 하는 無形의 요소를 章法學의 방법론을 근거로 有形의 구도로 類型化하고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으로, 문학 주장과 실제의 관계성을 규명한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가 가능해진다면, 문학 이론과 실제의 연관성을 밝히는 다양한 連繫 연구가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哲學과 古典 散文의 융합적인 연구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필자는 八卦의 陰陽爻 숫자와 방향성을 근거로 八卦의 분류방법으로 散文 氣勢를 분류하고자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周易》원리를 문학의 영역에서 규명하는 것으로 철학과 문학간의 소통과 융합적 연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唐宋散文의 氣勢를 章法學으로 분석하고 이를 《周易》八卦의 類型으로 분류한다. 둘째, 여덟 가지로 분류된 氣勢 類型과 八卦 상징과의 연관성을 검토한다. 이는 중국 唐宋 散文의 氣勢와 《周易》八卦의 연관성을 형식적인 측면(방향, 세기의 연관성)과 내용적인 측면(八卦의 상징과의 연관성)으로 나누어 고찰하는 것이다.
    2. 연구 내용
    1) 章法의 陰陽二元構圖 재점검
    章法學에서는 내용의 연관성을 「正反」,「因果」,「賓主」등 40여개의 장법구도로 분석하였는데, 이때 장법구도는 각각 陰과 陽의 對待 형식인 陰陽二元的 성격을 갖고 있다. 하지만 陰陽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 있으면 장법이 서로 중복되는 양상도 보여 42개의 장법구도에 관한 점검과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장법은 正反, 抑揚처럼 兩者가 대립되는 對立章法과 凡目, 賓主처럼 서로 調和를 이루는 調和章法으로 나뉘며 今昔, 大小, 高低 등은 中性章法으로 분류하였다. 이 역시 내용에 따라 對立과 調和의 장법으로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陰陽二元構圖의 歸屬, 性格 등의 재점검할 것이다.
    2) 陰陽二元章法으로 氣勢 형성 요인 연구
    王安石의 <讀孟嘗君傳>은 抑揚 장법으로 분석되는데, 揚에 다시 因果가 포함되어 있는 揚(因-果)의 형태이며, 抑에 虛實虛가 포함된 抑(虛-實-虛)의 형태를 띈다. 이를 陰陽으로 置換하여 전체구도를 나타내면 陰(陰-陽), 陽(陰-陽-陰)의 형태가 된다. 이것을 보면 陰陽의 ‘크기’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문장의 氣勢를 파악하는 핵심은 陰陽의 이동 ‘방향’과 陰陽 비율의 ‘크기’이므로, 각 항목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氣勢의 형성 요인을 고찰한다. 우선 ‘방향’을 근거로 하여, ‘단방향’일 경우 ‘陰→陽’이나 ‘陽→陰’으로 구분하고, ‘굴곡 방향’인 경우 ‘陰→陽→陰’이나 ‘陽→陰→陽’ 혹은 이것의 중복 형태인 ‘陰→陽→陰→陽’, ‘陽→陰→陽→陰’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은 陰陽의 ‘크기’로 氣勢 형성 요인을 고찰한다. 전체적으로 陰陽二元章法의 陽의 數와 陰의 數가 ‘陰>陽’ 이나 혹은 ‘陰<陽’처럼 크기가 대등하지 않을 때, 이것이 氣勢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 경우의 數와 형성 요인을 고찰한다. 이와 章法이 몇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가와 그것이 氣勢에 어떠한 요소로 작용하는지도 고찰한다.
    3) 氣勢 類型과 《周易》八卦와의 외형적 연관성 고찰
    八卦의 小成卦 3爻는 아래에서부터 下爻, 中爻, 上爻로 구성되어 있어 ‘방향성’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陰과 陽의 조합 ‘크기’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坎은 陰-陽-陰의 방향성을 나타내고, 陰2와 陽1의 크기도 나타낸다. 이것을 근거로 하면 八卦는 각각의 類型을 함유하게 되는데, 이 八卦와 散文의 氣勢 類型과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八卦의 유형으로 散文의 氣勢 類型을 수립할 수 있는지 고찰한다.
    4) 唐宋 산문 氣勢 類型과 《周易》八卦 象徵과의 연관성 연구
    먼저, 대표적인 당송 산문을 분석하여 8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고찰한다. 아울러, 八卦의 象徵과 각 類型별 특징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八卦는 각각의 상징이 있다. 예를 들어 巽卦는 바람(風)을 상징하고, 진입과 활동의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특징과 巽卦 유형에 분류된 산문들 사이에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제목은 ‘陰陽二元章法으로 고찰한 중국 唐宋散文의 氣勢 類型과 《周易》八卦와의 연관성 연구(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mentum Pattern of the Tang-Song Prose Considered Through "Yin-Yang Zhangfa" and the Eight Trigrams of the Book of Changes)’다. 章法學은 문장의 구도를 正反法, 因果法 등 40여 개의 구도로 분석하는 학문이며, 正과 反, 因과 果처럼 각각의 장법이 모두 陰陽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陰陽二元章法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章法學의 분석방법으로 中國唐宋散文의 구도를 분석하여 이것을 八卦의 여덟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이를 위해 우선 약 40여 종의 章法類型을 각각 陰과 陽의 두 요소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章法을 구성하고 있는 장법의 진행 ‘방향’과 장법 기세의 ‘세기’를 근거로 40 여 개의 장법을 對立章法, 調和章法, 中性章法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因果法의 경우에 먼저 원인(因)을 제기하고 나중에 결과(果)를 설명했다면 이것은 陰에서 陽으로 발전하므로 이를 장법 방향의 順으로 정하고, 이와 반대되는 경우를 逆으로 설정하였다. 이제 이를 근거로 八卦의 세 개의 爻와 이해 해당하는 장법요소를 결합하였다. 우선 산문의 주제가 명확하게 드러나면(明) 이를 陽으로 인식하고 명확하지 않게 넌지시 드러내면(隱) 이를 陰으로 인식했다. 따라서 八卦 제 3爻의 陰陽은 주제의 明과 隱으로 파악했다. 다음, 제 2효는 對立章法(陽)과 調和章法(陰)의 활용 여부를 통해 陰陽을 확정했다. 즉, 對立章法을 사용했으면 陽, 調和章法을 사용했으면 陰으로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제 1효는 장법 방향이 順(陰→陽)이면 陰, 장법방향이 逆(陽→陰)이면 陽으로 인식했다. 이렇게 八卦의 세 爻와 장법성분을 내용을 결합하였고,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唐宋散文의 대표적인 작품을 八卦성분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그 작품의 기세에 대한 역대 평론가들의 평론과 八卦의 각 유형의 상징성의 일치 여부를 검토한 결과 상당 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영문
  • The title of this research i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mentum Pattern of the Tang-Song Prose Considered Through "Yin-Yang Zhangfa" and the Eight Trigrams of the Book of Changes". The study of "Zhangfa"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exts on the basis of more than 40 patterns of organization, such as the "pro-con" pattern and the "cause-effect" pattern. As suggested by the terms "pro" and "con", "cause" and "effect", the structure of every piece of writing is a "Yin-Yang duality structure”, which is made up of "Yin" and "Yang". To achieve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which is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the Tang-Song prose within the framework of "Zhangfa" analysis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lassifying the structures of the Tang-Song prose according to the eight trigrams, this study categorized about more than 40 text structures based on the two principles "Yin" and "Yang", and divided these structures into "opposite structure", "harmonious structure" and "neutr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xt moves and the intensity of textual momentum. In the case of the "cause-effect" pattern, one in which the cause occurs before the effect follows the direction from "Yin" to "Yang" and is regarded as "Shun"(successive), whereas the opposite one is regarded as "Ni" (invers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associated the three lines which yield the eight trigrams with the corresponding structures of texts. First, a piece of prose which expresses the theme explicitly is regarded as "Yang", while one which expresses the theme implicitly is regarded as "Yin". Therefore, how the theme is expressed, explicitly or implicitly, is associated with the "Yin-Yang" nature of the third line of the eight trigrams. Second, the "Yin-Yang" nature of the second line of the eight trigram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employment of the opposite structure ("Yang") or the harmonious structure ("Yin"). In other words, adopting an opposite structure is regarded as "Yang" and a harmonious structure as "Yin". Finally, as for the first line of the eight trigrams, the "Shun" (successive) direction (from "Yin" to "Yang") is regarded as "Yin", and the "Ni" (inverse) direction (from "Yang" to "Yin") is regarded as "Yang". In this way, this study associated the three lines of the eight trigrams with the elemental parts of a composition. To prove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lassified the representative Tang-Song prose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ight trigrams.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reviews on the textual momentum of these works by former critics are largely in agreement with the symbolic implication of each of the eight trigra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제목은 ‘陰陽二元章法으로 고찰한 중국 唐宋散文의 氣勢 類型과 《周易》八卦와의 연관성 연구(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mentum Pattern of the Tang-Song Prose Considered Through "Yin-Yang Zhangfa" and the Eight Trigrams of the Book of Changes)’로 그 주된 내용은 中國 唐宋 散文의 氣勢를 《周易》이 八卦의 여덟가지 형상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약 40여 종의 章法類型을 陰과 陽의 두 요소로 분류하였고, 모든 장법을 對立章法, 調和章法, 中性章法의 세 가지로 분류함에 있어서 그 근거를 ‘방향’과 ‘세기’가 있음을 도출했으며 장법 방향의 逆과 順이 기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정하였다. 그 다음 八卦는 세 개의 爻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爻와 장법 성분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제3효는 산문 주제를 드러내는 방식의 明(陽)과 隱(陰)으로 인식했고, 제 2효는 대립장법(陽)과 조화장법(陰)의 활용 여부를 통해 陰陽을 확정했다. 마지막으로 제 1효는 장법방향의 順(陰→陽)을 陰으로 인식하고, 장법방향의 逆(陽→陰)을 陽으로 인식했다. 이렇게 八卦의 세 爻를 장법을 구성하는 세가지 요소를 근거로 陰陽을 평가한 후, 대표적인 작품의 八卦형상을 도출하고 이것이 역대 평론가들의 평론과 부합하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상당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관 연구를 통해 활용할 계획이다. 우선, 앞서 언급했듯이, 문장의 章法분석을 통해 八卦 중 동일한 卦로 분류된 문장들을 수집하고, 이들 문장에 대한 評論家들의 평가를 정리하여 이것이 八卦의 형상과 부합하는지 보다 구체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評論家들의 평가는 주제, 소재, 수사기교, 章法 등 다양 시각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章法에 관련된 것만을 도출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비록 그렇지만 그들의 평가에는 분명 문장 전체적인 구도에 대한 시각이 존재하므로 章法에 국한된 내용을 선별할 수 있다. 이렇게 唐宋散文을 八卦의 여덟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評論家들의 평론과의 일치성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八卦의 여덟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문인이 주로 사용한 유형은 무엇인지, 혹은 문체별(論辯流, 贈序流, 傳狀流 등)로 주로 어떤 유형을 사용했는지 작가별, 문체별 연구로 연계하여 연구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근거로, 각 작가가 주로 사용한 章法 기세 유형과 후대에 어떠한 형식으로 계승 발전했는지를 고찰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철학과 문학의 융합적인 성격의 연구로 향후 유사한 융합적 연구의 가능성 제시하여 유사한 연계 연구가 가능하다. 본 연구가 고전 산문의 章法 기세와 八卦의 연관성 연구가 주된 내용인데, 이는 철학과 문학의 융합적인 연구의 특징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주역》은 철학분야에서 연구되었으며 문학의 연구방법론으로 연구된 사례는 매우 적다. 비록 몇 명의 章法學자들이 《주역》이나《노자》의 철학적인 사유를 章法學에 접목시키려고 하였으나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를 근거로 향후 《주역》의 五行, 64掛 등과 고전 산문의 연관성 등이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 색인어
  • 章法學, 中國唐宋散文, 氣勢, 周易, 八卦,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