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프랑스어 대칭적 이항속담의 통사⋅의미구조적 특성
Les caractères de la structure syntactico-sémantique des proverbes français binaires symétriqu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0711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강성영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금까지 프랑스어 속담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는 대체로 속담 전체의미의 구성원리, 기호학적 지칭성, 논증기능, 상업기능을 포함한 화용기능에 초점을 맞춘 의미⋅화용적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연구대상으로서 속담의 통사구조와 속담 요소들 간의 내적 의미관계 및 구조는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본 연구는 거시적으로는 지금까지 등한시되어온 속담의 통사⋅의미구조 연구의 관점을 표방하고자 한다.
    프랑스어 속담 중에서 대칭적 이항속담은 그 문체적, 심미적 기능으로 말미암아 대표적 속담유형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이 속담이 차지하는 비중과 언어학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대칭적 이항속담이 갖는 고유의 통사⋅의미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대체로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는 대칭적 이항속담의 통사적 결합구조, 어휘쌍의 내적 의미관계와 속담 전체의 의미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속담의 미시적 통사⋅의미 연구의 길을 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본 연구는 대칭적 이항속담의 통사적 결합구조 유형, 대칭 어휘쌍의 대조적 의미관계와 동일어 반복관계 양상, 속담 전체의 의미구조 유형을 실증적, 해석적,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속담의 통사⋅의미적 연구의 새로운 분야 개척을 주도할 수 있다.
    (2) 연구 결과는 유사한 범주인 비대칭적 이항속담, 무동사 속담, 불완전문 속담 등의 언어학적 연구에 분석 방법론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다.
    (3) 국어학계에서도 이와 유사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어 이항속담 연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4) 연구 결과는 다른 언어권의 대칭적 이항속담 연구에도 적용하여 우리 분석 작업의 언어학적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해볼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속담의 통사⋅의미구조 연구의 틀에서 대칭적 이항속담의 통사적 결합구조 유형, 어휘쌍의 내적 의미관계 양상와 그 관계적 특성, 반복 어휘쌍의 반복관계, 전체 의미구조 유형 및 그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먼저, 대칭적 이항속담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정의에 따라 대칭적 이항속담들의 통사적 결합구조를 유형별로 분류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속담의 이항구조를 밝히고 대칭성에 대한 이질적 견해들을 수렴하여 그 개념을 재정립하며, 이에 근거하여 대칭적 이항속담을 정의할 것이다. 그런 후 대칭적 이항속담의 구조적 특징을 반영하는 통사적 결합구조 유형 – 절,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양화구, 분사구, 전치사구 등 - 을 분류하고 유형별 분포율도 비교 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 대칭 어휘쌍의 대칭구조가 완전 대칭구조와 불완전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바, 어느 구조에서든지 어휘쌍이 대조관계를 이룰 때 관련 어휘쌍은 대체로 동일 어휘장에 속하거나 의미적 공통분모를 갖는 어휘들로 구성되는데 이 때 어휘들 간에 형성되는 의미관계 양상 – 대립관계, 은유관계, 환유관계, 점증적 관계, 인과관계, 문화적 관계, 단순 연상관계 등 - 을 분류하고 각 양상별로 어휘들 간의 관계적 특성도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관계양상별 분포율도 비교할 것이다. 또한, 불완전 대칭구조에 있어 동일한 어휘가 반복되는 쌍을 이룰 때 반복의 위치에 따른 동일어 반복관계의 양상 – 어두반복, 어말반복, 어중반복, 교차반복 등 - 도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칭적 이항속담의 전체 의미구조 유형 – 조건구조, 인과구조, 비유구조, 등위구조, 역설구조 등 - 을 구분하고 이항간 의미관계의 특성을 밝히며 각 유형별 분포율도 비교하고자 한다. 아울러 속담 의미구조를 이항적 추론구조로 획일화하여 설명하려는 주장에 대해 반론할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대칭적 이항속담 자료체를 충분히 수집하여 속담 어휘쌍의 통사⋅의미구조와 내적 의미관계를 실증적으로 분류하고 그 언어학적 특성을 해석적으로 분석할 것이며, 각 유형별 분포율은 통계적으로 비교 정리할 것이다. 국내 외 속담 연구자들과 면담 및 서면 토의를 수시로 수행하고 조언을 반영하여 연구의 완성도를 높일 것이다. 또한, 연구 과정 중 대학원 세미나를 개최하여 분석 작업에 대한 정확성과 타당성을 점검하고 수정해갈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속담의 통사⋅의미구조 연구의 틀에서 대칭적 이항속담의 통사적 결합구조 유형, 어휘쌍의 내적 의미관계 양상와 그 관계적 특성, 반복 어휘쌍의 반복관계, 전체 의미구조 유형 및 그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먼저, 대칭적 이항속담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정의에 따라 대칭적 이항속담들의 통사적 결합구조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속담의 이항구조를 밝히고 대칭성에 대한 이질적 견해들을 수렴하여 그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그런 후 대칭적 이항속담의 구조적 특징을 반영하는 통사적 결합구조 유형 – 절,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양화구, 분사구, 전치사구 등 - 을 분류하고 각각의 관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대칭 어휘쌍의 대칭구조가 완전 대칭구조와 불완전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바, 어느 구조에서든지 어휘쌍이 대조관계를 이룰 때 관련 어휘쌍은 대체로 동일 어휘장에 속하거나 의미적 공통분모를 갖는 어휘들로 구성되는데, 이 때 어휘들 간에 형성되는 의미관계 양상 – 대립관계, 은유관계, 환유관계, 점증적 관계, 인과관계, 문화적 관계, 단순 연상관계 등 - 을 분류하고 각 양상별로 어휘들 간의 의미적 특성도 분석하였다. 또한, 불완전 대칭구조에 있어 동일한 어휘가 반복되는 쌍을 이룰 때 반복의 위치에 따른 동일어 반복관계의 양상 – 어두반복, 어말반복, 어중반복, 교차반복 등 - 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칭적 이항속담의 전체 의미구조 유형 – 조건구조, 인과구조, 비유구조, 등위구조, 역설구조 등 - 을 구분하고 이항간 의미관계의 특성을 밝혀보았다. 아울러 속담 의미구조를 이항적 추론구조로 획일화하여 설명하려는 주장에 대해 반론을 전개하였다.
    대칭적 이항속담은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힌 고유의 통사⦁의미적 특성들로 말미암아 간결함, 응축성, 운율성, 생동감, 쾌미감 등의 수사적 표현력과 화용적 논증력이 강화되고 활성화하는 대표적 속담 유형의 하나라 할 수 있다.
  • 영문
  • We tried in this work classifying the combinatorial syntactic types of symmetric binary structure of the French proverbs on the basis of the definition of these proverbs, analyzing several semantic internal relations of the symmetric words in contrast, as well as the repetitive aspects of the identical words, and finally distinguishing those semantic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the global structure.
    At first, we defined the ‘symmetric binary proverb’ by integrating the parallelism and the chiasmus into the ‘symmetry’, thereby extracting four binary structures.
    Secondly, we classified the types of combinatorial syntactic structure, that is ‘clause + clause’, ‘noun phrase + noun phrase’, ‘adjective phrase + adjective phrase’, ‘adverbial phrase + adverbial phrase’, ‘quantifier phrase + quantifier phrase’, ‘participial phrase + participial phrase’, ‘prepositional phrase + prepositional phrase’, the most frequent being the second type.
    In the third place, we distinguished, as internal semantic relations of the symmetric words in contrast, the relation of opposition, the relation of metaphor, the relation of metonymy, the relation of growth, the relation of causality, the relation of culture, the relation of association, and describe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se relations.
    We then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se proverbs, four repetitive aspects of the identical words : anaphora, epistrophe, repetition in the middle, chiasmus, the anaphora being the most frequent.
    Lastly, we distinguished the global semantic structures and clarified their semantic characteristics: conditional structure, causal structure, comparative structure, coordinate structure and paradoxical structure.
    We can conclude that all these syntactico-semantic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activate the rhetoric liveliness, the esthetic feeling of these proverbs, to increase their argumentative functions and finally to strengthen their persuasive and didactic valu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하여 프랑스어 대칭적 이항속담의 개념 정립과 함께 그 통사적 결합구조의 유형들을 분류하고, 대칭 어휘쌍의 어휘들이 갖는 내적 관계로서 대조적 의미관계와 동일어 반복관계의 양상들을 분석하였다.
    대조적 의미관계의 경우 대칭 어휘들 간의 다양한 내적 의미관계, 즉 대립관계, 은유관계, 환유관계, 점층적 관계, 인과관계, 문화적 관계, 단순 연상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이 내적 관계들을 통하여 속담의 총칭성과 보편성이 강화되며 문체적 심미감과 유희성도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동일어 반복에 의한 반복쌍의 구성 관계로 어두 반복, 어말 반복, 어중 반복, 교차 반복을 분석하였고 이 관계들 역시 속담의 수사적 표현력과 논증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러한 내적 관계들을 바탕으로 구축된 속담 전체의 의미구조 유형, 즉 조건 구조, 인과 구조, 비유 구조, 등위 구조, 역설 구조를 분석하였는데, 이 다양한 구조들은 속담의 보편적 의미 구성을 활성화함으로써 속담의 논증기능과 화용기능을 강화한다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가 분석한 작업이 대칭적 이항속담의 통사⦁의미적 유형과 특성을 모두 보여준다고 할 수 없으며, 향후 보다 광범위한 자료체를 대상으로 세밀한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비대칭적 이항속담에 확대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서 본 연구와 연계하여 축약형 불완전문의 구조적 특성과 내적 요소들 간의 통사⦁의미적 관계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칭적 이항속담은 고유의 통사⦁의미적 특성으로 말미암아 속담의 생명인 간결함, 응축성, 운율성, 생동감, 쾌미감 등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대표적인 속담 유형의 하나라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결과는 유사한 범주인 비대칭적 이항속담, 무동사 속담, 불완전문 속담 등의 분석 및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2) 국어학계에서도 이와 유사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어 이항속담 연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3) 연구 결과는 다른 언어권의 대칭적 이항속담 연구에도 적용하여 우리 분석 작업의 언어학적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4) 이항속담의 통사⋅의미적 연구와 관련한 대학원 세미나를 개최하여 속담 연구에 대한 학생들의 연구의욕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 색인어
  • 대칭적 이항속담, 이항구조, 대칭성, 통사적 결합구조, 완전 대칭구조, 불완전 대칭구조, 대립관계, 은유관계, 환유관계, 점증적 관계, 인과관계, 문화적 관계, 연상관계, 반복 어휘쌍, 조건구조, 인과구조, 비유구조, 등위구조, 역설구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