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왜 우리는 SNS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가? -더 얻기 위해서 아니면 더 이상 잃지 않기 위해서인가?-
Why we continue to use in SNS(Social Network Services), More gain or Loss aversion(Less los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4933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권순재
연구수행기관 대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오늘날 한국인은 5명 중 1명이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SNS를 사용하는 시간이 영상·음성통화나 문자를 쓰는 시간보다 긴 것으로 분석된다. 왜 사용자들은 SNS 서비스를 이처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가?
    SNS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것(정보, 재미, 교유관계 등)을 얻기 위해서인가?
    아니면, SNS를 사용하여 그동안 얻은 것을 더 이상 잃지 않기(위험회피)를 위해서인가? 본 연구는 이처럼 사용자들이 SNS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추구양식에 근본적인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한다.
    ❍ 기존의 정보시스템(SNS), 행동경제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사용자(인간)의 행동추구양식의 개념을 분석하여 그 연관성을 파악한다.
    ❍ 사용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SNS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각 상황별로 인식하는 행동추구양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한다.
    ❍ SNS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느끼는 이득과 위험회피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추구양식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 학문적인 기대효과
    - SNS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행동추구양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사용자들이 SNS를 사용하는 행위에 대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 그동안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이루어졌던 지속적 이용과 관련한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인간행동학(praxeology)과 사용자의 위험회피의 행동추구양식을 고찰하고, 이는 향후 정보시스템 분야의 다른 연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심리학, 행동경제학 등에서 사용된 위험회피의 개념을 정보시스템에 소개함으로써 이에 대한 학문적인 기대효과가 있다.
    ❍ 연구인력 양성효과
    - 사회적으로는 사용자들이 SNS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추구양식이 중요해서 이를 관리하고 전문적으로 대응하는 기능 및 조직을 한층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 이미 우리가 경험하는 다양한 SNS는 그 기반이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SNS의 행동추구양식 분석은 그 가치가 높아지면서 아를 분석할 전문적인 인력의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요약
  • ❍ 연구목적
    - 기존의 정보시스템분야(SNS과련 연구포함)와, 행동경제학 및 인간행동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사용자(인간)의 행동추구양식의 개념을 분석
    - 사용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SNS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각 상황별로 인식하는 행동추구양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한다.
    - 또한, SNS 사용자들이 느끼는 이득과 위험회피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추구양식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내용
    - 먼저, 기존문헌연구를 통하여 MIS분야에서 지속적인 사용에 대한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행동경제학에서 연구되는 사용자의 행동양식을 고찰한다.
    - 행동경제학과 인간행동학(praxeology)에서 사용자의 행동과 정보시스템분야에서 사용자들이 SNS를 사용하는 행동을 비교 분석한다.
    -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고 각 상황별로 실험을 실시하여 SNS를 사용하는 행동추구양식을 실증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 SNS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때 다양한 환경이란 SNS를 이용하여 더 많은 것을 얻는 경우, 보상을 받지 않고 SNS를 사용하지 않아서 잃게 되는 경우, 보상을 받아서 SNS를 사용하지 않아서 잃게 되는 경우 등의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어떤 행동추구양식을 보이는지를 실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오늘날 한국인은 5명 중 1명이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SNS를 사용하는 시간이 영상·음성통화나 문자를 쓰는 시간보다 긴 것으로 분석된다. 왜 사용자들은 SNS 서비스를 이처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가? SNS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것(정보, 재미, 교유관계 등)을 얻기 위해서인가? 아니면, SNS를 사용하여 그동안 얻은 것을 더 이상 잃지 않기(위험회피)를 위해서인가? 본 연구는 이처럼 사용자들이 SNS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추구양식에 근본적인 물음에 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하고 이러한 명제를 증명하는 방법을 통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다.
    첫째, 기존의 정보시스템(SNS), 행동경제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사용자(인간)의 행동추구양식의 개념을 분석하여 그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사용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SNS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각 상황별로 인식하는 행동추구양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SNS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느끼는 이득과 위험회피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추구양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영문
  • SNS has been deeply integrated into users’life and provides a wide range of functions.

    Happiness is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life, the whole aim and end of human existence. It is acceptable to view action as human's striving for happiness. In praxeology, happiness or satisfaction, is a purely formal term, defined entirely by the subjective goals of the individual actor. Mises' starting point is the definition of action as “conscious or purposeful behavior.

    Every action is a choice, where the actor selects one alternative that he prefers to another. Purposeful behavior has the power to remove or at least to alleviate the felt uneasiness. In order to take an action, people must merely believe that a particular choice would possibly alleviate the uneasiness. Every action what people do is to pursue happiness and eliminate discomfort. The behavior of using SNS is rational and purposeful action, SNS users use SNS to obtain the sense of pleasure and reach their personal goals. Because SNS users have a sense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through achieving their own goals, and then lead to the continuance usage of S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오늘날 한국인은 5명 중 1명이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SNS를 사용하는 시간이 영상·음성통화나 문자를 쓰는 시간보다 긴 것으로 분석된다. 왜 사용자들은 SNS 서비스를 이처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가? SNS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것(정보, 재미, 교유관계 등)을 얻기 위해서인가? 아니면, SNS를 사용하여 그동안 얻은 것을 더 이상 잃지 않기(위험회피)를 위해서인가? 본 연구는 이처럼 사용자들이 SNS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추구양식에 근본적인 물음에 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하고 이러한 명제를 증명하는 방법을 통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다.
    첫째, 기존의 정보시스템(SNS), 행동경제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사용자(인간)의 행동추구양식의 개념을 분석하여 그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사용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SNS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각 상황별로 인식하는 행동추구양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현재 등재학술지에 한편을 게재하였으며, 해외 학회에서 한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석사과정한명을 배출하였다.
  • 색인어
  • 행동경제학,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속사용, 진화심리학, 재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