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방정부의 협력적 거버넌스 메카니즘과 협력의 종결원인 탐색
Exploration of Evolutionary Collaborative Governance Mechanism and Termination of Collabor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7467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형준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방행정에서도 경쟁력강화 차원에서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기존의 논의와 연구들, 그리고 정부의 정책적 시도가 많이 있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그 협력의 성과나 구체적인 진행과정 동태적인 협력의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는 많이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기존의 연구들은 사례별 갈등해결과 협력의 성공요인의 탐색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있지만, 실제 그 협력의 지속과정에 관한 연구와 그 지속과정의 메카니즘과 한국적인 모형의 연구, 또한 협력의 진행과정에서 협력의 종결에 관한 연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협력의 종결원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실제 그것이 어떻게 운영되고 진화하는지 동태적인 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즉 이러한 다수의 행위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조에서 누가 핵심적인 행위자이고(Who governs?) 더불어 어떻게 이러한 협력기제를 지속시키는지 동태적으로 (How to governs) 행위자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기대효과
  • 협력을 위해 자생적으로 조직되는 다양한 거버넌스의 기제들의 발생에 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가졌지만 실제 역동적으로 그 안에서 어떠한 행위자들이 참여하고, 실제 역할을 하는지 그 운영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없었다. 더불어 협력의 종결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므로 본연구는 실제 협력의 과정과 지속 그리고 종결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동태적인 메카니즘의 연구를 통해서 기존에 없던 모형개발을 한다는 데서 이론적 공헌이 있고, 후속 연구의 산출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불어 네트워크 연구를 통해서 실제 행위자들 간의 관계와 역할에 대해서 연구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수정 보완된 제도적 집단행동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할 수 있다. 기존의 네트워크 연구는 행위자들간의 관계에만 중심을 맞추고 행위자들의 특성은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행위자 특성에 중심을 맞춘 연구는 행위자간의 관계변수를 고려하지 못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적인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는 공헌이 있을 수 있다. 본 분석틀을 통해 새로운 정책분석의 모형으로 많은 후속연구를 가져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제도적 집단행동 딜레마 상황과 메카니즘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도적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는 아래와 같은 분석틀을 바탕으로 진행될 것이다. 본 분석틀은 저자의 기존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만든 것으로서 차후 연구를 통해서 수정 보완 하고자 한다. 협력의 동태적 진화과정 메카니즘 탐색 연구. 실제 현상에서는 지방정부 내의 협력과 지방정부 간의 협력이라는 두 가지 협력의 과정이 상호작용하는 다층적이고 동태적인 상호작용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진행과정의 종단연구를 통해 협력의 진화(evolution)와 반향성(resilience)을 반영한 모형을 탐색할 것이다. 즉 협력 시도 이후 또는 협력이 달성된 이후 전개되는 양상을 추적하는 입체적인 모델을 개발 할 것이다. 협력 종결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협력 지속과 종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를 수 있다. Herzberg(1964)의 위생-동기요인처럼 실제 협력의 지속에 동기와 협력의 종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자체가 다를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하나의 독적적인 요인이 협력의 생성 또는 종결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했다. 하지만 실제 현상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서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즉 조건부 결합이나, 또는 실제 현상에서 협력의 종결과 유지에 충분과 필요조건으로 변수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력의 유지와 종결의 필요, 충분 조건의 집합들을 구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동태적인 지방정부간 협력과정의 메카니즘과 협력적 거버넌스의 종결에 관한 연구의 부재

    창의적인 행정이란 서로간의 협력과 융합을 통해 가치 있는 공공서비스와 정책을 산출하는 것이다(Feiock et al 2008). 지방행정에서도 경쟁력강화 차원에서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기존의 논의와 연구들, 그리고 정부의 정책적 시도가 많이 있었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방안으로 시군통합에서부터 지방정부간 협력(intergovernmental collaboration)등을 제도화하려는 노력이 많이 시도되었다. 즉 지방정부의 서비스 공급하에 있어 다양한 협력적인 거버넌스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성을 취하고자 하였다. 학자마다 이를 명칭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로 이명석(2002)은 이를 네트워크 거버넌스, Feiock et al (2008)은 collaborative governance라고 정의한다.
    즉 정부간 협력, 협약에 의한 공동생산, 파트너쉽(Partnership)의 형성, 공급권한의 위임 등 다양한 거버넌스의 기제를 통해서 정책과 공공서비스를 제공하여 지방주민들의 요구에 대응성과 탄력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Oakerson and Park 2011).

    □ 연구목적: 제도적 딜레마 상황의 극복을 위한 지방정부간 또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메카니즘 탐색과 협력의 종결 원인의 탐색적 연구

    ▢ 1년차 연구의 결과
    다양한 사례와 인터뷰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협력적 파트너 도시들과의 협력적 공공서비스 및 공동사업들이 중단되거나 종결되어 계속적이 되지 못하는 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찾아내었다.
    1, 협력 계약(MOU)기간 종료에 따른 자연적 종결
    2. 상대방 조직의 인적구성의 변화
    - 기관장(시장, 또는 시지배인 등) 교체와 시의회 구성비의 변화
    - 핵심 사업 담당자의 교체와 이에 따른 정보교환, 의사소통의 채녈의 문제
    - 전반적인 조직개편을 통한 담당 상위부서의 변화

    3. 시장수요의 변화에 따른 문제
    - 협력 서비스제공 또는 협력사업의 수요 감소
    (예: 관련 담당 서비스대상 수요자의 감소, 사회경제적 상황 변화에 따른 해당사업 필요성 감소)
    4. 사업 성과에 대한 회의
    - 공동사업의 성과 부진 및 예상했던 기대효과 달성하지 못함
    5. 상호간의 불신 증대
    - 상호 계약 불이행에 따른 불신 증대

    ◌ 협력 지속 메카니즘에 잠재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문제들
    - 조정의 문제(Coordination Problem): 협력의 지속을 위해 조정과정에 드는 거래비용이 높을 경우 협력의 종결을 가져올 수 있음. 이에는 참여자의 수, 협력목적의 모호성 등을 통해 변수화가 가능함을 확인함
    - 분배의 문제(Division Problem) : 협력으로 발생된 이득을 참여한 구성원간에 어떻게 분배하는지에 관한 문제로 발생하는 거래비용. 협력의 진행과정에서 참여 지방자치 단체내의 동질성 여부와, 참여지방자치 단체간, 기관간 동질성 여부, 권력과 자원의 여부를 통해 변수화가 가능함을 확인
    - 계약위반의 문제(Defection Problem): 협력을 위한 계약위반의 경우 발생하는 협력종결의 문제임. 이의 감시를 위한 정보공개와 감시 비용이 협력지속에 영향을 미침. 관련 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즉 성과의 측정가능성과 계약불이행, 위반시 제제의 조항 등이 이와 관련 될 수 있음

    ◌ 협력의 위험에 미치는 3가지 영향요인들
    - 협력대상의 특성과 본질적 문제(The nature of Problem)
    : 대상사업의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공유재 여부, 외부성의 종류와 정도, 조정기제
    - 행위자 특성과 선호
    : 조직 또는 지방자치 단체내의 동질성(동질성이 다를 경우 조직 또는 자치단체의 합의를 이끌어 내는데 거래비용이 증가하고, 협력의 유지시에도 서로 다른 선호와 불만을 가지기에 많은 거래비용이 발생)
    : 조직 또는 지방자치 단체간의 동질성 여부
    : 조직의 리더의 관련 리더쉽 (최근의 연구에서는 이를 유지하기 위한 조직의 장의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음- 거래비용 중 Agency Cost 와 연관됨
    - 장소, 상황적 특성
    : 지역 정치시스템, 사회적 자본의 정도, 상위단체의 관련 법규, 기 존재하는 협력유지와 관련된 제도와 메카니즘 등
    ◌ 함의
    자치단체장이 재정적으로 부족함을 협력을 통해서 시설 공동사용 방법으로 해결하려 했으나 주민들의 경우 어느 한쪽의 더 좋은 시설로 다른 지역의 주민들이 오는 것을 싫어함. 일반적으로 협력의 시행의 경우 위와 같은 과도한 주민시설 건설에 따른 부작용과 이의 공동사용을 권유하고 있으나 실제 협력의 경우 그 시설은 공유재가 되어버리고 이에 따라 자신 지역의 관련시설의 투자보다는 다른 분야의 투자를 하려고 함. 더불어 주민들도 다른지역의 주민이 자신의 지역의 시설을 사용함으로써 손해를 보고 있다는 생각에 불만을 표출함

    우리의 사회 기반시설의 지방정부간 협력에 의한 공동사용의 경우에도 쉽지 않음을 알려주는 사례임. 이를 통해서 상호 윈윈이 될 수 있는 방안과 제도설계를 고민해야함


    ▢ 2년차 연구의 결과

    2년차의 연구수행은 첫 번째, 우리나라 갈등사례를 바탕으로 한 협력으로 가정된 합의의 종결의 원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협력의 종결은 갈등의 지속을이야기 하기에 갈등이 지속되는 요인과 이의 해결요인을 바탕으로 Fuzzy Set 질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폐기물 처리시설 입지관련 주민과 정부간의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 결과 협력의 종결, 즉 갈등의 지속이 이루어 지는 주요요인으로는 각자의 협력으로 인한 보상에 대한 불만과 불공평성의 존재와 이와 연관된 소통의 부재로 인한 증폭요인을 주요요인임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둘째 갈등사례를 통해 나온 핵심 가정인 정부와 국민들의 협력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양자 집단의 인식의 차이를 연구하여 협력의 종결, 갈등의 발생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인식의 연구는 많기에 정부 관료들의 각 사회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어떤지 사회적 형성이론에 입각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 관료들은 학자, 전문가, 언론인, 대기업 경영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이익집단, 노조, 일반시민에 비해 높았고, 이에 이들간의 정책협조와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시민단체, 일반시민, 노조 등과는 협력의 지속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는 제도적인 측면에서 연구제안서에 기술한 것처럼 현재 우리나라 지방정부가 사용하는 협력의 기제들을 Richard C. Feiock(2013) 제시한 거래비용과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Mechanism의 분석틀에 맞추어 탐색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중앙정부에서 제시되고 있는 협력기제들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는 서비스의 특성과 참여자, 복잡성 등 사안별에 따라 다양한 양식이 제시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영문
  • Metropolitan areas provide arguably the best research laboratory for studying the larger issues of fragmentation and the resulting policy interactions. Our first research goal is elaborating ICA approach through meetings, discourse, and research collaboration among the project team. We seek to expand the ICA approach beyond the U.S. case to provide a more generic and generalizable explanation for the mechanism to resolve ICA dilemmas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se mechanisms. Our second goal is to test a set of hypotheses derived from our ICA formulation across multiple regions, multiple policy areas, and multiple countries. The analysis is design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why actors seek collaborative solution to fragmentation, the structure of their interactions, the mechanisms for integrating across actors, levels and polici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mechanisms.
    Thus, the proposed research investigates the role of emergent institutions in enhancing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in in complex and poly-centric metropolitan regions. We extend the theory and empirically test hypotheses of ICA to answer the question of Who Governs urban areas and how they are governed in the 21st century.
    This research project intends to address the following thre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 the characteristics of ICA problems and the configurations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macro-political institutions influence the choice of mechanisms for addressing ICA dilemmas within various policy arenas and across policy arenas? Second, how do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policy arenas influence the selection of partners in various governance mechanisms? Third, How do policy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factors together influence governance mechanisms within each policy area and the role of these mechanisms in linking interrelated policy arenas and their success?
    We study the multiple policy arenas in multiple policy settings which are most directly involved in the dominant conflict between growth and development in urban governance.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voluntary, self-organizing activities to mitigate these conflicts, encourage cooperation, and minimize the adverse impacts of one authority’s decisions on others. As underlying systems and policies become increasingly interconnected, the costs imposed by ICA problems increase dramatically and the search for institutions that can coordinate decisions across independent policy arenas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valuable to policymakers working in interconnected policy arenas and inform understanding of the ability and limitations of voluntary self-organizing activities to coordinate multiple issues and resolve conflicts in these policy areas. This will be particularly useful where traditional authorities have been unable to resolve such conflicts. The sections that follow outline a conceptual framework and methodology to guide inquiry into urban governance and the mechanisms for integrating policy decis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동태적인 지방정부간 협력과정의 메카니즘과 협력적 거버넌스의 종결에 관한 연구의 부재
    □ 연구목적: 제도적 딜레마 상황의 극복을 위한 지방정부간 또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메카니즘 탐색과 협력의 종결 원인의 탐색적 연구
    ▢ 1년차 연구의 결과
    다양한 사례와 인터뷰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협력적 파트너 도시들과의 협력적 공공서비스 및 공동사업들이 중단되거나 종결되어 계속적이 되지 못하는 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찾아내었다.
    1, 협력 계약(MOU)기간 종료에 따른 자연적 종결
    2. 상대방 조직의 인적구성의 변화
    - 기관장(시장, 또는 시지배인 등) 교체와 시의회 구성비의 변화
    - 핵심 사업 담당자의 교체와 이에 따른 정보교환, 의사소통의 채녈의 문제
    - 전반적인 조직개편을 통한 담당 상위부서의 변화

    3. 시장수요의 변화에 따른 문제
    - 협력 서비스제공 또는 협력사업의 수요 감소 4. 사업 성과에 대한 회의
    - 공동사업의 성과 부진 및 예상했던 기대효과 달성하지 못함
    5. 상호간의 불신 증대
    - 상호 계약 불이행에 따른 불신 증대

    ◌ 협력 지속 메카니즘에 잠재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문제들
    - 조정의 문제(Coordination Problem): 협력의 지속을 위해 조정과정에 드는 거래비용이 높을 경우 협력의 종결을 가져올 수 있음. 이에는 참여자의 수, 협력목적의 모호성 등을 통해 변수화가 가능함을 확인함
    - 분배의 문제(Division Problem) : 협력으로 발생된 이득을 참여한 구성원간에 어떻게 분배하는지에 관한 문제로 발생하는 거래비용. 협력의 진행과정에서 참여 지방자치 단체내의 동질성 여부와, 참여지방자치 단체간, 기관간 동질성 여부, 권력과 자원의 여부를 통해 변수화가 가능함을 확인
    - 계약위반의 문제(Defection Problem): 협력을 위한 계약위반의 경우 발생하는 협력종결의 문제임. 이의 감시를 위한 정보공개와 감시 비용이 협력지속에 영향을 미침. 관련 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즉 성과의 측정가능성과 계약불이행, 위반시 제제의 조항 등이 이와 관련 될 수 있음

    ◌ 협력의 위험에 미치는 3가지 영향요인들
    - 협력대상의 특성과 본질적 문제(The nature of Problem)
    : 대상사업의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공유재 여부, 외부성의 종류와 정도, 조정기제
    - 행위자 특성과 선호
    : 조직 또는 지방자치 단체내의 동질성(동질성이 다를 경우 조직 또는 자치단체의 합의를 이끌어 내는데 거래비용이 증가하고, 협력의 유지시에도 서로 다른 선호와 불만을 가지기에 많은 거래비용이 발생)
    : 조직 또는 지방자치 단체간의 동질성 여부
    : 조직의 리더의 관련 리더쉽 (최근의 연구에서는 이를 유지하기 위한 조직의 장의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음- 거래비용 중 Agency Cost 와 연관됨
    - 장소, 상황적 특성
    : 지역 정치시스템, 사회적 자본의 정도, 상위단체의 관련 법규, 기 존재하는 협력유지와 관련된 제도와 메카니즘 등
    ▢ 2년차 연구의 결과
    2년차의 연구수행은 첫 번째, 우리나라 갈등사례를 바탕으로 한 협력으로 가정된 합의의 종결의 원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협력의 종결은 갈등의 지속을이야기 하기에 갈등이 지속되는 요인과 이의 해결요인을 바탕으로 Fuzzy Set 질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폐기물 처리시설 입지관련 주민과 정부간의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 결과 협력의 종결, 즉 갈등의 지속이 이루어 지는 주요요인으로는 각자의 협력으로 인한 보상에 대한 불만과 불공평성의 존재와 이와 연관된 소통의 부재로 인한 증폭요인을 주요요인임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둘째 갈등사례를 통해 나온 핵심 가정인 정부와 국민들의 협력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양자 집단의 인식의 차이를 연구하여 협력의 종결, 갈등의 발생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인식의 연구는 많기에 정부 관료들의 각 사회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어떤지 사회적 형성이론에 입각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 관료들은 학자, 전문가, 언론인, 대기업 경영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이익집단, 노조, 일반시민에 비해 높았고, 이에 이들간의 정책협조와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시민단체, 일반시민, 노조 등과는 협력의 지속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는 제도적인 측면에서 연구제안서에 기술한 것처럼 현재 우리나라 지방정부가 사용하는 협력의 기제들을 Richard C. Feiock(2013) 제시한 거래비용과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Mechanism의 분석틀에 맞추어 탐색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중앙정부에서 제시되고 있는 협력기제들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는 서비스의 특성과 참여자, 복잡성 등 사안별에 따라 다양한 양식이 제시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지방정부간 협력의 원인과 성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한 한국적 특수요인과 모형의 일반화 가능성 탐색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협력의 진화에 관한 제도적 집단행동의 연구분석틀을 작성하였음. 이는 산출과정과 더불어 진화 조정과정을 거쳐 종결이냐 지속이냐의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 분석틀을 작성하였음

    <그림 8>. 제도적 집단행동의 분석틀>





    이러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제도적 집단행동 분석틀을 통한 후속 협력원인과 조건-> 협력-> 성과(종결, 지속, 기타 협력을 통한 경제적, 사회적 성과 등)의 관계에 관해 지속적인 분야별 사례를 통한 연구가 가능.
    이를 통해서 정책분야별, 행정서비스별, 그리고 협력의 참여자의 상호 조건에 따른 협력의 성과와 지속요인, 종결원인을 지속적으로 연구 탐색하는 데 활용할 계획임

    (2) 협력기제에 대한 연구

    한국의 다양한 협력기제들을 앞서 제시한 거래비용에 입각한 제도적 집단행동의 기제의 분류표에 따라 지속적인 협력의 기제들을 파악하고 그 성공과 실패요인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는데 활용할 계획임. 이를 위해 2017년 IPPA(International Public Policy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에 관련 패널을 제출하였고, 미국을 제외한 다른국가들 특히 Fragmentation이 아닌 지방행정체제를 가진 아시아 국가의 협력기제들과 비교연구를 할 예정임

    (3) 관료의 관련 집단 사회적 형성의 지속적 변화연구
    본 연구를 통해서 협력을 함에 있어서 행위자의 사회적 형성과 인식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이는 국가간 시대별 변화함을 파악했음. 우리의 집단별 사회적 형성의 표를 바탕으로 이 사회적 형성이 협력과 정책설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것인지 지속적으로 연구에 활용할 계획임.
  • 색인어
  • 지방정부, 협력적 거버넌스, 제도적 집단행동, 협력의 기제, 협력종결원인, 갈등지속, 사회적 형성, 광역행정, 퍼지 비교분석사례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