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전남방언의 부사형어미 ‘-어X’의 교체양상에 따른 공시적 방언분화 연구
The synchronic dialect differentiation study depending on the replacement patterns of '-어X', the adverbial endings of Chonnam dialec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1724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진숙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방언은 여러 가지 외적․내적 요인에 의해 분화를 일으킨다. 이에 본 연구는 전남방언의 활용어간말 모음과 부사형어미 ‘-어X’가 결합하였을 때 나타나는 음운현상을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방언형의 지리적 분포를 알아본다. 아울러 수집된 방언형을 통해 방언차, 분화를 일으킨 요인, 전파 경로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방언지도로 나타낸다.
    또한 방언지도가 지리언어학적 연구에 그치지 않고 다른 학문 분야인 사회언어학, 인문학, 지리학 등의 영역과 융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하려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하나의 논문으로 완성되고 나면 세 가지 측면에서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전남방언의 부사형어미 ‘-어X’의 교체에 대한 방언분화를 지리적 분포로 나타내어 방언지도를 작성함으써 분화요인을 파악할 수 있고 전파이동 경로를 알 수 있다는 것이 다.
    둘째 방언특징은 지리적 연속체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대방언권의 방언분화연구에 대한 후속 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
    셋째 전남방언 연구에서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한 방언분화와 방언지도 작성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는 점에서, 전남방언의 음운현상에 대한 지리언어학적 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방언의(이하 ‘전남방언’이라 한다.) 하위 지역어들에서 실현되고 있는 부사형어미 ‘-어X’의 교체양상을 공시적으로 비교․검토하여 하위 지역어간의 음운적 차이를 체계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남방언 하위 지역어의 부사형어미 ‘-어X’의 교체에 대한 방언분화를 방언지도로 나타낸 다음 그 결과를 토대로 지리적 분포를 분석하여 그와 같은 분화를 이루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 자료는 전라남도의 하위지역을 직접 조사한 것으로, 부사형어미 ‘-어’의 교체양상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①음절수 ②개모음과 폐모음 ③규칙어간과 불규칙어간 ④ 어간말 모음의 성격 등 네 가지 기준에 의해 조사항목을 만들었다.
    방언형 수집을 마치고 나면 방언형과 대응되는 기호를 정하여 방언차에 대한 경계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방언지도를 그린다. 방언지도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은 앞서 밝힌 음운항목 별로 어간말음과 부사형어미의 결합형에 음운규칙을 설정하여 분화를 일으킨 요인과 전파방향을 논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전남방언의 부사형어미 ‘-어/아X’의 교체에 따른 공시적 분화양상을 언어지도로 나타낸 다음 지리적 분포를 분석하여 그와 같은 분화를 이루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전남방언의 부사형어미 교체는 일반적인 교체와 특이한 교체 두 가지로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특이한 교체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어간의 조건에 따라 1음절어간은 폐음절로 끝나면서 어간모음이 ‘아’인 것, 2음절어간은 어간모음이 ‘이, 으, 우’인 것, ㅂ-불규칙 용언어간 등이다.
    어간의 조건에 따른 분화양상은 ① ‘-어X’만 선택되는 지역 ② ‘-아X’만 선택되는 지역 ③ ‘-어X’와 ‘-아X’가 공존하는 지역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지리적 분포를 분석하면 1음절의 폐음절 어간모음 ‘아’는 서부지역의 경우 ‘-어’가 우세하였고 동부지역은 ‘-아’가 우세하여 동서로 등어선이 나타났다. 2음절어간은 어간의 구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어간이 ‘음성+음성’이면 ‘-어’로 단일화되었으나, ‘양성+음성’이면 다소 복잡한 교체양상을 보여주었다. ㅂ-불규칙용언어간의 경우 대체적으로 ‘-아’가 우세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흐름에서 보면 ‘아→어’로 교체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prepared the replacement pattern of adverbial ending ‘-eo/ah X’ in Jeollanam-do regional dialect as a dialect map and explored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such differentiation by analyz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adverbial ending replacement in Jeollanam-do dialect can be classified into general replacement and special replacement. This study focused on special replacement, which are; the one-syllable stems of which the stem vowel is ‘ah’ and ending is a closed syllable, the two-syllable stems of which the stem vowel is one of ‘i, eu, u’ and the ‘ㅂ- irregular predicate stem’.
    The differentiation pattern dependent on the stem condition was ① the area where only ‘eo’ is chosen, ② the area where only ‘ah’ is chosen, and, ③ the area where ‘eo’ and ‘ah’ are both chosen. Whe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is analyzed based on this, the one-syllable closed-syllable stem vowel ‘ah’ had an isogloss from east to west by having the western area where ‘eo’ is superior and the eastern area where ‘ah’ is superior. There was difference in the constitution of stem in 2-syllable stems. When a stem is ‘negative+negative’, it was unified to ‘eo’. However, if a stem is ‘positive+negative’, there was sporadic replacement pattern. Generally ‘ah’ was superior in the case of ‘ㅂ- irregular predicate stem’.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ah’ was being replaced by ‘eo’ in the viewpoint of overall flow.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전남방언의 부사형어미 ‘-어/아X’의 교체에 따른 공시적 분화양상을 언어지도로 나타낸 다음 지리적 분포를 분석하여 그와 같은 분화를 이루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전남방언의 부사형어미 교체는 일반적인 교체와 특이한 교체 두 가지로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특이한 교체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어간의 조건에 따라 1음절어간은 폐음절로 끝나면서 어간모음이 ‘아’인 것, 2음절어간은 어간모음이 ‘이, 으, 우’인 것, ㅂ-불규칙 용언어간 등이다.
    어간의 조건에 따른 분화양상은 ① ‘-어X’만 선택되는 지역 ② ‘-아X’만 선택되는 지역 ③ ‘-어X’와 ‘-아X’가 공존하는 지역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지리적 분포를 분석하면 1음절의 폐음절 어간모음 ‘아’는 서부지역의 경우 ‘-어’가 우세하였고 동부지역은 ‘-아’가 우세하여 동서로 등어선이 나타났다. 2음절어간은 어간의 구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어간이 ‘음성+음성’이면 ‘-어’로 단일화되었으나, ‘양성+음성’이면 다소 복잡한 교체양상을 보여주었다. ㅂ-불규칙용언어간의 경우 대체적으로 ‘-아’가 우세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흐름에서 보면 ‘아→어’로 교체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전남방언은 일반적인 교체와 특이한 교체 두 가지로 존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후자인 특이한 부사형어미 교체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특이한 교체를 보이는 어간은 1음절의 폐음절어간에서 어간모음이 ‘아’로 끝나는 경우와 2음절어간에서 어간모음이 ‘이, 으, 우’인 경우와 ㅂ-불규칙 용언어간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 색인어
  • 전남방언, 부사형어미 ‘-어/아X’의 교체양상, 언어지도, 음성모음, 양성모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