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글로벌 사회경제 시스템 리스크 관리와 지속가능성
Systemic Risk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in Global Socio-Econom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4459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한두봉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데니스 잔센(Texas A&M University)
HUNGHAOCHANG
송기은(기타기관)
Masahiko Gemma(waseda university)
Rodolfo M. Nayga, Jr.(Univ. of Arkansas at Fayetteville)
박현(경희대학교)
서동희(고려대학교)
서상택(충북대학교)
김관수(서울대학교)
안병일(고려대학교)
이덕희(한국과학기술원)
최정윤(고려대학교)
한승헌(한국과학기술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사회경제에서 발생하는 위험요인(금융, 식량, 에너지 등)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보다는 이들을 통합하는 시스템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독립적인 위험요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이 증가하고, 위험의 공조현상이 증대되고 있다. 예로서 2007년 이후 에너지, 식량, 금융 부분에 위험이 동시에 발생하고, 이에 따라 개별 국가나 전 세계가 직면한 종합적 시스템 리스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대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진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사회경제 시스템리스크 관리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식량과 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고려대 연구팀(과제명: 식량과 에너지 위험관리를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사회 실현)과 경제와 금융부분에 초점을 맞춘 KAIST 연구팀(과제명: 경제의 네트워크화와 안정성에 관한 연구)가 연합하여 중형단계 연구단을 구성하였다. 두 사업팀은 2012년 5월부터 국제 컨퍼런스와 세미나 등 여러 차례의 교류를 통해 부문 간 상이해 보이는 위험들이 직간접적인 연결을 통해 이전과는 다른 글로벌 사회경제 위험을 확산시키는데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 팀 간 연구 교류를 통해 기존의 전통적 경제학 방법론이 포착하지 못하는 다양한 분석 방법론의 공유 및 개발에도 공감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중형단계 사업단은 식량과 에너지 위험관리를 농업경제학, 식품경제학, 자원경제학 전공자와 경영과학, 금융학, 경제학의 전공자들이 연합하여 경제네트워크, 금융시스템, 농업, 식품, 에너지와 관련된 “글로벌 사회경제 시스템리스크 관리와 지속가능성”을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새롭게 대두된 글로벌 사회경제 시스템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여 본 사업단은 국내 연구진 7명, 해외 연구진(미국, 일본, 대만) 3명으로 구성하여 국내외 공동협력연구와 국제컨퍼런스, 연구진 교류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경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제 공동연구진으로 구성된 본 연구팀은 1970년대 석유 파동과 식량위기부터 제기,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로 개별적인 위기가 2008년 이후 금융위기, 식량위기, 에너지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발생하는 전 세계가 해결해야 하는 글로벌 시스템리스크 관리방안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식량 및 에너지 리스크의 본 연구팀에서는 식량 및 에너지 리스크의 유형분석(1차년도)-식량 및 에너지 리스크의 파급영향 분석(2차년도)-효과적인 식량 및 에너지 리스크관리정책 도출(3차년도)의 단계별 연구를 수행하여 식량과 에너지 리스크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식량 및 에너지 리스크 측정 및 리스크 유형에 대한 정의를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정립하고 리스크의 전이과정을 계량적으로 평가하여 그 효과를 규명할 것이며, 국가 간의 리스크 전이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리스크 관리 목표와 효과적인 정책대안을 모색할 것이다. 경제 네크워크 및 금융 시스템 리스크 관리 연구팀은 사회/경제 부문별 시스템 리스크 분석(1차년도)-부문간 시스템 리스크 연계 분석(2차년도)-시스템 리스크 관리와 정책 방안(3차년도)의 단계별 연구를 수행하여 시스템 리스크의 원인과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리스크의 생성 원리와 요인, 전이 메커니즘을 밝히고, 나아가 글로벌화 및 정보화가 시스템 리스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배경의 네트워크 구조 변화는 시스템 리스크와의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 동 연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본 연구는 기존 이론 및 방법론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이론과 방법론 습득과 적용을 통해 새로운 분석 이론과 방법론을 모색한다. 즉 경제 및 재무이론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과학, 복잡계 이론, 뇌신경 과학의 최신 이론을 응용한다. 또한 계량경제, 소셜네트워크 분석(SNA), 행위자기반시뮬레이션분석(ABM), Event Study 등의 방법론의 적용을 시도함으로써 융합연구의 지평을 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를 학문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석연료의 부존량 감소와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는 신재생에너지 및 바이오에너지 개발과 생산의 증대를 가져왔지만, 이는 전반적으로 국제시장에서의 식량 및 에너지가격 상승이라는 부작용도 초래하였다. 즉, 한 국가에서 에너지 자급도 향상을 위한 정책은 다른 국가에 식량 리스크를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데, 이는 한 국가에서의 리스크를 다른 국가의 리스크로 전이시키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단에서는 이와 같은 국가 간 식량 및 에너지 리스크의 상호 전이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진행되고, 그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규명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식량과 에너지 시스템리스크 관리를 위한 종합적 정책 수립에 공조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식량 및 에너지 위험은 상호 연계되어 있고, 그 연결고리의 핵심에는 곡물가격과 유가와의 상호연관성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식량과 에너지 가격간의 연계성과 불안정성의 전이 효과를 다양한 시계열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현재까지는 유가와 다양한 곡물가격과의 연계 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본연구단의 분석결과는 학문적으로도 사회정책적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금융의 발전과 다양한 금융상품들의 개발에 의해 실물경제와 금융 시스템의 결합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실물경제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비즈니스의 편의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기능하지만 위기 상황에서는 금융 시스템의 충격에 대한 실물경제의 민감도를 높이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반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금융위기와 금융 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에너지/식량 안보 등 실물경제에서의 다양한 문제점을 이해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경제 및 금융분야 전반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에 관한 연구는 부문 내 잠재적 위험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부문 간 위험의 공조화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Price-based network의 한 축인 Granger causality Network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은 이러한 현상의 규명에 강점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단에서는 경제 시스템 내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의 핵심이라는 판단 하에, 이를 수치화, 계량화 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식량, 에너지, 금융위험을 유형화 하는 다양한 지표를 개발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는 국가별로 식량, 에너지, 금융 위험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고, 이것이 사회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활용함으로써 경제 및 산업 전반에 대한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방법은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의 전제조건으로서의 경제, 금융, 식량 및 에너지 분야의 리스크 관리목표는 어떠한 수준이 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할 것이며, 이는 향후 정부정책에 매우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력양성 측면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단은 4개국 10명의 연구진이 참여함으로써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이 다양한 국가의 학자들과 연구를 수행하면서 스스로 학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국제적 수준의 대학원 교육과 연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이 연구진은 인터넷을 활용한 웹세미나를 최소한 분기별 1회씩 실시함으로써 연구에 참여하는 대학원생들은 물론 관심 있는 학부생들의 국제적인 연구활동을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차세대 세계적인 사회과학자를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단의 식량과 에너지의 위험관리, 경제네트워크 및 금융시스템 리스크관리, 지속가능한 경제사회발전 등의 주제와 관련된 세부 연구결과는 G-class를 통한 인터넷 원격공동강의를 통하여 개발된 연구결과를 학생들에게 교육시킴으로써 연구와 교육의 연계를 강화할 것이다. 특히 국제공동연구진 간에는 이미 6년 전부터 G-class를 통한 원격공동강의를 추진해 왔기 때문에 각국의 사례분석 등 자료를 활용한 교육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미국, 일본, 대만의 연구진을 활용하기 때문에 한국 5개교의 대학원생과 학부생들이 방학을 이용한 해외 인턴십과 연구조교로 근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대학원생들의 논문지도교수로서 국내교수와 외국교수가 공동지도교수를 함으로써 석사와 박사학위 논문의 질을 제고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국내와 외국대학과의 이중학위제도 도입되고, 교육의 국제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중형단계 연구단의 비전은 글로벌 사회경제 시스템의 지속적 성장이다. 비전 달성을 위한 연구목표는 글로벌 사회경제 시스템리스크 관리이다. 본 연구단은 사회경제 시스템리스크 관리 방안을 위해 2가지 세부과제로 접근할 예정이다. 첫 번째 세부과제는 인류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식량과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리스크 관리이며, 두 번째 세부과제는 경제성장과 안정화에 필수적인 경제 네크워크와 금융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 리스크 관리이다. 본 연구단에서는 1970년대 석유 파동과 식량위기,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로 대변되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발생한 식량, 에너지, 금융위기가 2008년 이후 금융위험, 식량위험, 에너지위험이 전 세계적으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글로벌 시스템리스크로 변화함에 따라 시스템리스크의 종합적 관리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량과 에너지 시스템리스크 관리 주요 연구과제는 1) 식량 및 에너지 시스템리스크의 유형분석, 2) 식량 및 에너지 시스템리스크의 파급영향과 연계 분석, 3) 효과적인 식량 및 에너지 시스템리스크 관리 정책방향이다. 경제네트워크와 금융시스템 리스크관리 세부과제는 1) 사회/경제 부문별 시스템 리스크 분석, 2) 부문간 시스템 리스크 연계 분석, 3) 사회경제와 금융의 시스템 리스크 관리와 정책방안이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단에서는 연구과제인 글로벌 사회경제 시스템리스크 관리를 위해서 식량, 에너지, 금융의 개별적 리스크가 경제전반의 시스템리스크로 전환되는 원인과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시스템 리스크의 이론적, 경험적 생성 원리와 요인, 전이 메커니즘을 밝히고, 과거 개별적 리스크와는 달리 글로벌 시스템 리스크가 사회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 영향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글로벌 시스템리스크 관리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국제공동연구와 융합연구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단은 국내학자 7인, 미국, 일본, 대만의 세계적인 학자 3인으로 구성된 10인의 국제공동연구단을 구성하였다. 또한 연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국제공동연구와 더불어 경제학, 농업•식품•자원경제학, 경영과학, 재무학, 심리학, 행동경제학, 실험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연구를 통해 글로벌 시스템 리스크의 원인 규명과 효과적 관리를 위한 새로운 분석 이론과 방법론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가능한 정책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글로벌 현장중심적 융합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단은 “위험사회의 도래와 지속가능성”이라는 아젠다 하에 식량과 에너지, 경제, 금융의 리스크 구조 분석과 위험관리를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사회 실현이라는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인류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식량과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위험관리 측면과 경제성장과 안정화에 필수적인 경제네트워크와 금융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위험관리 측면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년도에는 식량 및 에너지 리스크의 유형분석 연구와 사회/경제 부문별 시스템 리스크 유형 연구를 하였고, 2차년도에는 식량 및 에너지, 그리고 사회경제 리스크 연관관계와 파급영향 분석, 그리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 방안 연구를 하였다. 3차년도에는 1차년도와 2차년도 연구를 기반으로 식량과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위험관리 측면의 정책 도출과 경제네트워크와 금융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위험관리 측면의 정책 도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학제간 연구를 기반으로, 식량, 에너지, 금융 간의 상호 전이 및 상호 전이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리스크간 상호 전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시스템리스크 관리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실질적인 정책 기여를 도모하였다.
  • 영문
  • This SSK research team has conducted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economic society through risk management of food, energy, and finance under a SSK theme of the coming of risk society and sustainability. For this, the team has conducted research on the aspects of risk management centered on food and energy, which are indispensable factors for mankind survival, and risk management, focusing on economic networks and financial systems essential for economic growth and stabilization. The studies in each year are as follows: types of food and energy risks, and types of system risks by social /economic sectors in the 1st year, interrelationship between food, energy, and socioeconomic risks and their effects in the 2nd year, and deriving policies on risk management, focusing on food and energy, and policies on risk management, focusing on economic networks and financial systems in the 3rd year. In particular,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team has identified the mechanisms of mutual spillover between risks through analysis of mutual spillover and mutual spillover effects between food, energy, and finance, and has made practical policy contributions by deriving policy implications for systemic risk manag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단은 “위험사회의 도래와 지속가능성”이라는 아젠다 하에 식량과 에너지, 경제, 금융의 리스크 구조 분석과 위험관리를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사회 실현이라는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인류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식량과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위험관리 측면과 경제성장과 안정화에 필수적인 경제네트워크와 금융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위험관리 측면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1년차에서는 식량 및 에너지 리스크의 유형분석 연구와 사회/경제 부문별 시스템 리스크 유형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단은 식량 및 에너지 부문 리스크와 사회경제 시스템 리스크에 관한 배경지식 확보와 연구네트워크 관계 구축을 조성하였고, 가시적인 연구성과를 이루었다. 2년차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사회경제 시스템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는 문제의식 하에 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관리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식량, 에너지, 더 나아가 사회경제에서 발생하는 시스템리스크와 그 관리에 대한 학제간, 산업부문간 융합연구의 토대를 구축하였고, 가시적인 연구성과를 이루었다. 1,2차 년도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3차년도에는 식량과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위험관리 측면의 정책 도출과 경제네트워크와 금융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위험관리 측면의 정책 도출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학제간 연구를 기반으로 한 식량, 에너지, 금융 간의 상호 전이 및 상호 전이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리스크간 상호 전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시스템리스크 관리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실질적인 정책 기여를 도모하였다. 3년간의 연구성과를 보면, 연구 아젠다와 관련된 총 70편의 논문이 국내외 저명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SSCI급 저널 게재 논문 비중(64%)이 높아 연구업적의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높은 성과를 달성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단은 식량과 에너지 가격간의 연계성과 불안정성의 전이 효과를 다양한 시계열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는 유가와 다양한 곡물가격과의 연계 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본연구단의 분석결과는 학문적으로도 사회·정책적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제 시스템 내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를 계측화하는 작업을 수행했는데, 이는 국가별로 식량, 에너지, 금융 위험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고, 이것이 사회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활용함으로써 경제 및 산업 전반에 대한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방법은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의 전제조건으로서의 경제, 금융, 식량 및 에너지 분야의 리스크 관리목표 수준을 제시하는 등 향후 정부정책에 매우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식량 안보, 에너지 안보, 경제네트워크, 지속가능한 발전, 경제발전, 위험관리, 시스템리스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