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국어 방언의 담화표지
Discourse Markers in Korean Dialec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저술출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6A4024363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기갑
연구수행기관 국립목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국어의 방언 연구는 지금까지 음운, 형태, 통사, 어휘 등의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방언적 차이는 이러한 점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과정에 나타나는 다양한 담화적 현상에서도 지역방언에 따른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2010년에 발표한 논문 [담화표지 ‘그냥’, ‘그저’, ‘그만’의 방언 분화]에서, 부사 ‘그냥, 그저, 그만’의 세 단어가 본래의 의미로는 모든 방언에서 사용되지만, 기본의미를 잃고 담화표지(discourse marker)로 문법화 되어 사용되는 양상은 지역에 따라 각각 달라, 동북방언에서는 ‘그저’, 서남방언에서는 ‘그냥’, 동남방언에서는 ‘그만’이 각각 담화표지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 세 담화표지는 그 담화적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에 비슷한 기능의 담화표지가 지역적으로 상보적인 분포를 보이면서 사용되는 셈이다. 이것은 결국 ‘부추’의 방언형이 지역에 따라 ‘정구지’나 ‘솔’, ‘졸’ 등으로 분화되는 것처럼, 같은 기능의 담화표지도 방언에 따라 ‘그저’, ‘그냥’, ‘그만’ 등으로 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방언마다 고유의 담화표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담화표지라도 사용의 비율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제’와 같은 부사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담화표지로 사용되지만 특히 서남방언의 사용 빈도가 다른 방언에 비해 월등히 높다. 이러한 사용 빈도의 차이도 주요한 담화 차원의 방언차로 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과거의 방언 연구에서 전혀 시도되지 않았던 담화 차원의 방언 분화 양상을 살펴보려는 것이니, 달리 말하면 ‘방언 담화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려는 것이다.
    담화표지는 어느 언어에나 있는 보편적 표현으로서, 담화를 진행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부분의 담화표지는 일정한 어휘적 의미를 갖는 단어로부터 문법화 되어 생겨나는데, 우리말에서도 이 점은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국어의 담화표지로서 제시된 것으로는 ‘이제’, ‘뭐’, ‘저’, ‘있잖아’, ‘아니’ 등 다양한 것들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담화표지는 그 자체로 기술되었을 뿐 방언학적 관점에서 논의된 바는 없었다. 아마도 본 연구자의 기존 연구가 이 분야를 개척한 유일한 업적이 아닌가 한다.
    본 연구자는 각 방언이 보이는 담화표지의 목록을 제시하고, 각 담화표지의 용법과 기능을 기술하며, 이를 다른 방언의 담화표지들과 비교함으로써 담화적 차원에서의 방언 분화 현상을 밝히려고 한다. 또한 같은 담화표지가 사용되는 빈도를 비교함으로써 담화적 방언차가 단순히 목록의 차이뿐만 아니라 사용 빈도의 차이에서도 드러난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담화론을 방언 변이의 항목으로 추가함으로써 방언학의 지평을 넗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2. 각 지방 사람들의 말버릇을 이해함으로써 의사소통과 상호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3. 최근 방언은 드라마나 문화 콘텐츠의 중요 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는바, 각 방언의 고유한 담화표지의 이해는 충실한 방언 콘텐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연구요약
  • 목차
    1. 방언과 구술발화
    2. 담화표지 이론
    3. 모든 방언에서 쓰이는 담화표지
    3.1 이제
    3.2 말이다
    3.3 참
    3.4 ‘는’과 ‘을랑’
    4. 동북방언의 담화표지
    4.1 그저
    4.2 무슨
    4.3 기타
    5. 동남방언의 담화표지
    5.1 고마(=그만)
    5.2 마
    5.3 ‘어디’와 ‘언제’
    5.4 기타
    6. 서남방언의 담화표지
    6.1 시방
    6.2 그냥
    6.3 잔(=좀)
    6.4 ‘거시기’와 ‘머시기’
    6.5 기타
    7. 제주방언의 담화표지
    7.1 근
    7.2 에
    7.3 게
    7.4 ‘양’과 ‘예’
    7.5 기타
    8. 담화표지 사이의 관계
    8.1 ‘그저’, ‘그냥’, ‘그만’
    8.2 ‘이제’, ‘지금’, ‘시방’
    8.3 ‘는/을랑’과 ‘근/에’
    * 구술발화 자료/참고문헌
    ** 찾아보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