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문화기반 융합관광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제주 마(馬)자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Convergence Tourism: Focus on JeJu Horses Resourc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2016213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장혜원
연구수행기관 제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세계화, 규제완화, 복합화, 기술변화 등으로 인한 산업 구조의 변화는 기존의 다양한 가치 및 산업 간의 창조적 결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융합의 시대’로 전환시켜왔으며, 관광산업에서도 융합 비즈니스 발굴을 통한 산업의 외연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문화관광연구원, 2013).
    융합은 시장의 창출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의 구조 및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를 수반한다는 점에서 산업적 의미를 지닌다. 산업에서 융합은 기존 산업의 기술, 제품․서비스를 재조합하여 새로운 가치와 시장을 창출하는 활동으로, 단순 개조는 배제되는 개념이다. 이런 점에서 1차·2차 산업 간의 융합에 의해 3차 산업인 관광산업이 창출되는 6차산업화는 수평적이고 혁신적 관계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융합관광의 모델이 될 수 있다.
    1차산업 중에서도 말(馬)산업은 생산중심인 농축업이면서 육성중심의 2차 산업인 축산업가공분야이며, 3차 산업인 승마, 레저스포츠, 관광 등 산업 간의 부가가치가 높은 영역으로 제주에는 말과 관련된 풍부한 목축문화가 산재해 있다. 특히 2014년 ‘말산업특구’로 지정되면서 인프라구축은 물론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의 말의 문화자원을 중심으로 문화기반 융합관광의 발전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고도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융합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채 실천적 논의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융합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한다. 또한 융합관광의 사례로서 ‘6차산업화’의 융합 과정을 평가하고 융합관광의 발전모형을 개발하여 융합관광의 미래에 대한 비전 및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관광산업이 융합 패러다임을 선도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연구방법론으로는 정성적·정량적 방법을 병행하며, 특히 정성적 연구방법을 통해 융합의 과정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융합관광에 대한 개념화에서는 의미성분 분석과 내러티브 분석을 이용하며 문화기술지를 이용하여 제주 마(馬)문화에 대해 기술, 분석, 해석의 층위를 거침으로써 조사과정과 연구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융합관광의 사례조사에서는 구술사연구를 통해 사업추진 주체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개인적 맥락을 통찰하면서 융합 과정을 파악한다.
    정량적 연구방법에서는 융합관광의 실태파악을 위해서 Weaver(2007)의 융합이론 프레임웍을 유형화하여 실증조사하며, 이에 대한 타당성 검정차원에서 Kaplinsky & Morris(2000)의 단순 가치사슬을 적용하여 1․2․3차 산업 간의 독립된 특성 및 상호연관성, 융합이론 프레임웍과의 상관성을 검정한다. 이를 종합하여 융합관광의 발전모형을 개발하고 고도화 전략을 제시한다.
    연구의 세부목표는 첫째, 융합관광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융합 패러다임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융합의 논리적 근거가 희박한 상황(Weaver, 2007)에서는 융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거나 올바른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융합이 인문학, 사회학, 자연과학, 예술학, 관광학 등 여러 학제에서 어떻게 개념화되어 있는지 검토하여 사회과학 관점의 융합관광 개념을 정의한다.
    둘째, 융합관광의 발전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산업에서 융합을 기획하고 실행하는데 지침서 역할을 한다. 1차산업과 2차산업이 융합되어 3차산업이 창출되는 6차산업화의 과정을 다원주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6차산업화가 융합관광의 모델이 될 수 있는지를 검정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관광의 활성화 방안과 정책 및 향후 전망을 제시한다.
    셋째, 국내 관광학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문화기술지, 특히 구술사 연구방법에 도전함으로써 연구방법론의 다양성을 자극한다. 즉 문화를 도구로서가 아닌 목적으로 접근하여 관광학문의 질적 성장과 학제적 스펙트럼을 확장한다.
    넷째, 마(馬)문화원형에 대한 DB를 구축하여 문화자원에 대한 보존의 당위성과 이용의 합리성을 강조한다. 제주 마문화 원형을 인물, 의례, 장소 등의 범주로 정리하여 향후 역사학, 인문학, 민속학, 미학, 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후속연구를 파생시켜 콘텐츠 파워를 강화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산업의 융합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천적 대응방안으로서 말(馬)자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결과에서 파생되는 학문적·사회적 활용성이 뛰어날 것이다. 더구나 융합은 성숙기에 접어든 세계경제에서 새로운 수요창출의 동력으로 관광은 물론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질 주제가 분명하며, 마(馬)문화 역시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보편성을 갖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에 파급력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확고해지면서 관광 이론의 확장에 기여한다. 먼저 융합관광의 개념화를 통해 관광산업 내에서 융합관광의 이론적 체계가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융합관광의 개념을 3차 산업의 관광 주체자들뿐만 아니라 1차, 2차, 3차산업의 주체자들 간의 융합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융합관광을 연구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말자원과 관련된 인물, 의례, 장소 등의 아카이브로 후속연구를 파생시킨다. 콘텐츠로서의 인문학뿐만 아니라 가축으로서의 생태학, 마정(馬政)의 역사로서의 역사학, 목축문화와 관련된 민속학, 말자원의 개발과 관련된 사회과학, 말의 생축과 관련된 생태학, 지리학 등 여러 학문영역에서 말의 학문적 가치 및 산업적 활용에 대한 연구를 추동하고 이를 통해 학문이 균형적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지역의 생활문화와 관련된 연구주제를 선정함으로써 향후 관광콘텐츠를 발굴하는데 창의성을 부여한다. 관광산업은 타 산업의 콘텐츠 및 체험의 형태에 따라 관광상품의 특성과 유형이 결정되기 때문에 융합적 성격을 갖고 있다(문화관광연구원, 2013). 따라서 관광콘텐츠로 개발할 수 있는 독특한 소재를 발굴하고 기획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자극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 모델이 구축되면서 융합을 통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비즈니스 영역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관광 산업분야의 융합영역을 확장시키고, 시대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 개발, 서비스 모델 등 다양한 관광전문가에게 올바른 산업융합의 실행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신성장 동력인 말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활용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한다. 말 산업은 생산과 소비의 메카니즘이 1차 산업으로서 생산중심의 농업분야이고 육성중심의 2차 산업으로서 축산업 분야이자 3차 산업의 레저 스포츠, 관광의 한 축인 동시에 생축으로서 말에 대한 것으로 복합적인 영역에 걸쳐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제이론의 틀에 맞추기가 쉽지 않은 말자원(나항주, 2013)의 생산, 유통, 소비, 브랜드화, 마케팅 등 산업화 전략을 강구하는데 구체적 정보로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성과지향적인 관점으로부터 관계지향적인 관광개발의 모델로서 휴먼웨어(humanware)를 강화할 수 있다. 지역주민들 간의 갈등, 행정 주체자들에 대한 불신, 향토성 퇴색 등 관광개발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 전략, 제도, 실행과제 등을 수립하고 상호협력을 도모하는데 실증 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

    넷째, 6차산업화에 대한 잠재력과 가능성이 검증됨으로써 농촌에 새로운 가치를 불러일으키고 고령자나 여성도 새로운 취업 기회를 창출하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특히 사라져가는 지역문화 복원을 통한 자긍심 향상과 공동체 복원으로 주민들의 문화역량의 향상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다양한 가치 및 산업 간의 창조적 결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융합 패러다임 환경에서 관광산업이 적절한 대응력을 갖추기 위해 융합의 패러다임의 이해 및 분석을 통해 융합관광의 실체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융합의 개념을 정립하고 특히 신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마(馬)자원을 중심으로 융합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문화기반 융합관광의 발전모형을 개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융합관광을 고도화할 수 있는 전략 및 미래의 비전을 제안하고자 한다.

    1년차에는 융합관광의 이론적 틀을 정립하여 융합 패러다임의 이해를 통해 융합의 가치를 제안한다. 연구방법론은 의미성분 분석, 내용분석, 개념적 이론화, 내러티브분석, 심층면접 등이다.
    첫째, 인문학, 진화생물학, 기술학 등의 문헌에서 의미성분 분석을 통하여 추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융합의 개념을 문헌연구와 미디어 내용분석을 거친 후 정의한다.
    둘째, 융합관광의 개념을 ‘개념적 이론화’ 과정(이성은·최환석, 2010)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모색하고 이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심층면접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융합관광’의 개념을 정의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융합관광의 개념화에 대한 연구’라는 주제로 국내 및 해외학술지에 논문투고를 목표로 한다.

    2년차에는 융합관광의 형성 과정을 조사하여 융합 패러다임의 가치를 검토한다. 융합자원으로서 마(馬)문화자원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사례를 조사한다. 주요 연구방법론은 질적연구로서 문화기술지를 이용한다.
    첫째, 마문화자원의 의의와 목축의례에 대해 조사한다. 텍스트조사로서 1차적 문헌자료를 조사하고, 지역주민, 향토사학자를 대상으로는 면담 및 전화조사를 활용한다. 이와 함께 마(馬)의 본향(本鄕)을 중심으로 채록, 동영상, 구술 등 다양한 현지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목축문화의 원형을 채집하고 정리한다.
    둘째, 현지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문화기반 융합관광으로서 ‘농어촌신문화공간조성사업’을 추진한 ‘제주가시리마을’의 지역주민, 추진위원장, 문화추진위원장 등을 대상으로 구술사를 수행하여 귀납적 범주분석(Patton, 1980)을 통해 주요이슈를 도출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융합관광의 개발 및 발전과정: 제주가시리마을을 중심으로’의 주제로 국내 및 해외학술지에 논문투고를 목표로 한다.
    3년차에는 2년차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융합관광의 발전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고도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융합 패러다임의 가치를 구체화한다. 주요 연구방법론은 정량적 방법으로서 실증조사를 실시한다. 본 단계에서의 지배적 흐름은 융합관광의 실태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정하여 융합관광의 발전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첫째, 2년차의 구술사 결과를 바탕으로 Weaver(2007)의 융합이론을 적용하여 ‘농어촌신문화공간조성사업’을 추진한 전국의 사업추진지역을 대상으로 융합관광의 실태를 실증조사한다.
    둘째, Kaplinsky & Morris(2000)의 ‘단순 가치사슬’을 적용하여 융합관광으로서의 경쟁력을 평가한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1차산업으로서 문화자원의 기획 및 제작, 2차산업으로서 문화의 가공, 3차산업으로서 문화의 소비(관광서비스)에 대한 개념모델을 설정하고 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이들의 인과관계를 검정하는 한편, 융합의 동인, 유형, 결과와의 상호연관성도 검정한다.
    셋째,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문화기반 융합관광의 발전모형(CCTM: Cultural Based Convergence Tourism Model)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융합관광의 고도화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안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기반 융합관광 발전모형: 마(馬)문화를 중심으로’의 주제로 국내 및 국외 학술지에 투고한다.
    융합 패러다임을 통해 관광의 질적 성장을 모색하고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관광 비지니스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데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지역문화가 관광자원으로 융합되는 과정을 다층적으로 분석하여 문화기반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고도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융합관광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관광의 사례조사를 한 후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였다.
    첫째, 융합관광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산업융합의 의미를 융합에서부터 파악하고, 이 둘의 공통된 속성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의 범주별 특징을 전문가의 심층면접을 통해 개념적 정의를 하였다. 융합관광 개념의 주요 속성은 시장지향, 협력지향, 혁신지향, 가치지향 등으로 도출되었다. 융합관광의 주체는 산업차원으로 시장지향성을 추구하며, 융합의 과정에서는 산업 간의 협력적․수평적 네트워크를 실행하기 위한 협력지향성과 콘텐츠의 창조적 결합을 위한 혁신지향성을 추구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의 결과로는 경제적․사회적 효과를 창출하는 가치지향성을 추구하였다. 융합관광은 지속가능한 관광의 의미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하나의 관광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지역 문화자원이 농촌관광으로 창출되는 과정을 제주가시리 마을주민들의 구술사를 통해 탐색하였다. 참여관찰과 구술 증언, 문헌, 온라인 등의 자료를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여 문화기반 농촌관광의 융합 동인, 과정, 결과를 유형화하였다. 융합의 동인은 생태적 자원, 사회적 자원, 인적 자원 등 지역자원이 도출되었으며, 융합의 과정에서는 네트워킹과 관광콘텐츠화를 통해 지역문화가 재창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의 결과로는 생태문화관광이 창출됨으로써 생태적․사회적․경제적 지속가능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문화자원 기반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였다. 농촌관광 추진에 직접 참여한 마을주민,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추진배경에서부터 결과에 이르기까지 심층면접을 통해 이해하고 이에 기초한 실증조사를 병행하였다. 이어 최종적으로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융합의 동인은 지역자원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는 단계로 내부자원에는 인적자원, 문화자원 등의 요소가 포함되었으며, 외부자원에는 행정지원, 사회자원 등의 요소가 포함되었다. 융합의 과정은 지역문화를 재창조하는 단계로 구성요소로는 고유성, 수평성, 혁신성 등이 포함되었다. 융합의 결과로는 생태문화관광이 창출되는 것으로, 구성요소로는 전통가치의 복원과 미래가치 창출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시장의 다변화, 외연확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의 대응전략을 강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학계, 행정, NTO, 산업 등 다양한 관광분야에서 융합관광에 대한 학술연구, 정책 및 제도, 마케팅, 상품개발 등의 활용방안에 실증 자료로 참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업간 진입장벽 해소, 새로운 산업군 창출, 새로운 고용창출, 산업간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현재 추진 중인 '6차산업화' 지원정책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지역자원과 연계한 6차산업화에 대한 정책발굴과 이의 실행체계를 도출하고, 내생적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사업에 주민과 행정의 협력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관광 창출모형은 새로운 관광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농촌뿐만 아니라 지역에 산재해 있는 독특한 문화를 관광자원화 하는 사례로 검증되면서 성숙단계에 있는 관광시장에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데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형은 지역, 산업, 행정 등이 공진화할 수 있는 모델로 제안될 수 있다. 융합관광은 다양한 주체들이 상호의존적 관계를 통해 추진되기 때문에 관계지향적 특성이 강하다(장혜원 외, 2017).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에서 주체들 간의 수평적 의사결정은 지역, 산업, 행정 등이 서로 공진화하고 이를 통해 공동자본이 형성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culture - based convergence tourism by analyzing multi - layered process of convergence of local culture into tourism resources, and to suggest a strategy to enhance it.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convergence tourism was first established and based on this, a case study of convergence tourism was conducted and then a model for creating convergence tourism was developed.
    First, we defined the concept of convergence tourism. I found the meaning of industrial convergence from convergence and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 focusing on the common attributes of bo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were defined through in - depth interviews with tourism experts. The major attributes of convergence tourism concept are derived from market orientation, cooperation orientation, innovation orientation, and value orientation. The subject of convergence tourism is to pursue market orientation in the industrial level, and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it means to pursue cooperation orientation to implement cooperative and horizontal network among industries and innovation orientation for creative combination of contents. As a result, I sought value orientation that creates economic and social effects. Convergence tourism includes the meaning of sustainable tourism, and furthermore can be seen as a tourism paradigm.
    Second, I explored the process of creat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hrough rural tourism through the oral history of residents of the village of JeJu - Gasiri. Based on the analysis of social contexts, participatory observation, oral testimony, literature, and online, I typified the converging drivers, processes, and results of culture - based rural tourism. The convergence drivers were that local resources such as ecological resources, soci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were derived, and local culture was recreated through networking and tourism contents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As a result of the convergence,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has been maintained through eco-cultural tourism creating.
    Third, I have developed a model to create a convergence tourism based on local culture resources. I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residents and experts who participated directly in rural tourism promotion, from the background to the results, and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based on this understanding. Finally, I have developed a model to create convergence touris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rivers of convergence is to recognize the value of local resources. Human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are included in internal resources. External resources include administrative support and social resourc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drivers of convergence is to recognize the value of local resources. From among these, Internal resources include human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and external resources include administrative support and social resources. The convergence process is a step of recreating the local culture, and its components include authenticity, levelness, and innovation. As a result of the convergence, eco -culture tourism is created and its components include restoration of traditional value and creation of future value.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to find strategies to diversify the tourism market, to expand the market, and to strengthen global competitiveness. It can be used as an empirical data on the utilization of convergence tourism research, policy and institution, marketing, product development etc. in various tourism fields such as academia, administration, NTO, and industry. This will help to eliminate entry barriers between industries, create new industries, create new jobs, and establish industrial cooperation systems.
    Second, it can be applied to the '6th industrialization' support policy currently underway. Especially, it will help to find the policy for the 6th industrialization linked with the local resources and help build the system of cooperation between the residents and the administration in the local projects using the endogenous regional resources.
    Third, the convergence tourism cre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business model of new tourism industry. It can be a new model to create a new growth engine in the tourism market that is in the mature stage as it is verified as an example of tourism resources that are scattered not only in rural areas but also in local areas.
    Fourth, the model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proposed as a model that can cooperate with the region, industry, and administration. Horizontal decision making between actors in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creating social value in this area, industry and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coevolution and the co-capital formation through it togeth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지역문화가 관광자원으로 융합되는 과정을 다층적으로 분석하여 문화기반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고도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융합관광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관광의 사례조사를 한 후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였다.
    1년차 목표는 ‘융합관광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융합관광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하여 융합의 의미를 의미성분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융합과 융합관광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산업융합의 의미를 융합에서부터 파악하고, 이 둘의 공통된 속성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의 범주별 특징을 전문가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맥락으로 분석하는 귀납적 방법을 통해 개념적 정의를 하였다. 융합관광 개념의 주요 속성은 시장지향, 협력지향, 혁신지향, 가치지향 등으로 도출되었다. 융합관광의 주체는 산업차원으로 시장지향성을 추구하며, 융합의 과정에서는 산업 간의 협력적․수평적 네트워크를 실행하기 위한 협력지향성과 콘텐츠의 창조적 결합을 위한 혁신지향성을 추구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의 결과로는 경제적․사회적 효과를 창출하는 가치지향성을 추구하였다. 융합관광은 지속가능한 관광의 의미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하나의 관광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다.
    2년차 목표는 ‘제주 가시리마을의 목축문화 기반 농촌관광 창출에 관한 연구: 융합관광의 관점에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문화자원이 농촌관광으로 창출되는 과정을 제주가시리 마을주민들의 구술사를 통해 탐색하였다. 1년 6개월 동안 참여관찰을 하였고, 구술 증언, 문헌, 온라인 등의 자료를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여 문화기반 농촌관광의 융합 동인, 과정, 결과를 유형화하였다. 융합의 동인은 생태적 자원, 사회적 자원, 인적 자원 등 지역자원이 도출되었으며, 융합의 과정에서는 네트워킹과 관광콘텐츠화를 통해 지역문화가 재창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의 결과로는 생태문화관광이 창출됨으로써 생태적․사회적․경제적 지속가능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차 목표는 ‘지역문화기반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에 관한 연구: 제주도 농촌관광의 관점에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리의 마(馬)문화자원이 관광자원화되는 과정을 농촌관광의 구조와 내용의 통합적 분석을 통해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였다. 농촌관광 추진에 직접 참여한 마을주민,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추진배경에서부터 결과에 이르기까지 심층면접을 통해 이해하고 이에 기초한 실증조사를 병행하였다. 이어 최종적으로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융합의 동인은 지역자원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는 단계로 내부자원에는 인적자원, 문화자원 등의 요소가 포함되었으며, 외부자원에는 행정지원, 사회자원 등의 요소가 포함되었다. 융합의 과정은 지역문화를 재창조하는 단계로 구성요소로는 고유성, 수평성, 혁신성 등이 포함되었다. 융합의 결과로는 생태문화관광이 창출되는 것으로, 구성요소로는 전통가치의 복원과 미래가치 창출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계, 행정, NTO,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관광에 대한 학술연구, 정책 및 제도, 마케팅, 상품개발 등의 활용방안에 실증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지역자원과 연계한 6차산업화에 대한 정책발굴과 이의 실행체계를 도출하고, 내생적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사업에 주민과 행정의 협력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관광 창출모형은 새로운 관광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형은 지역, 산업, 행정 등이 공진화할 수 있는 모델로 제안될 수 있다. 주체들 간의 수평적 의사결정은 지역, 산업, 행정 등의 공동자본이 형성되어 사회적 가치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시장의 다변화, 외연확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의 대응전략을 강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학계, 행정, NTO, 산업 등 다양한 관광분야에서 융합관광에 대한 학술연구, 정책 및 제도, 마케팅, 상품개발 등의 활용방안에 실증 자료로 참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업간 진입장벽 해소, 새로운 산업군 창출, 새로운 고용창출, 산업간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현재 추진 중인 '6차산업화' 지원정책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지역자원과 연계한 6차산업화에 대한 정책발굴과 이의 실행체계를 도출하고, 내생적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사업에 주민과 행정의 협력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관광 창출모형은 새로운 관광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농촌뿐만 아니라 지역에 산재해 있는 독특한 문화를 관광자원화 하는 사례로 검증되면서 성숙단계에 있는 관광시장에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데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형은 지역, 산업, 행정 등이 공진화할 수 있는 모델로 제안될 수 있다. 융합관광은 다양한 주체들이 상호의존적 관계를 통해 추진되기 때문에 관계지향적 특성이 강하다(장혜원 외, 2017).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에서 주체들 간의 수평적 의사결정은 지역, 산업, 행정 등이 서로 공진화하고 이를 통해 공동자본이 형성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융합관광, 융합, 통섭, 산업융합, 성분분석, 개념화, 심층면접, 내용분석, 시장지향, 협력지향, 혁신지향, 가치지향, 농촌관광, 마을만들기, 신문화공간조성사업, 구술사, 증언 구술, 가시리마을, 목축문화, 제주조랑말체험공원, 융합이론, 생태문화관광, 6차산업화, 지속가능한 관광, 지역문화, 지역문화기반 융합관광 창출모형, 융합 동인, 융합 과정, 융합 결과, 생태문화관광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