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글로컬문화와 지역발전
Glocal Culture and local Develop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4638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장원호
연구수행기관 서울시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익기(동국대학교)
남기범(서울시립대학교)
김기덕(건국대학교)
배상준(성신여자대학교)
김동윤(건국대학교)
김설아(고려대학교)
송정은(서울시립대학교)
이병민(건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전의 단순한 세계화와는 다른 유형의 문화접변 및 혼종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문화의 변동시대에 다양한 초국적 문화소비 및 커뮤니케이션이 나타남. 이러한 현상을 토대로 이전의 협의의 '지역'이 아닌 글로컬 단위의 중층적이면서도 다양한 광의의 지역발전에 대한 담론이 필요함. 특히 글로컬 문화에 의한 지역발전은 문화산업 및 콘텐츠를 통한 단기적 경제적 이해관계를 넘어서 초국적 로컬리티가 연결되어 문화와 인적교류를 통한 문화공동체를 형성하며, 사회적 자본의 증진, 창조적 문화콘텐츠의 개발 등을 통한 장기적 경제효과 등을 의미하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효과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을 의미함.
    본 연구는 글로컬 문화와 지역발전을 위한 문화공동체의 발전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연구로서 한류 3.0과 글로컬 헤리티지 기반연구의 세부 핵심연구주제의 조화를 통해 실질적인 학문적 연구 성과를 달성하고 이를 정책과제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 과정에서 글로컬 문화 수요자의 소통역량과 이해관계자들의 융·복합역량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학제 간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전문화하여 본 연구단이 글로컬 문화 연구의 국제적 허브가 되는 것이 본 연구단의 장기적인 목표임. 본 연구단은 향후 글로컬융합문화연구원을 창설하여 글로컬문화와 지역발전을 위한 국제협력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네트워크 간 연계협력 연구를 확대할 것임. 더 나아가 본 연구단은 글로컬 문화와 지역발전의 성과 확산에 필요한 제도적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향후 이 분야의 전문가 인력 양성을 위한 시스템을 확충하고 그 기능을 강화하고자 함.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학문적 기여도와 사회적 기여도로 나눌 수 있음.
    먼저 학문적 기대효과는 클로컬 문화와 네트워크 로컬리티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고, 그 두 개념 간의 관계를 한류 3.0과 헤리티지라는 실질적인 소재를 중심으로 구체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창의적이면서도 현실적합성 있는 연구성과를 창출한다는 것임. 또한 해외 네트워크 간의 다양한 협력연구를 통해 북미, 유럽, 아시아 등의 다양한 공간에서 글로컬 문화의 창달이 지역발전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제시할 것임. 더 나아가 연계주제의 연구로서 글로컬 문화를 통한 문화산업의 변화와 가치상승, 글로컬문화와 사회적 자본의 증진 등의 새로운 연구주제를 학계에 제시함으로써 글로컬문화 담론과 관련된 연구의 지평을 넓힐 것임.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대효과는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국가와 지역단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함. 이 과정에서 문화기관(정부, 공공, 민간 영역)들의 자료 공유를 통한 네트워크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또한 현재 문화산업은 그 규모가 미국시장에서만 약 1조 달러에 이를 정도로 거대하게 성장하였는데, 이 문화상품은 글로컬 문화소통의 결과물로 해석되고 있음. 본 연구는 향후 글로컬 소통을 위한 방안울 제시함으로써 문화산업을 통한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임. 또한 본 연구단의 글로컬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제간 다전공, 연계전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육과 연계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전문적인 문화전문가의 훈련과 교육을 확산하는데 기여할 것임. 더 나아가 글로컬 문화를 통하여 지역 간의 연계협력, 기초지자체와 광역지자체의 연계, 글로벌 연계 등, 각각의 정부단체들이 다양한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연계망구조를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임.
  • 연구요약
  • 본 연구단은 먼저 글로컬 문화의 관점에서 한류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연구할 것임. 즉 글로벌화의 과정에서 한국적 특수상황에 의해 탄생한 한류를 대표적인 글로컬문화로 정립하고 한류가 초국적으로 수용되는 현상은 글로컬 문화커뮤니케이션으로 분석할 것임. 이 과정에서 한류 3.0이 표방하는 한국의 전통문화, 디지털문화, 일상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포괄적으로 실시하여 기존의 드라마 및 K-POP 위주의 한류연구에서 벗어나 일상적 글로컬 문화의 형성과 초국적 소비라는 영역의 새로운 주제로 연구를 확장할 것임. 또한 한류의 일방향적 확산을 넘어 향후 한류가 어떻게 수용지역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 국제적 문화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지를 연구할 것임. 이를 위하여 국제공동협력의 필요성과 그 현황, 그리고 향후의 방향 등을 제시할 것임.
    글로컬 헤리티지의 연구는 본 연구단의 또 다른 중요 축인데, 여기서 ‘글로컬 헤리티지’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공간에 존재하는 지역 헤리티지(Regional Heritage와 국제적인 등재와 보존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유네스코 유산(Unesco Heritage)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 본 연구단은 글로컬 헤리티지를 창조도시론 및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파악하고 글로컬 헤리티지를 통한 지역공동체 상생, 한류 3.0 활성화, 세계이야기 산업과의 연계 등의 주제를 분석할 것임. 이를 통해 글로컬 문화가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신성장 동력으로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할 것임.
    본 연구는 창의적인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위의 연구주제를 분석할 것임. 먼저 글로컬 문화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양적으로 계측하는 도구로 소셜미디어의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하는 빅데이터 조사 및 분석 방법론을 활용할 것임. 또한 인문정보와 사회과학의 디지털 융합의 방법이라 할 수 있는‘디지털 휴머니티(Digital Humanities)’ 기법을 통해 수집한 문화콘탠츠를 정보화, 시각화, 산업화의 삼단계의 측면으로 정리 및 분석할 것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글로벌 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문화가 다시 초국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글로컬 문화 현상이 등장하였다. 이는 중심국가에서 주변 국가로 영향력이 일방향적으로 전파되던 과거와 달리 각 지역의 문화들이 창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지역을 넘어 소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대표적인 글로컬 문화현상은 외국의 팝 문화를 한국에서 새롭게 해석하여 다시 세계로 전파한 한류를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류와 글로컬 헤리티지를 주제로 하여 글로컬 문화 현상과 지역발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는 주제에 따라 실증연구, 사례연구, 해외 기관과의 연구교류를 통해 진행하였고, 연구결과는 60편의 논문과 7편의 단행본 발표, 50회가 넘는 학술활동을 했으며, 7건의 MOU를 맺었다. 연구를 통해 글로컬 문화라는 새로운 학문 개념을 정립하였고, 한류 및 헤리티지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한류를 바탕으로 한 글로컬 문화공동체와 콘텐츠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이는 한국문화라는 브랜드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류 및 헤리티지, 글로컬라이제이션, 문화와 지역발전 등 사회 이슈에 대한 실용적 접근을 통해 국가와 지역사회에 도움 되는 정책적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 영문
  •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the phenomenon of glocal culture where local culture is transnationally spread and consumed. This is a cultural phenomen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in which one-sided influence exerted from core country to peripheral region. The most representative glocal culture phenomenon is ‘Hallyu’ that reinterpreted foreign pop culture in terms of Korean contexts and spread to the world again. Therefore, this research about Hallyu and local heritage focused on glocal culture and its influence on local develop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empirical studies, case studies, and research collaboration with overseas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clude 60 papers, 7 book publications, more than 50 academic activities, and 7 MOU’s. Through the research, the new concept of ‘glocal culture’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Hallyu and heritage research has been presented. In addition, the resear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cultural community on which Hallyu is based. The research also contributes to the brand improvement of Korean culture and to the policy-oriented research by pragmatic approach to social issues such as Hallyu and heritage, gloc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regional develop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 연구의 소형과제를 확대한 것으로 연구의 중점을 국내외 지역문화의 흐름 및 발전 동향 파악에 둔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과거와 같이 선진국의 문화가 주변 국가로 일방적으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 국가의 지역 문화가 다시 초국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현상이 등장하였다. 그 결과 국가보다는 지역이나 도시 공간이 경제/문화 교류에 더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한류는 외국의 팝 문화를 한국 내에서 새롭게 해석하여 다시 세계에 전파된 글로컬 문화현상의 대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류와 지역의 헤리티지를 중심으로 초국적으로 생성되는 지역성 및 문화공동체 변천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심화 사례 연구 및 국제적인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컬 시대 지역 발전을 위한 실용적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글로컬 문화 관련 연구 아젠다를 확장 및 심화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글로컬 문화와 지역발전에 관한 다양한 연구시각과 성과를 세계 대학 및 연구자와 교류하고 국제협력센터로 발전을 도모하였으며 연구 심화 확대를 위한 성과 발표, 논문 게재 및 네트워크 확장을 가져왔다.
    또한, 본 연구로 글로컬 문화라는 새로운 학문적 개념 정립은 물론 한류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공동체의 활성화에 기여하며, 지역콘텐츠로서 사회적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할 수 있음. 또한, 사회적 이슈의 다양한 접근을 통해 우수한 연구 인력 배출과 양성에 기여한다.
  • 색인어
  • 글로컬 문화, 지역발전, 헤리티지, 한류, 문화콘텐츠, 지역콘텐츠, 글로컬라이제이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