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十天干十二地支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n ten heavenly branches and twelve earthly stem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저술성과확산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6A4A02027228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07월 01일 ~ 2016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혜경
연구수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확장의 목적
    본 연구자는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易 · 歷 ·曆의 순환 반복 서수 부호체계이며 천문, 지리, 인사의의 정황 판단 이해 부호 문자로서 우리 문화의 중요한 근저를 이루고 있는 십간십이지(간지)에 대하여 철학적, 문자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삼고, 그 연구 결과물을 바탕으로 하여 간지를 이해체계로 사용하는 제반의 학문, 예를 들어 한의학, 풍수학, 민속학, 전통문화, 등에서 참고서로서의 가치를 지닌 단행본을 발간하는 것을 최종의 목표로 삼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교수로서 계속된 연구 실적과 지금까지 연구해온 미발표 자료들을 수정 보완하고 토대로 삼아 한 권의 기초적인 학문, 교양 저술로서 결과물을 내고자 한다.
    같은 역의 부호로서『주역』에서의 64괘는 序卦의 구조에서 易의 순환반복성을 가지고 있음이 지금까지 연구에서 이미 확인되는 등, 많은 연구와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같은 易의 부호체계인 간지자에 대한 연구는 그리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간지자의 字形과 含意에서 역의 속성을 고찰해서 그 결과물을 학위 논문으로 제시했었다.
    십간십이지는 한국은 물론, 한자문화권에서 조선시대까지 년, 월, 일, 시를 표시하는 단순한 캘린더(曆)로서 생활과 밀착되어 온 서수문자이다. 또한 하늘의 기운을 나타내는 天干, 그리고 十二支獸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하늘의 기운을 땅에 품고 있는 십이지지자는 문화적 이해 부호체계로서 우리들의 생활, 문화 리듬에 상당한 영향을 끼쳐왔다. 해와 달의 운행이란 의미에서 歷과 曆은 같은 개념에서 시작되었지만 ‘지나다, 스치다, 운행하다, 경험하다’의 의미로부터 사용된 歷의 부호인 간지는단순한 캘린더의 의미에서의 曆과 분리되어 사용되어 오면서 스스로의 歷史性과 민속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고대 동아시아인들은 하늘, 땅, 그리고 인간은 같은 법칙과 체계 속에서 살아간다고 생각하였으며, 서로 상응 관계 속에 있다고 믿어 왔다. 이 상응관계의 중요한 해석의 틀 중에 간지를 셋을 모두 아우르는 하나의 부호체계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天干이 나타내는 하늘의 기운과 땅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地支, 그 공간과 시간 속에서 활동하는 인간과의 관계성을 간지자 속에 모두 포함하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干支가 易의 이해체계에서도 부호 문자로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역학을 연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그 간지자 자체가 어떤 주술적, 혹은 재이적인 힘을 가진 글자로 믿거나 견강부회하고 있거나 혹세무민을 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자는 단행본을 통해 간지자의 생성 과정 등 제반의 사실들을 고찰해서 밝히고 간지에 대한 잘못된 인식들을 불식시키고자함이 첫째의 목표이다.
    다음으로 고구려 소수림왕 2년에 간지가 도입되었다고 추정되는 이후로 우리 문화 전통 속에 녹아 있는 간지자의 실용성에 정확성을 주고 견강부회한 학대 해석을 방지하기 위함이 두 번째 목표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로 간지는 토속화되면서 인격, 혹은 신격화 되고 나아가서 미신적 경향으로 흐르게 되어 경시되어 왔음이다. 이를 위해 간지 생성의 역사, 字源, 字意, 시대에 따른 字形의 변화(甲骨文-金石文-篆文-古文) 등의 고찰은 전통문화 콘텐츠로서의 역할에서 정확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십이지지에 부여된 十二支獸에 대하여 字形(甲骨文-金石文-篆文-古文)의 연구와. 십이지수가 가지는 속성과 상징성의 정리, 연구는 전통문화와 한국학에서 중요한 문화 콘텐츠를 도출해내는 기초 참고서가 되리라 믿으며, 정확한 학문적 근거는 견강부회한 확대 해석을 방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간지자의 연구는 종주국이라고 추정되는 중국을 제외하고라도, 일본에 비해 학구적인 연구가 아주 미흡하며 한국어로 된 학술 저술이 미비한 점을 감안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확산하여 한 권의 책으로 출판하고자 하는 계획으로 본 사업에 계획서를 제출하고자 한다.
    철학 분야에서 한국에서는 사상적 연구가 활발한 반면에 학문의 근저를 이루는 소학적인 분야에서의 연구는 소외되어 왔고 아직까지 미비하다고 믿고 있다. 이 기초적인 소학분야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정하고, 간지자에 대한 기본 연구서를 냄으로써 이 소학분야의 기초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함이 세 번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십간십이지에 대한 기초교양 학술서를 출판함으로 제반 전통문화및 학술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연구 기간 동안 발표된 논문들을 바탕으로 앞으로 발간된 단행본은 간지에 대한 기초, 소학적인 학술 연구서가 될 것이다.
    간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미비한 단계이다. 일본에서는 1998년에 발간된 水上靜夫의『干支의 漢字學』이라는 간지자만을 위한 전문 서적이 발간되었고 이미 1920년대부터 고천문, 소학적인 연구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干支의 漢字學』는 간지자의 한자의 문자학적인 측면을 중점으로 두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간지의 전문학술서는 아직 보이지 않고 十二支獸의 각 띠 동물들에 대한 민속학적인 서적이 이어령에 의해서 일 년에 한 권씩, 지금까지 호랑이, 토끼, 용, 등에 관한 서적이 출간되었다. 한국 민속을 중심으로 한 십이지수의 저서도 필요하지만 간지의 제반의 주제, 다시 말해 철학사상과 소학적인 문자학에 중요성을 두고 연구 정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기본 지식 참고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2. 연구결과의 정보는 전문 연구자들의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다시 말해 간지
    를 기본 이해체계로 사용하는 제반의 학문, 예를 들어, 한의학, 풍수학, 전통문
    화, 민속학 한국학, 등에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간지가 한국에 도입된 이후로 한국에 토착화 되면서 인격화, 신격화 되어 미신적인 경향으로 흐른 경향이 있다. 또한 간지자를 이해체계로 사용함에 있어서 그 기본적인 글자의 함의와 속성을 일지 못하고 실용함으로써 근거가 없는 자료로써 학문의 정확성과 충실성을 상실할 수 있다. 그럼으로 학문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연구서의 제시는 정학한 연구의 자료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3.올바른 간지에 대한 역사, 자형, 자의의 해석은 干支字에 대한 올바른 개념확
    립을 가능하게 하여 올바른 문화적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고 전통문화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해가 바뀔 때마다 간지자를 이용한 문화콘텐츠나 모티브를 쉽게 볼 수 있다. 물론 창조적인 예술성을 요구하지만, 그 근거는 정확함을 추구해야 한다. 그럼으로 간지자와 十二支獸 의 자형변화의 고찰은 정확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간지자의 문화콘텐츠 창조에 있어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십이지수의 속성과 상징성을 고대 전적을 바탕으로 한 고찰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 개발에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4. 흥미위주나 비과학적인 대중문화의 콘텐츠에 기초적 증거자료를 부여함으로
    견강부회한 해석을 방지하여 신뢰성 있는 학문으로 지향할 수 있다.
    비근한 예를 들어 지난 2008년은 丁亥年이었으나 황금돼지해라는 매스컴의 발표는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었다. 이러한 잘못된 해석은 많은 사회적 영향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간지자 자체가 어떠한 영성을 가진 것으로 해석하는 미신적인 해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근래의 한국학의 세계화는 한국 전통문화 콘텐츠자료에 정확, 충실성이 요구되며 이미 문화의 근저를 이루고 있는 간지자의 학문적 연구 자료는 한국문화 정통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 연구요약
  • 연구요약
    본 연구의 핵심은 지금까지 연구자가 발표한 연구 논문인 박사학위 논문, 학술지에 발표한 기 논문들과 앞으로 이번 연구년도에 발표할 육십갑자에 대한 논문을 총 망라하고, 본 연구의 주제를 확산하여 십천간십이지지에 관한 문자학적, 철학적, 역사적 사항을 연구 정리하여 한 권의 기초 교양 참고서를 만들기 위함이다.
    참고문헌을 통해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총5장으로 나누고자 한다. 제1장 간지란, 제2장 십간 제3장 십이지지, 제4장 간과 지의 배합과 운용, 제5장 음양오행총론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제 1장 干支란-- 1)고대인들의 무한의 영속성과 순환의 역개념 성립배경, 2)干支의 발생 배경, 3)干의 의미,4)支의 의미, 5)十과 十二라는 數의 의미
    제 2장 十干-- 1)십간의 기원, 2)십간의 배경-殷나라의 世系圖, 3)십간의 내용, 4)십간과 天文學 등과의 관련성, 5)십간의 이름과 각 문자 변화 과정 --1.甲 2.乙 3.丙 4.丁 5.戊 6.己 7.庚 8.辛 9.壬 10.癸,-- 6)십간의 사용에 대한 문제점, 7)易으로서의 십간-십간의 순환에 대한 뜻의 방증
    제3장 十二支--1)십이지의 기원, 2)십이지의 배경, 3)십이지의 내용, 4)십이지와 천문-하늘의 十二歲次와의 대응 관계, 5)십이지와 24절기, 6)십이지지의 地藏干, 7)십이지 이름과 각 문자 변화 과정-- 1.子 2.丑 3.寅 4.卯 5.辰 6.巳 7.午 8.未 9.申 10.酉 11.戌 12.亥,-- 8)십이지의 배열 순, 9)십이지의 각종 배당, 10)十二生肖, 11) 역으로서의 십이지-십이지의 순환에 대한 뜻의 방증, 12) 십이지와 十二辟卦,
    제4장 干과 支의 配合과 그 運用 --1) 간지의 발생, 2) 생활의 기록(歷과 曆)으로서 간지, 3) 간지의 응용, 4) 간지의 배열 및 육십갑자, 5) 납음갑자
    제5장 陰陽五行思想 總論 --1)음양오행사상이란? , 2)음양설, 3)오행설, -- 1.오행의 생성 기원과 역사적 배경, 2.오행의 속성, 상생과 상극, 3.오행설의 발생과 붕괴, 4.오행설에 대한 비판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