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시민사회의 시민행동지수(CAi)조사 및 NGO활동 DB구축
Establishing Civic Action Index and Database of NGO Activities in the Korean Civil Socie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4295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남섭
연구수행기관 한일장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노진철(경북대학교)
조철민(한일장신대학교)
이창언(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도균(충남대학교)
박상필(성공회대학교)
이민창(조선대학교)
김정희(부산대학교)
이정옥(대구가톨릭대학교)
차명제(한일장신대학교)
공석기(서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중형단계의 목표는 1단계(소형)의 서구모형에 대한 실험적 적용에서 드러난 한계를 주목하고 보다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아래로부터의 접근에 기초하면서 객관적인 지수와 주관적 지수를 결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국시민사회의 역동성을 전국적 차원에서 측정하고 이를 통해 한국시민사회의 지형도 변화를 장기적 관점에서 전망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임
  • 기대효과
  • 본 연구결과는 다음 네가지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첫째, 학문적 차원에서 이 연구는 한국시민운동과 시민행동연구에 필요한 적실성 있는 측정모형의 개발을 통한 국내 시민운동의 역량에 대한객관적 측정, 한국NGO의 문화와 제도에 대한 체계적 조사 및 한국 NGO의 지형도와 DB구축 그리고 한국시민사회의 이니셔티브에 의한 아시아 시민사회의 비교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먼저 이 분야의 학자들의 연구에 필요한 지적토대와 총체적 지식을 제공한다. 그리고 추후 국내NGO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연구, 아시아 및 세계시민사회에 대한 국제적 비교연구를 촉발할 자료와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차원에서 이 연구는 한국시민운동에 대한 객관적 분석내용을 제공함으로써 지역별, 활동영역별 시민사회나 국제협력과 관련하여 글로벌 거버넌스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거버넌스의 실험적 실행이나 아시아 시민사회의 비교연구는 앞으로 실용적인 거버넌스 전략모델을 제공하고, 한국시민사회의 국제적 리더십에 필요한 시민사회, 시민운동, 시민행동, 자원봉사 등의 분야에서 연구와 활동의 허브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전체주제는 지구화 및 거버넌스 시대에 대응한 글로벌 한국시민사회의 체계적 조사 및 지구시민사회의 허브구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10년간의 장단기 연구계획을 단계별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소형)에서는 한국시민운동의 측정모형을 개발하여 광주와 전라북도의 시민운동을 시험적으로 축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별, 활동영역별로 비교한다.
    제2단계(중형)에서는 연구범위를 확대하여 전국의 시민행동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별, 활동 영역별로 비교한다. 그리고 전국 NGO의 문화와 제도를 조사하고, 전국 NGO의 의미를 구축한다.
    마지막 3단계(대형)에서는 연구범위를 해외로 넓혀 해외 한인사회의 시민행동을 측정하고, 한인사회 NGO의 지도와 DB를 구축한다. 동시에 지방, 국가, 지구적 차원에서의 거버넌스 모델을 실험적으로 운영하고, 아시아 시민사회의 NGO문화와 제도를 조사하며, 아시아시민사회의 허브구축 전략을 제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의 시민행동 지수(CAI)를 개발하여 한국의 시민사회를 조사 검토하였다. 시민행동지수를 개발하여 한국시민사회를 진단하고자 하는 이유는 국가실패와 시장실패 이후 시민사회에 대한 기대와 역할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일장신대 SSK-NGO연구단은 공동개발한 시민행동지수(CAI)를 전국8개 권역을 대상으로 한국시민사회단체의 역량을 측정하였다. 시민행동지수는 크게 사회운동성, 환경적응성, 지속가능성, 정치제도적 조건 등 4가지 차원과 각 차원에 해당되는 28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3개차원은 내부적 요인이고 1개 차원은 외부적 요인이다. 분석결과 서울중앙의 시민사회단체는 정치제도적 조건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반면에 지방의 시민사회단체는 중앙수준의 정치제도적 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지만 기초단위에서의 정책 파트너십을 발휘하였다. 한국시민사회단체가 자신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방식-중앙중심의 강한 갈등정치-을 뛰어 넘어 다양한 층위에서 발생하는 기회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그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d CSOs of Korea. The social demand has increased toward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especially after the failure of the state control and market freedom. Hanil Presbyterian Theological University SSK-NGO research team has developed the index(HASK CAI) to measure the capacity od CSOs. HASK CAI is composed of 28 indicatord at four areas of social activism, sustainability, adaptability, and opportunities. HASK CAI has covered 3 internal capacities -activism, adaptability and sustainability and one external capacity such as opportunity.
    The outcome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while the CSOs at center of Seoul keep more flexible relaionship with the government, the CSOs at the periphery are more likely to be contentious with the core but keep more flexibl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government.
    Given these, Korean CSOs should overcome their own inertia of center-oriented contentious politics and actively mobilize an innovative strategy in the context of nested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The research team shared the common concern on strengthening CSOs as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NGO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본래 다음 다섯가지 장기적인 연구비전과 목표를 지니고 있었다. 첫째, 시민사회단체의 시민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모형 혹은 지수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모형을 이용하여 시민사회단체의 시민행동지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해 본다. 셋째, 국내 시민사회단체의 문화와 제도를 전국 8개 권역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연구한다. 넷째, 전국수준에서 시민사회단체의 지형도를 그려본다. 마지막 다섯째, 장기적으로 다양한 차원의 거버넌스 운영과 시민사회에 대한 국제적 비교연구로 나아간다. 본 연구의 과정은 소형, 중형, 대형 등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상의 장기적인 연구비전과 연구목표의 연계선상에서 수행한 2단계(중형)의 연구비전과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비전은 한국시민행동지수(Civic Action Index)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시민사회를 객관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밑으로부터의 접근을 방식을 통해 시민행동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한국시민사회단체의 시민행동지수를 정량적 수준에 파악해 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시민사회에 관한 심층적인 분석과 함께 이러한 측정 모형을 국제적 비교 조사 연구로까지 확장할 수 있는 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증형 1차년에는 주로 시민운동가 및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지역별 FGI(FGI: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시민행동지수 개발에 집중하였다면, 2차년도에는 연구단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시민행동지수를 활용하여 전국적 차원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지역별 시민사회 혹은 시민사회단체에 관한 통계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학문적, 사회적 및 교육적 효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문적 차원에서 시민운동 및 시민행동연구에 필요한 적실성 있는 글로벌 측정모형 개발 및 실질적 비교 분석 그리고 실증적 연구 축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시민행동지수 개발 및 NGO DB 구축사업은 한국사회의 역동적 발전과정을 가장 적확히 보여주는 연구사업이며, 본 연구 결과는 사회학을 비롯하여 정치학, 행정학, 경여학 등에 이론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시민교육/시민역량/지속가능한 시민사회단체 등을 고민하는 시민사회운동단체는 물론 지방정부의 민주적 거버넌스와 지역공동체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사회적 차원에서 한국정부와 시민사회의 국제협력과 관련하여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적 허브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전략제공에 기여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교육적 차원에서 NGO분야 차세대 전문인력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넷째, 본 연구는 한국시민사회, 해외 한인사회 및 세계 시민사회에 대한 다차원적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발표하고 단행본으로 출판하여 이 분야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시민운동단체의역량측정 지표는 NGO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대학원 학생들이 지역사회 시민운동 현장에서 이 지표를 활용하여 공동으로 각 단체의 역량을 측정 실험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시민사회, 시민운동, 시민행동, 시민행동역량, 시민사회단체, 시민사회지표, 시민행동지수, 사회운동성, 지속가능성, 환경적응성, 정치제도적 조건, 지방정치, 정치적 보수화, 경기지역, 서울지역, 충청지역, 부산 영남지역, 대구 경북지역, 전북지역, 광주전남지역, 강원지역, 제주지역, 주민운동, 포스트87체제시민운동, 중간지원조직, 지원활동유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