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사용자의 태도 및 행동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Convergence and Divergence', A Longitudinal Study on the User's Attitude and Behavioral Chang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2016719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경자
연구수행기관 국립순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기술, 산업, 서비스(기능) 등이 서로 간의 경계를 넘어 결합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융합의 전성기, 컨버전스 시대(convergence era)이다. 시대의 흐름에 맞게 세계경제는 융합시대로 급속히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에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이 교량역할을 하고 있다. ICT는 타 산업의 생산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인프라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기존 산업의 기술, 제품, 서비스 등을 재조합하여 새로운 가치(synergy)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ICT 발달에 따라 그동안 정보(Information)가 가지고 있던 제한적 의미는 ‘smart’로 확장되어, 사물인터넷 시대에 이어 만물인터넷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컨버전스 열풍 속에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가치창출을 위해 혁신과 변모를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항상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통화만 되는 휴대폰, 사진만 잘 찍히는 카메라, 시간만 알려주는 시계 등 다시 예전의 '단품' 중심의 경향도 보이고 있다. 즉, 피할 수 없는 대세가 될 것 같던 컨버전스 흐름 속에 다양한 분화 현상을 일컫는 디버전스(divergence)가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컨버전스란 서로 다른 이질성의 ‘통합’, ‘융합’이며, 디버전스는 ‘분리’ 또는 ‘개별화(fragmentation)’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전적 의미에서 보면 서로 대척점에 있는 개념으로 보일 수 있으나, 컨버전스와 디버전스는 디지털 기술을 매개로 하는 불가분의 관계로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은 멀티 플랫폼을 통한 상품과 서비스의 번들(bundle)로 이어져 전통적인 개별 재화(용역)와의 소비 대체성과 연결될 수밖에 없다. 또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은 혁신기술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테크노스트레스와 같은 부담감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맹점으로 인해 디버전스와 공존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컨버전스와 디버전스는 서로 상호전제가 되는 순환적 관계로 하나의 현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기존의 컨버전스 관련 선행연구들은 주로 기술과 기능통합적인 측면에서 논의를 확장시켜 왔을 뿐, 디버전스에 대해서는 간과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컨버전스 제품과 디버전스 제품 사용에 대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인식 및 행동 변화추이를 통해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공존에 대한 전체적인 시각을 확보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컨버전스 개념의 범위에 관한 재정립에 있다. 그동안 기술, 네트워크, 산업, 서비스(기능)과 같은 기술적 관점에서 논의되던 컨버전스 개념의 범위를 확장시켜, 실제 이를 사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역량과 같은 문화적인 관점으로 이해하고, 그 구성개념들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둘째, 컨버전스 제품 수용(구매)의 영향요인을 밝히고, 수용 후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반응과 평가에 기초하여 컨버전스 제품 사용-확산을 촉진하는 요인과 억제시키는 저해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셋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평가가 향후 사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긍정적인 경험의 경우, 지속적인 사용 및 추천 구전의 의도를 가질 것이며 부정적인 경우에는 사용중단이나 전환행동, 불평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넷째,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간의 전환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매개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소비의 대체성이라는 측면에서 컨버전스와 디버전스는 양면시장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곧 컨버전스 제품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불만족으로 인해 디버전스 제품 사용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에 기대불일치이론, 인지부조화이론, 심적회계이론을 토대로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이성적인 측면과 심리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평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다섯째, 컨버전스 수용 후 사용과정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컨버전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인지적 의사결정과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여섯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컨버전스 제품 수용 및 사용행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일곱째, 컨버전스 제품 사용으로 발생된 테크노스트레스가 디버전스로의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화시켰을 때 시간의 경과에 따른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
    여덟째, 이상과 같은 일련의 변화과정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컨버전스와 디버전스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컨버전스와 디버전스’는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는 불가분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호보완적인 연결선상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의 경향은 상대적으로 컨버전스에 치중해 있으며, 컨버전스 관련 선행연구들의 주된 관심은 사용자보다 기술과 기능에 맞춰져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컨버전스 제품 사용자의 인식과 태도, 행동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종단분석을 통해 실증함으로써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양가성에 대한 담론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연구와 차별적인 접근으로, 컨버전스 패러다임의 본질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보다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그동안 각분야의 관점과 접근방식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되어 왔던 컨버전스의 개념과 범위, 유형등을 재정립함으로써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점’의 면밀한 논의는 실질적인 컨버전스 본질을 이해하고 개념을 재 정립하는 시도로 이어질 수 있다.
    - 정보시스템관점에 마케팅, 심리학 분야의 이론을 활용함으로써 학제 간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다.
    - 정보시스템 분야에서는 그동안 혁신기술 수용 및 사용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횡단연구로써 실제 시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화를 충분히 예측할 수 없으며, 무엇보다 '컨버전스와 디버전스'의 연결을 설명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학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혁신제품 사용과 관련된 행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합리적 선택이론, 기대불일치,인지부조화, 심적회계이론 등을 통해 인지적 의사결정과정과 함께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실무적인 활용으로, 컨버전스 제품 수용 및 사용 영향요인을 토대로 제품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전략 및 제품 컨셉의 단초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제품 사용행동 비교를 통해 하이엔드/로우엔드 시장 포지셔닝과 차별화된 관계마케팅을 실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수준을 조정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와 차별화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기술관련 관리자 측면에서는 가치분석이나 가치공학 등과 같은 기법을 통해 혁신적으로 제품의 질적․기능적 요소들을 검토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불필요한 소비자 가치를 혁신적으로 제거하고 필요한 소비자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제품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마케팅 관련 관리자 측면에서는 타당성과 효율성을 가진 소비자 관련 정보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소비자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소비자 관련 자료를 보다 정교하고 구체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구조화한 다음,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와 기대의 우선순위나 유효요인 등을 파악해야 한다.
    -컨버전스 활성화 요인 및 저해요인을 활용한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 리터리시를 강화시키는 방안을 촉구하여, 컨버전스 제품 사용에 있어서 테크노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적극적인 사용으로 큰 효용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 관점에서는 기존 업계 및 이론적 측면의 컨버전스 연구를 소비자 측면에서 검증함으로써, 이러한 연구 자료를 토대로 업계 및 소비자에 적합한 정책 및 제도의 구현에 가이드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연결고리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확립하고 사용자들의 문화적 변화를 통해 컨버전스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용자의 인식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종단적 분석이 요구된다. 실증에 앞서, 연구모형과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컨버전스 제품 관련 문헌고찰과 연구현황을 검토하고 혁신기술 수용 및 사용에 관한 연구와 사용중단, 전환행동과 같은 저항(회피)에 관한 이론고찰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의 인지적 의사결정과 심리적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는 사회심리학, 미디어학, 마케팅 분야 등 유관분야의 이론과 문헌을 통섭하여 유용한 변인을 도출하고 구조적인 관계를 설정한다. 그리고 인터뷰방법과 사전조사를 통해 측정도구의 정교화를 기한다. 또한, 본 연구의 최종목표인 컨버전스와 디버전스의 연결성을 위해 각 단계별 접근방법으로 시기별 인과모형 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의 타당성을 높인다. 이와 같은 종단적 연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모집단을 추적하여 자료 수집을 반복하는 코포트(cofort) 연구방법과 동일계층을 반복 연구하여 계층의 변화를 탐구하는 추세분석(trend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여, 컨버전스 제품 사용자의 시간변화에 따른 유형을 파악하고 각 시점 사이의 인과관계의 방향과 크기를 파악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론적 연구>
    ▸컨버전스, 디버전스 관련 선행연구
    ▸사용자(소비자)의 인지적, 심리적 평가에 관한 이론 및 문헌 검토
    ▸기술수용 및 사용에 관한 이론 고찰
    ▸혁신기술 사용에 관한 요인 및 선행연구 검토
    <실증적 연구>
    ▸컨버전스 제품 구매 영향요인 도출 및 검증
    ▸컨버전스 제품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발 및 검증
    ▸디버전스 제품 사용자의 인식에 관한 측정도구 개발
    ▸컨버전스 제품 사용자와 디버전스 제품 사용자의 태도 비교분석
    ▸테크노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사용중단, 전환에 미치는 영향분석
    ▸컨버전스 촉진요소 강화책에 따른 행동의 변화 비교분석(종단분석)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양가성에 대한 실증조사(리터러시 강화수준에 따른 종단분석)
    본 연구는 컨버전스 제품과 같은 혁신기술 수용과 사용에 관한 통합적인 시각을 확보하기 위해, 수용(구매) 전  수용 후(사용과정)  향후 행동(사용중단/지속사용/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태도 및 행동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종단연구이다. 이에 단계별 접근방법을 선택하였다.
    먼저, 1차년도는 1단계 작업으로 컨버전스 개념 재정립을 위해 각 분야의 문헌과 연구흐름, 연구결과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을 수행한다. 보다 정교한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정보시스템 관련 이론과 함께 미디어학, 심리학, 마케팅 분야의 관련 문헌에 대해 성찰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컨버전스 제품 수용의 영향요인,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용자평가에 관한 척도 등 유용한 변인을 도출하고, 컨버전스 제품 구매의도에 관한 인과모형을 분석한다.
    2차년도(2015. 07. 01 ~ 2016. 06. 30)는 단계별 진행방법의 2단계에 해당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기간으로, 컨버전스 제품 구매 후 사용행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실제 컨버전스 제품 사용성에 대한 활성요인과 억제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구조모형을 분석한다. 그리고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부정적인 평가요인이 사용중단 및 디버전스 제품으로 전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한 3차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3차년도(2016. 07. 01 ~ 2017. 06. 30)는 앞서 전술한 3단계 작업을 수행하는 기간으로 1차년도와 2차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컨버전스 제품 사용 촉진요인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태도 및 행동 변화추이를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컨버전스 제품에 관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실질적 사용을 확대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동안의 연구결과를 종합정리하여 의미있는 해석과 풍부한 논의를 전개한다.
    이러한 내용과 방법을 통해 ‘사용자 관점’에서의 실질적인 컨버전스 본질을 이해하고 컨버전스 패러다임의 흐름을 제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컨버전스제품은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진화되고 있다. 컨버전스란 상호 독특한 특성을 지닌 제품의 기능들이 하나의 방향으로 융합된 것으로 기술발달이나 상황, 관점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여러 제품이나 서비스가 단말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융합하는 현상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제품, 서비스 간의 유기적 결합과 함께 기존 산업에 IT를 접목해 산업 고도화와 신사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진화되고 있다. 이처럼 컨버전스제품은 새로운 기술과 법, 다양한 기능 등이 융·복합되면서 그 범위나 형태가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들은 경쟁사보다 더 빨리, 더 좋은 제품을 출시하여 시장을 선점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컨버전스제품의 유용함과 기술적 우월성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반응이 항상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만큼 주류시장에 파급되기 어렵다는 것으로 혁신의 수용과 확산과정에서는 어떠한 형태로든지 크고 작은 저항이 나타난다. 따라서 컨버전스제품을 비롯한 혁신제품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채택을 이해하는 것 못지않게 저항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항을 보다 직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며, 수용자에게 지각된 기술변화속도를 중심으로 저항으로 표출되는 심리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혁신제품 채택을 망설이거나 거부하는 심리적 요인은 두려움(fear), 불확실성(uncertainty), 의심(doubt) 등과 같은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Moore, 2006). 특히 이전에 없던 새로운 제품이거나 첨단의 기술제품일 경우에는 불확실성이 더욱 커져 이를 채택하는 데 우려와 기대를 가중시킬 수 있다(Holak et al., 1987). 그리고 이처럼 불확실한 상황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신의 주관적인 기대에 의존하여 제품의 필요성이 확인되고 최적의 상황이 되기까지 채택결정을 거부하거나 지연하기도 한다(Mahajan et al., 1990). 이와 관련하여 소비자행동에 관한 현저한 연구들에서는 신제품채택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잠재적 수용자의 기대를 결합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e.g., Horsky, 1990; Mahajan et al., 1990).
    구체적으로 사람들은 특정제품에 대한 평가나 선택과정에서 제품의 품질은 물론 가격, 브랜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다. 그중 가격은 특정제품 사용으로 얻게 되는 효용에 부여된 가치로써 시장에서의 제품의 교환가치라 할 수 있다. 즉, 가격은 구매와 같은 행동을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강력한 요인이다 (Zaltman and Wallendorf, 1979; Spreng et al., 1996). 또한 품질은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고유의 성질을 일컫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제품가격과 함께 시장적합성을 좌우하는 중요 요소이다. 여기서 주관적 품질이란 특정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품질이나 우수성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써 지각된 품질을 말한다. 지각된 품질은 특정제품 선택에 영향을 주는 핵심요인으로 구매결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Oliver, 1980). 소비자행동분야에서는 소비자가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기준들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는데, 그 중 가격과 제품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들이 가장 주된 주제라 할 수 있다. 그만큼 제품평가에 있어서 가격과 품질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근거라 하겠다.

    본 연구는 학술적인 면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기존 논의들이 컨버전스제품 수용 및 확산요인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둔 반면, 이 연구는 채택저항에 초점을 맞추고 저항의 형태를 거부와 보류로 세분화하여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그간 혁신채택 및 저항에 관한 연구에서는 기술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편이성, 행동통제, 복잡성, 사용자 능력 등과 같은 요인을 강조하면서도 실제 기술변화속도와 혁신의 관계에 대해서는 소홀히 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저항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요인으로 수용자에게 지각된 기술변화속도를 제안하고 실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셋째, 제품선택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가격과 품질에 대한 기대를 중심으로 채택저항에 이르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간명하게 실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기대에 의존하는 심리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연구가 충분히 누적되지 않은 기술변화속도에 따른 혁신저항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 초기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후속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를 보다 정교하게 세분화시켜 기술변화속도를 지각하는 수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다면 보다 실무적인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인터뷰나 개방형 설문 등 심층적인 자료 수집을 통해 혁신저항의 새로운 예측요인들을 찾아보는 후속연구들이 요구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설문지를 활용한 특정시점의 단편적 연구(snapshot research)로써, 기술변화속도에 따른 저항의 역동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계열적인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고 유용한 구성개념을 접목시키는 논의가 이어지길 바란다.
  • 영문
  • Conversion products continue to change and evolve, on the basis of creative idea and innovation technology. Convergence refers to the concept to unite functions of unique products in a specific direction, which can be changed by technology development, circumstance and a specific point of view. Recently, the concept is understood as free combination of several products and services built or coded on the digital technology base without limitations imposed by a terminal, a service provider and a network. The convergence concept is evolving to sophisticate existing industries and create new business opportunities by grafting IT technology onto existing industries, together with organic combination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Under the circumstance, an enterprise makes a variety of efforts to occupy the market in advance and secure competitive advantages by launching better quality products before its competitors. However, the market response to convergence products is not always positive in spite of their usefulness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This factor implies that distributing innovative products to the major market is difficult and there is always resistance in the adop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innovation, irrespective of its seriousness (Ram, 1987). Therefore, focus shall be on identification of causes of resistance as well as understanding adoption process in order to successful diffusion of innovative products including convergence produc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factor development that allows more direct explanation of resistance and investigates psychological process of consumers that is expressed as resistance, focusing on pace of technology change perceived by consumers.

    Generally, it is describ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fear, uncertainty and doubt can contribute to hesitation or rejection in adopting innovative products (Moore, 2006). Particularly, uncertainty can make concerns and expectations bigger, with regard to adoption of innovative products, when they are new products or cutting-edge products that have never existed before (Holak et al., 1987). As seen above, most people under uncertainty identify necessity of a product, based on their subjective expectations, and may reject or delay adoption decision until the optimized environment is created (Mahajan et al., 1990). Noticeable studies on consumer’s behaviors suggest that an expectation of potential consumers shall be integrated into discussion about adoption of new products (e.g., Holak et al., 1987; Horsky, 1990; Mahajan et al., 1990).
    Specifically speaking, people consider various elements in evaluation or selection process of a certain product, including the price and the brand of a product, as well as its quality. The price refers to an exchange value of a product in the market, as a value allocated to the efficacy obtained from use of a product. In other words, the price is a strong element that direct stimulates consumer’s behaviors such as purchase of a product (Zaltman and Wallendorf, 1979; Spreng et al., 1996). In addition, as a comprehensive concept of unique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a product, quality is also an important factor on which the market suitability is depending on, together with the price. Perceived quality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purchase decision, as a key factor affecting selection of a certain product (Oliver, 1980).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existing studies focus on adoption and diffusion factors while the current study concentrates on adoption resistance and demonstrates a determinant by classifying the types of resistance into rejection and postponement. Second, the previous studies of innovation adoption and resistance neg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ce of technology change and innovation although they emphasize several factors such as user’s convenience, behavioral control, complexity and user’s capability according to technology change. The current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m to the extent that it suggests perceived technology change as a new factor to predict innovation resistance. Third,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proves a structural casual relationship between a price and quality expectation, which are key elements for product selection, and adoption resistance in a brief way. Particularly, the current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how an individual consumer depends on his/her subjective expect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existing studies focus on adoption and diffusion factors while the current study concentrates on adoption resistance and demonstrates a determinant by classifying the types of resistance into rejection and postponement. Second, the previous studies of innovation adoption and resistance neg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ce of technology change and innovation although they emphasize several factors such as user’s convenience, behavioral control, complexity and user’s capability according to technology change. The current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m to the extent that it suggests perceived technology change as a new factor to predict innovation resistance. Third,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proves a structural casual relationship between a price and quality expectation, which are key elements for product selection, and adoption resistance in a brief way. Particularly, the current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how an individual consumer depends on his/her subjective expectation under the circumstance with high uncertainty relating to technology change. Moreover, as the current study is a snapshot research that focuses on a certain time using questionnaires, a time-series future study is required to identify dynamics of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ace of technology chang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discussion to improve the validity of findings and accommodate useful construc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기술, 산업, 서비스, 기능 등이 서로 융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컨버전스 시대(convergence era)에, 기업들은 혁신과 변모를 거듭하고 있지만 그 반응이 항상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특히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시장의 냉대에 밀려 사라지기도 하며, 심지어 통화만 되는 휴대폰, 사진만 잘 찍히는 카메라 등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디버전스(divergence) 제품이 선호되기도 한다. 이는 컨버전스 제품, 나아가 컨버전스와 디버전스의 순환적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내포한다.
    아울러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부작용도 표출되고 있다. 대표적인 컨버전스 제품(서비스)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경우, 사용복잡성으로 인해 테크노스트레스가 발생되는가 하면, 지나친 사용으로 피로감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즉, 컨버전스는 기술을 토대로 이루어지지만 사용자의 가치와 평가에 따라 성패가 좌우될 수 있으므로 이를 수용하는 사용자 관점 중심의 논의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컨버전스 제품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기술, 네트워크, 서비스, 산업의 융합과 같은 기술적 관점을 범위로 논의하고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접근은 매우 미흡하다. 다만 몇몇의 연구에서 단일한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 추가적인 기능에 대한 반응을 살피고 있을 뿐이다(e.g., 강병영 외, 2009; 김해룡 외, 2005; 김진우 외, 2008; 주영진이명종, 2008; 서문식 외, 2009).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컨버전스 연구의 주된 흐름인 기술적 관점의 논의를 넘어 이를 수용하는 소비자의 가치 인식을 중심으로 ‘컨버전스와 디버전스’의 양가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학술적인 면에서 다음과 같은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그동안 다양한 개념으로 정의되어 온 컨버전스 범위, 구성요인들에 대한 비교 등을 통해 컨버전스 관련 연구가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컨버전스는 학제 간에도 요구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유용한 구성개념을 도출하기 위해 정보시스템분야의 혁신과 저항, 소비자행동분야의 심적회계이론, 인지부조화이론 등 여러 분야의 문헌 고찰을 통해 보다 통합적인 시각을 제시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가치와 채택행동에 있어서 네트워크 외부성이 존재하는 지 실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여러 분야의 네트워크 외부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광범위하게 고찰하여 직간접적인 네트워크 요인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점이나, 네트워크 외부성을 가져오는 대표적 요인인 호환성의 개념을 기술내호환성, 기술간호환성, 보완적호환성으로 정리한 것도 학술적으로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넷째, 혁신의 수용과 저항에 있어서 그동안 주요하게 다뤄져 왔던 구성개념들을 하위요소들로 분류하여 실증함으로써 개별 변인 간의 영향력 등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컨버전스 제품을 비롯한 혁신연구들이 수용과 확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저항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기술의 역동성과 혁신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은 암묵적으로 동의되어 왔을 뿐, 이를 실증하거나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는 연구는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기술변화의 속도’개념을 도출하고 이를 실증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이고 상황적인 요인을 제안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지와 기대는 기능적 통합정도나 기술적 호환범위, 가격 책정전략 등 기술제품 연구개발 및 마케팅관리 등의 전략적 컨셉을 마련하는 데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컨버전스 제품의 수명주기, 신제품 출시 등에 있어서 수용자 관점에서 적정한 변화속도를 감지하려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색인어
  • 컨버전스, 디버전스, 소비자 기대, 컨버전스제품, 기술혁신제품, 기술변화속도, 네트워크외부성, 상대적매력도,기술상호관련성, 기능적다양성, 커뮤니케이션효과, 심적회계, 인지부조화, 혁신저항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