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국제레짐과 국가 역량 및 정부기능의 변화
International Regimes and State Capacit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4630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문명재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VINOD K AGGARWAL(Univ. of California at Berkeley )
정장훈(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보경(연세대학교)
김공록(연세대학교)
나태준(연세대학교)
장용석(연세대학교)
홍순만(연세대학교)
윤경준(한성대학교)
구민교(서울대학교)
리차드 워커(Cardiff University)
John W. Meyer(Stanford University)
Hon S. Chan(香港城市大學)
윤이숙(광운대학교)
조윤직(연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단은 국가 역량에 따른 국제레짐의 효과 및 국제레짐에 의한 정부 기능과 정책 수단의 변화를 다각적으로 모색하여 정부의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국제레짐의 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음에 이를 이행하는 개별국가들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국제사회, 정부, 국내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점에 주목한다. 개별국가의 정부는 국제레짐을 이행하면서 다양한 정책 수단을 조합하여 그 결과에 이르게 되고 그 과정에서 국내사회의 시민, NGO, 기업 등 다양한 행위자들과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이 국제레짐의 연구는 시민사회의 역할 및 태도, 정부 및 국제사회와 국내 사회집단 간의 관계 등도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기존 연구들은 일부 선진국가를 대상으로 하거나 일부 주제에 한정하는 국가간 비교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일반화된 이론 체계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제레짐에 의한 개별 국가의 정부 기능과 정책 수단의 변화를 함께 분석한 실증연구를 통해 이론화를 시도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국가역량에 따른 국제레짐의 효과를 규명하고 성공적인 국제협력을 위한 조건과 이를 이행하는 바람직한 정부의 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단은 중형 단계 연구기간 동안 환경레짐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는 한편, 인권, 복지 등 다양한 국제레짐의 영역들을 아울러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부의 기능 및 역할을 심도있게 살펴봄으로써 국제레짐과 성공적인 정부의 역할에 관한 종합적인 이론화를 시도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제레짐의 실효성과 이를 이행하는 정부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국제협력에 기여하기 위한 보다 적실성 있는 정책 대안을 마련한다. 특히 장기시계열의 국가간 비교분석을 통해 통섭적이고 다차원적인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의 학문적 이론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급속한 환경변화와 각종 사회적 위험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향후 사회과학의 지속적 발전의 핵심영역이기 때문에 본 SSK 사업을 통해 장기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또한 국제레짐, 정부, 시민사회의 역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여 이에 근거한 전략적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완성은 범국가적 차원의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향후 한국이 선진국가로 거듭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연구재단의 SSK 사업을 통해 본 연구단은 ‘글로벌 거버넌스센터’를 설립함으로써 ‘싱크탱크’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단은 국제레짐과 성공적인 정부의 역할,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론화를 시도한다는 측면에서 학문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크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국제레짐 이행의 영향 요인 및 효과성을 단편적으로 검증하거나 단일 사례연구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측면에서 상당한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단은 국제레짐을 이행하거나 이의 효과를 매개하는 정부의 역할을 장기시계열 국가비교 및 심층사례연구를 통해 다차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국제레짐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지식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단은 국제레짐과 정부의 역할에 관한 심화된 연구를 통해 각국의 특성, 맥락, 현실을 반영한 적실성 높은 정책적 대안들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을 선도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국민 행복, 상생발전 등을 실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국가경쟁력도 제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연구단은 국제레짐과 정부의 역할을 살펴보는데 있어 국제사회와 국내사회, 정부 간의 역학 관계를 고려하므로 행정학을 비롯한 정치학, 사회학, 경제학 등 사회과학 전 분야를 아우르는 통섭적, 다학제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단이 도출한 연구 성과들은 교육적 측면에서 사회과학 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축적된 DB를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의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레짐에 의한 정부 기능과 정책 수단의 변화를 분석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된 이론을 바탕으로 국가역량에 따른 국제레짐의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성공적인 국제협력을 위한 조건과 바람직한 정부의 상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국제레짐을 이행하는 정부의 역량과 기능, 정책 수단, 국내사회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다음 세 가지 연구를 중점적으로 이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국제레짐과 국가 역량 및 정부의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를 완성하고자 한다.
    첫 번째, 개별 국가의 정부 기능 및 정책 수단이 국제레짐에 의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소형 단계의 연구 수행 결과 환경, 인권 등 지속가능발전의 핵심 아젠다에 있어서 전 세계의 수많은 국가들이 참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하지만 국제레짐의 효과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영향이 개별국가에 실현되는 과정에 있는 정부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개별국가의 정부는 국제레짐에 의한 국제협력을 이행하는 주체이며 그 과정에서 정부 조직을 변화하거나 정책 수단을 활용함으로써 국제협력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단은 개별국가에 대한 국제레짐의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각국 정부에 초점을 맞추어 정부 기능, 제도, 수단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조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국제레짐의 분야별, 지역별, 정책별 국가의 대응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국가군별 유형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국가의 대응 전략은 정부의 기능, 제도, 수단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조화하고 어떠한 조합을 이루는지 연구한다.
    두 번째, 국제협력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정부의 기능 및 역할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지 정책수단과 연계하여 연구한다. 개별국가의 측면에서 정부의 역할이 같다하더라도 각국의 정치·경제·행정·사회적 특성에 따라 활용하는 정책 수단이 다르기 때문에 국제레짐의 효과는 상이할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따라서 국제레짐의 논의는 모든 국가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국 정부의 대내외적 환경과 내부의 구조적 요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군별 유형화를 시도하고 이 유형화에 따른 정책수단과의 조합, 이의 효과 및 성과를 연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단은 국제레짐 효과를 국가발전단계별 혹은 정부의 기능 및 역할로 유형화하고 그 유형에 따른 정책 수단의 조합을 분석한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서 우선 정부와 국가를 둘러싼 환경을 규정해야 한다. 정부와 국가를 둘러싼 외부적 환경으로 국제레짐의 영향을 분석하고 내부적 특성에 따른 정부 변화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국제레짐이 성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규명한다. 국가별 상황에 따른 국제레짐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국제레짐의 효과를 비교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국제협력의 성공과 실패의 조건을 이론화한다.
    세 번째, 국제레짐과 국가, 국내사회의 관계를 규명하여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대한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국내의 시민사회 및 사회집단이 국제적으로 협력을 약속한 아젠다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그 문제에 대한 정부와 시민사회 간 거버넌스 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정부의 정책 방향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국제레짐에 의해서 정부와 사회의 관계에도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정부는 국제사회와 국내를 조율하고 관리함으로써 성공적인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역학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국제협력의 중요한 연구내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단은 국제레짐과 국가, 국내사회 사이의 동역학 관계를 규명하고 성공적인 국제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단은 국내사회의 다차원적 행위자를 규명하고 국제레짐 분야별 국내사회의 영향력과 역할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 인권 등 분야별 국제레짐이 정부와 국내사회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역학 변화를 분석하고 성공적 국제협력을 위한 최적을 조건을 밝힌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단은 국제레짐에 의한 정부 기능과 정책 수단의 변화를 분석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된 이론을 바탕으로 국가역량에 따른 국제레짐의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성공적인 국제협력을 위한 조건과 바람직한 정부의 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ⅰ) 개별국가 정부에 대한 국제레짐의 영향, ⅱ) 국제레짐에 의한 국가군별 정책 수단의 조합 및 효과, ⅲ) 국제레짐과 국가·시민사회와의 상호작용의 세부 연구 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단의 연구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 번째, 개별 국가의 정부 기능 및 정책 수단이 국제레짐에 의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두 번째, 국제협력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정부의 기능 및 역할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지 정책수단과 연계하여 연구하였다. 세 번째, 국제레짐과 국가, 국내사회의 동역학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구체적으로 우선 국내사회의 다차원적 행위자를 규명하고 국제레짐 분야별 국내사회의 영향력과 역할을 비교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 인권 등 분야별 국제레짐이 정부와 국내사회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역학 변화를 분석하고 성공적 국제협력을 위한 최적 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진은 '국제레짐과 국가 역량 및 정부기능의 변화'라는 연구 과제를 심화발전하기 위하여 지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학술회의(11회), 세미나(20건), 콜로키움(56회) 등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으며, 타 연구팀과의 네트워크 활동(69회)을 통해 주요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노력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진은 학술 활동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들을 통해 정부 정책과의 연계 활동이나 입법 활동을 추진하여, 사회과학 발전을 위한 이론적 기여뿐만 아니라, 사회적 활용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본 연구단은 연구의 성과와 정부 운영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3년 간 정책아젠다, 정책연구/사업기획, 성과확산/홍보, 입법화 등 총 189건의 정책연계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활발한 연구 수행 활동을 실시한 결과 지난 3년의 중형단계 동안 총 91편의 논문(사사표기 53편, 사사미표기 38편)과 33편의 저역서를 집필하는 연구 성과를 배출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government functions and policy instruments by international regime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regimes on national competencies based on proven theory through empirical studies. Through these studies, we aim to present the conditions for successful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shape of good government. We conducted a detailed study on (i)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regimes on individual governments, (ii) the combination and effect of national policy instruments on international regimes, and (iii) the interaction between international regimes and the state and civil society.
    There are three main contents of this research group. First, we analyze how government functions and policies of individual countries are affected by international regime. Second, in the process of realiz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we studied how the effects of government functions and roles differ depending on the policy instruments. Third, we conducted research to identify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regime, national and domestic societies. These studies specifically identify the multidimensional actors of the domestic society and derive the influence and role of the domestic society by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regime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human ri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domestic society and to clarify the optimal conditions for successful international cooperation.
    We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from 2014 to 2017 in order to deepen and develop research projects called 'international regime and change in national competence and governmental functions'(International Conferences 9, Seminars 20, Colloquiums 56). We also made efforts to share key research results through networking with other research teams(69 times).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cademic activities, we promoted the linkage and legislative activities with the government policy and tried to improve the social utilization as well a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 In order to enhance the linkage between research achievements and government operations, the research team has conducted a total of 189 policy-related activities over the past three years, including policy agendas, policy research / business planning, performance diffusion / promotion, and legislation. As a result of these active research activities, we have produced research results in which 91 papers and 33 books were written during the middle stage of last 3 yea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레짐에 의한 정부 기능과 정책 수단의 변화를 분석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된 이론을 바탕으로 국가역량에 따른 국제레짐의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성공적인 국제협력을 위한 조건과 바람직한 정부의 상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단은 중형 단계 동안 ⅰ) 개별국가 정부에 대한 국제레짐의 영향, ⅱ) 국제레짐에 의한 국가군별 정책 수단의 조합 및 효과, ⅲ) 국제레짐과 국가·시민사회와의 상호작용의 세부 연구 주제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국제레짐과 국가 역량 및 정부의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를 완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단은 이상의 연구팀 운영 외에도 앞에서 제시한 연구 비전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하위 실천목표를 제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단은 해외 저명 학자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 본 연구단은 각 국가의 특성 및 제도적 맥락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4인의 해외 연구진들을 공동 연구진으로 구성하였고, 해외 유수의 대학 연구소와 MOU 및 학문 연계활동을 수행하였다. 둘째, 본 연구단은 콜로키움을 정례화하여 저명 학자 및 석학들의 연구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증진한다. 셋째, 본 연구단은 자체연구 세미나 및 국내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세부 연구 과제를 개발하고 학문공동체를 형성하여 연구 성과를 확산한다. 넷째, 본 연구단은 환경, 복지, 경제 등 세부 정책을 연구하는 타(他) SSK 연구팀 및 대학 연구기관과 적극적으로 네트워킹을 실시한다.
    본 연구단의 연구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 번째, 개별 국가의 정부 기능 및 정책 수단이 국제레짐에 의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개별국가에 대한 국제레짐의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개별 국가의 다면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부 기능, 제도, 수단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조화하고 어떠한 조합을 이루는지 분석․연구하였다. 두 번째, 국제협력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정부의 기능 및 역할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지 정책수단과 연계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사업단은 정부와 국가를 둘러싼 환경을 규정한 후 국제레짐 효과를 국가발전단계별 혹은 정부의 기능 및 역할로 유형화하고 그 유형에 따른 정책 수단의 조합을 분석한다. 세 번째, 국제레짐과 국가, 국내사회의 동역학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국내사회의 다차원적 행위자를 규명하고 국제레짐 분야별 국내사회의 영향력과 역할을 비교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 인권 등 분야별 국제레짐이 정부와 국내사회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역학 변화를 분석하고 성공적 국제협력을 위한 최적 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진은 '국제레짐과 국가 역량 및 정부기능의 변화'라는 연구 과제를 심화발전하기 위하여 지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학술회의(11회), 세미나(20건) 등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으며, 타 연구팀과의 네트워크 활동(69회)을 통해 주요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노력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진은 학술 활동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들을 통해 정부 정책과의 연계 활동이나 입법 활동을 추진하여, 사회과학 발전을 위한 이론적 기여뿐만 아니라, 사회적 활용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본 연구단은 연구의 성과와 정부 운영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3년 간 정책아젠다, 정책연구/사업기획, 성과확산/홍보, 입법화 등 총 189건의 정책연계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활발한 연구 수행 활동을 실시한 결과 지난 3년의 중형단계 동안 해외 정상급인 SSCI 및 SCI 저널을 포함하여 총 91편의 논문(사사표기 53편, 사사미표기 38편)과 33편의 저역서를 집필하는 연구 성과를 배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단은 ‘국제레짐을 통한 정부의 재발견: 국제사회, 정부, 국내사회의 동역학’의 비전을 설정하고 국제레짐에 의한 국가별 변화와 정책의 도입, 국내사회와의 동역학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해외 정상급인 SSCI 및 SCI 저널, SCOPUS, 국내 등재학술지, 국내외 기타학술지 등 총 91편의 논문(사사표기 53편, 사사미표기 38편)을 게재하였다. 또한 본 연구단은 지난 3년 동안 국제레짐과 정부 기능, 정책 수단, 시민사회의 세부 영역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연구의 결과 총 33편의 저역서를 출판하였다. 이러한 연구 활동을 통해 정부의 기능 차원에서 정책난제의 해결을 위한 문제제기와 처방적 대안 활용, 정책수단의 활용과 효과성 차원에서 국내외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적 제안 제시, 국제레짐과 시민사회 차원에서 현실사회에 필요한 다양한 아젠다와 이의 해결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크게 이론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다. 우선 이론적 차원에서는 첫째, ‘국제레짐과 정부기능’을 주제로 국제레짐 차원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사회과학의 연구주제를 한국의 사회문제에 투영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 예로 ‘The Routledge Handbook of Global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은 정부․국제기구 간 상호연결성이 증대함에 따라 정부운영 방식과 구조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조직 신뢰를 확보하는 조직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는 등 국제레짐과 정부기능의 측면에서 적실성 있는 논의를 심화한 바 있다.
    둘째, ‘국제레짐과 정책수단’의 관점에서 국제레짐 차원에서 주목하고 있는 다양한 정부의 정책수단을 논의하고 이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환경문제와 인권, 규제 등의 국제적 이슈와 결부하여 정책적 함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Regulatory Capture in Agency Performance Evaluation: Industry Expertise versus Revolving-Door Lobbying’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연구주제를 한국의 사례를 통해 규제포획현상을 국제레짐의 관점에서 논의한 바 있다.
    셋째, ‘국제레짐과 시민사회’라는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국제레짐이 정부의 기능과 정책수단과 더불어 시민사회 저변에까지 확대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주제를 발굴하고 사회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Trust' 연구는 국제사회에서 주요한 이슈로 논의된 것에 비해 국내 사회에서는 최근에서야 연구의 중요성이 각광받고 있는 ‘감정노동’에 대한 연구이며 시민사회에서 노동자와 조직의 신뢰를 제고시킬 수 있는 관리적 합의점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차원에서는 첫째, 국제개발, 사회혁신, 위험관리 등 국내외적으로 강조되는 핵심 키워드인 “사회통합, 안전, 국제개발협력, 사회적 기업”과 관련한 정부의 정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는, 공공부문의 인력양성, 정부혁신, 시장체제구축에 대한 한국의 경험과 정책적 함의를 전수하여 베트남 국가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일조하였다.
    둘째, 정치, 사회, 환경, 복지,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정부의 역할과 정책 목표 설정을 위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단의 이러한 정책전략은 국가의 지속가능성 향상과 관련한 여러 정책 및 법률에 반영되었다.
    셋째, 거시적․다각적 관점에서 국가발전 및 국가관리에 대한 비전과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 예로 정부부처의 평가 및 자문을 실시함과 동시에 개발도상국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관련 세미나를 실시하였으며, 각종 사회문제의 심화와 그 해결의 부조화 현상을 실증적으로 밝힌 바 있다.
  • 색인어
  • 국제레짐, 정부 역량, 정부 기능, 정책 수단, 시민 사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