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전자책 향유 최적화를 위한 콘텐츠 구성 방안 연구 -디즈니 앱북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 eBook Planning Method for Enhanced Enjoyment -focused on Disney Appbook-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1012523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7월 01일 ~ 2015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미희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40;ERICA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미디어 특성에 최적화된 콘텐츠 기획
    전자책 시장이 점차 확대되는 시점에서 전자책은 미디어 특성에 맞는 콘텐츠 기획이 요구된다. 전자책이 종이책의 형식을 그대로 전용 단말기에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기존 종이책 독서 행위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이미 독서를 좋아하는 독자에게 선호될 수 있는 방식이다. 무거운 책을 직접 들고 다닐 필요 없이 단말기 하나에 여러 권의 책을 저장해 종이책에서 경험하는 관습적인 행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재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에서 기대하는 전자책의 기능은 종이책의 경험만으로 충족될 수 없다. 기존 미디어가 갖는 장점을 바탕으로 하고 거기에 더해지는 새로운 특성이 반영되어야만 한다.

    2. 전자책 구성 유형화 도출
    현재 제작된 전자책들은 종이책과 같이 동일한 구조를 구축하지 못한 실정이다. 전자책 미디어 특성을 고려한 구성 유형이 제안된다면 이후 전자책의 장르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콘텐츠 기획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연수는 전자책 구성의 유형화를 도출하고자 한다. 종이책에서 경험하지 못한 차별화된 체험이 가능한 앱북 사례를 통해 앱북이 향유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구현 환경 특성을 전제하고 종이책이 갖는 서사성과 디지털 콘텐츠로써 향유자의 체험을 강화하는 요소들을 종합하여 앱북 구성 방식을 유형화할 것이다.

    3. 전자책 몰입을 강화하는 향유 전략 제시
    전자책은 기존 종이책과 달리 전달하려는 내용을 향유자가 직접 조절하면서 제어한다는 점에서 상호작용성에 의한 변별적 체험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디지털 기술이 바탕이 되어 향유자가 선택한 내용이 전자책 화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특히 전자책 가운데 상호작용성이 강화된 형태는 앱북이다. 앱북은 내용 전달 과정에서 향유자의 참여를 요구하며 그와 관련한 요소들을 서사 전반에 배치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은 디지털 콘텐츠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지만 종이책에서의 서사 몰입 방식에 대한 변별성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대개의 앱북이 원천 콘텐츠를 전환한 형태임에도 앱북에서의 콘텐츠 체험을 새롭게 하는 상호작용성의 전략적인 배치를 통해 앱북 고유의 향유를 극대화한다. 이미 유사한 서사를 향유했음에도 앱북에서의 콘텐츠 체험이 새롭게 향유될 수 있는 구성 방식을 파악하고 앱북의 향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전자책 구성 요소 유형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전자책 구성 특성을 향유자와의 상호작용성을 극대화한 앱북 사례를 통해 분석하여 종이책의 구성 방식에서 벗어나 전자책의 향유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성 방식을 제안한다. 디즈니 앱북에서의 구조화된 형태적 구성 요소는 물론 서사 내용과 관련을 갖는 향유 요소들을 파악하여 전자책 향유를 극대화하는 내용 구성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2. 전자책 향유 가치 제고
    전자책은 전통적인 종이책의 향유 방식과도 차별성을 갖고 있어야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에서 구현된다는 점에서 디지털 기반의 콘텐츠들과도 전자책과도 차별성을 가져야 한다. 종이책의 독서 체험과 비교하여 고정적이지 않고 향유자가 제어하는 결과에 따라 유동적으로 내용을 구현한다는 점은 종이책과 다른 형태의 향유 방식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에서 향유되는 콘텐츠들은 이와 유사한 향유 형식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자책을 향유할 충분한 요소가 내재되어 있지 않다면 앱북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전자책 향유를 최적화할 구성 요소들이 제시된다면

    3. 전자책 장르 포맷
    콘텐츠마다 적용되는 기본 장르 유형이 존재한다. 아직까지 전자책은 뚜렷한 포맷이 구축되지 않은 채 적용 가능한 여러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수에서 제안하는 전자책 구성 방식들은 전자책을 기획하는 데 있어 기본 요소들로 설정되어 전자책 포맷으로 활용될 수 있다.

    4.앱북 장르 전환 포인트
    상당수의 앱북이 종이책이나 영상 콘텐츠와 같은 원천 콘텐츠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수의 내용은 타 장르의 콘텐츠를 앱북으로 전환할 때 참고할 기준점이 될 수 있다.

    5. 콘텐츠 브랜드화 구축 방안
    디즈니 앱북은 단순히 앱북 콘텐츠 향유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원천 콘텐츠는 물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디즈니 브랜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경쟁력이 높은 유아용 콘텐츠에서는 교육용으로 앱북이 활용되면서 파생 콘텐츠로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 앱북이 구현되는 단말기 환경은 미디어 융합을 자유롭게 실현시키며 앱북과 관련한 파생 콘텐츠들과 연계하여 앱북이 갖는 콘텐츠 가치를 높일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수는 디즈니 앱북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것들을 유형화하는 작업이 연수 기간 전반에 걸쳐 진행될 것이다. 디즈니 앱북의 사례를 위해서는 애니메이션과의 콘텐츠 구성에 대한 비교 분석이 우선되어야 하고 각각의 비교 내용을 모아 분류 기준에 맞춰 범주화한다. 그리고 범주화된 유형들이 전자책 향유에서 어떠한 기능으로 작용하는가를 고려하여 전자책 향유를 최적화할 수 있는 구성 방식을 도출한다.

    1.앱북과 애니메이션 구성 방식 비교
    디즈니 앱북과 애니메이션은 동일한 서사를 중심으로 향유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서사의 중심이 되는 긴장이나 갈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양상은 장르적 특성을 반영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앱북 역시 애니메이션에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동일한 서사의 표현 차이가 앱북과 애니메이션의 장르 특성을 명확하게 규명해주는 기준이 될 수 있다.

    2.분류 기준에 따른 범주화
    앱북에서 서사를 전달하는 여러 양상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범주화한다. 서사 중심으로 표현되는 방식이나 인물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 갈등을 고조시키는 방법 등이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분류 가능한 다양한 가능성을 기준을 설정하여 이후 전자책 기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형으로 범주화한다.

    3.유형별 항유 효과 분석
    앱북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양상들이 향유 과정에서 어떠한 기능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한다. 향유자의 향유 체험을 통해 서사의 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 애니메이션에서 향유할 수 없던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성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중심으로 앱북의 향유를 강화하는 방식을 설정한다.

    4.전자책 구성 방식 도출
    앱북의 사례 분석을 통해 앱북의 특징적인 표현 방식을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향유 효과를 매칭하여 앱북의 향유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성 방식을 제안한다. 앱북에서 활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요소나 상호작용성의 적용 방식이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제시되어 향유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율적인 구성 방식이 될 수 있다. 본 연수의 결과를 통해 전자책 장르의 기본 포맷이 설정되어 기존의 종이책이나 애니메이션, 기타 디지털 콘텐츠의 향유와 다른 전자책 향유 고유의 변별성을 구축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미디어 특성에 적합한 형태의 콘텐츠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실제 전자책의 구성 양상을 살피고 최적화된 콘텐츠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앱북의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앱북 향유 환경과 향유자 체험 방식을 고려한 전자책 콘텐츠 구성 양상을 살펴 향유자의 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인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디어에 최적화된 콘텐츠 기획이라는 상위 목적 하에 전자책의 향유 방식과 그것을 실현시키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살펴 실질적인 구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자책의 향유 최적화를 위한 콘텐츠 구성 방안에 주목하고 전자책이 갖는 미디어 특성을 고려한 후 이에 적합한 콘텐츠 구성이 전자책만의 향유를 최적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는 총 2개의 영역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전자책의 상호작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자책의 상호작용성의 과정이나 양상은 전자책에서 향유될 수 있는 조건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이것이 향유 최적화를 위한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디즈니 앱북 사례 분석을 통해 실제 전자책 구성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앱북 구성에서 활용되는 여러 방식들을 살펴 그것들이 서사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향유자의 체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후 이 내용들을 토대로 전자책의 향유 과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목표로 하였던 향유 최적화를 위한 콘텐츠 구성 전략에 대해 전자책의 상호작용 방식을 고려해 향유 과정을 제시하고 여기에 디즈니 앱북의 실제 사례 분석을 적용하여 디즈니 앱북의 구성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자책 향유 가치를 제고하고 전자책 기획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앱북을 중심에 두고 콘텐츠 확장을 이루어 콘텐츠 브랜드화도 가능할 수 있다.
  • 영문
  • In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content structure of a form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configuration surface of an eBook, and aims to propose the components strategy of optimized content to an eBook.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total two areas. First of all, it was examined the interaction of an eBook. And through the Disney Appbook case analysis, it was examined about the components of an eBook. The results in this study was reflected in the process of an eBook enjoyment.
    In this study, taking into account the interaction method of an eBook for the strategy that make up the content for the process of an eBook enjoyment by optimization. It was applied to actual cases Disney Appbook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n eBook enjoyment that is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 presented the components strategy of Disney App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njoyment value of an eBook,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an eBook planning. In addition, by placing at the center the Appbook, is also content branding done the extension of cont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미디어 특성에 적합한 형태의 콘텐츠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실제 전자책의 구성 양상을 살피고 최적화된 콘텐츠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앱북의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앱북 향유 환경과 향유자 체험 방식을 고려한 전자책 콘텐츠 구성 양상을 살펴 향유자의 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인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디어에 최적화된 콘텐츠 기획이라는 상위 목적 하에 전자책의 향유 방식과 그것을 실현시키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살펴 실질적인 구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즈니 앱북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디즈니 앱북에 주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장르 전환
    디즈니 앱북은 기존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앱북으로 전환하고 있는데 색칠이나 퍼즐 맞추기와 같은 향유자의 단순 체험을 강조하는 play book 형태와 애니메이션의 서사를 다루고 있는 stoty book으로 구분된다. 본 연수에서는 디즈니의 story book의 앱북만을 다루게 되는데 이는 완결된 서사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애니메이션과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지만 그 표현 방식의 차별화가 뚜렷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앱북에 적합한 방식으로 서사를 압축하고 배경 그림을 설정하거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장르 특성에 따른 콘텐츠 구성 방식을 비교하기에 유용하다.
    2) 향유자의 체험을 부각한 콘텐츠 몰입
    디즈니 앱북은 애니메이션과 다른 차원의 향유를 제공하기 위해 향유자의 체험을 부각하고 있다. 완결된 서사를 기반으로 앱북이 진행되지만 그 과정 중에 향유자가 선별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요소들을 배치하여 애니메이션의 향유와는 다른 방식으로 콘텐츠 몰입을 유도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스크린을 통한 내용 전달이 우선되기 때문에 향유자는 일방적으로 그것을 향유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앱북에서는 서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향유자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여 애니메이션과 다른 방식으로 향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3) 꾸준한 앱북 제작
    2010년 3월 <토이 스토리>를 시작으로 디즈니 앱북은 <토이 스토리> 이후부터 <비행기 2>까지 5년이라는 기간 동안 꾸준히 앱북 서비스를 시도하고 있다. 앱북은 말 그대로 어플리케이션 형태이기 때문에 독립적인 향유가 이루어지는데 5년이라는 시간동안 디즈니 타이틀을 통해 지속적인 제작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앱북 제작 시스템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디즈니는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 세계적으로 그 영향력을 갖고 있다. 디즈니 앱북 역시 이러한 사업 전략의 하나로 Disney Digital Books를 통해 다양한 향유 접점을 확보하며 콘텐츠의 활용을 높이고 있다. 디즈니 앱북이 단순히 앱북으로서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라 애니메이션과 연동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초기 앱북은 이미 개봉되었던 애니메이션을 앱북으로 전환하는데 그치고 있지만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개봉에 앞서 서비스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디즈니 앱북이 꾸준히 제작되면서 단순히 앱북만의 향유가 아닌 디즈니가 구축한 브랜드를 바탕으로 확장되는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와의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는 전자책의 향유 최적화를 위한 콘텐츠 구성 방안에 주목하고 전자책이 갖는 미디어 특성을 고려한 후 이에 적합한 콘텐츠 구성이 전자책만의 향유를 최적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는 총 2개의 영역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전자책의 상호작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자책의 상호작용성의 과정이나 양상은 전자책에서 향유될 수 있는 조건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이것이 향유 최적화를 위한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디즈니 앱북 사례 분석을 통해 실제 전자책 구성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앱북 구성에서 활용되는 여러 방식들을 살펴 그것들이 서사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향유자의 체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후 이 내용들을 토대로 전자책의 향유 과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목표로 하였던 향유 최적화를 위한 콘텐츠 구성 전략에 대해 전자책의 상호작용 방식을 고려해 향유 과정을 제시하고 여기에 디즈니 앱북의 실제 사례 분석을 적용하여 디즈니 앱북의 구성 전략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전자책이 종이책의 구성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털 미디어 특성을 반영하여 변별된 향유를 가능하게 하는 미디어로 그 특성에 적합한 콘텐츠 구성 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전자책 향유 가치 제고
    전자책은 전통적인 종이책의 향유 방식과도 차별성을 갖고 있어야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에서 구현된다는 점에서 디지털 기반의 콘텐츠들과도 전자책과도 차별성을 가져야 한다. 종이책의 독서 체험과 비교하여 고정적이지 않고 향유자가 제어하는 결과에 따라 유동적으로 내용을 구현한다는 점은 종이책과 다른 형태의 향유 방식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에서 향유되는 콘텐츠들은 이와 유사한 향유 형식을 포함한다. 향유자는 스마트 단말기에서 향유할 콘텐츠를 직접 앱스토어에서 구매하기 때문에 이미 향유자의 개인적 취향에 맞는 콘텐츠들이 준비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미 향유자가 선택한 앱 가운데에서 전자책을 향유할 충분한 요소가 내재되어 있지 않다면 앱북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전자책 향유를 최적화할 구성 요소들이 제시된다면 전자책만의 향유 가치를 높일 수 있다.

    2) 전자책 기획의 가이드라인 가능성
    콘텐츠마다 적용되는 기본 장르 유형이 존재한다. 종이책 역시 그 포맷이 존재하는데 낱장의 순서를 나타내는 페이지의 기입, 차례의 표시나 장 구분, 색인 표시 등이 형태적 포맷으로 유지되며 그 안에서 다루는 내용에 따른 포맷도 구축되어 있다. 대개 콘텐츠 포맷은 그 내용적 특성을 바탕으로 구축되는데 아직까지 전자책은 뚜렷한 포맷이 구축되지 않은 채 적용 가능한 여러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수에서 제안하는 전자책 향유 과정을 고려한 전자책 구성 전략은 실질적인 전자책 기획 단계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3) 콘텐츠 브랜드화 구축
    디즈니 앱북은 단순히 앱북 콘텐츠 향유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원천 콘텐츠는 물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디즈니 브랜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경쟁력이 높은 유아용 콘텐츠에서는 교육용으로 앱북이 활용되면서 파생 콘텐츠로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 앱북이 구현되는 단말기 환경은 미디어 융합을 자유롭게 실현시키며 앱북과 관련한 파생 콘텐츠들과 연계하여 앱북이 갖는 콘텐츠 가치를 높이며 앱북을 기반으로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다.
  • 색인어
  • 디즈니 앱북, 전자책, 전자책 향유 과정, 구성 전략, 상호작용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